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사회

속보

더보기

구글 CEO "모바일 가고 AI 시대 온다"

기사입력 : 2016년04월29일 09:25

최종수정 : 2016년04월29일 14:42

"from mobile first to an AI first world"

[뉴스핌=이고은 기자] "지난 20년간 인터넷과 모바일의 확산을 통해 기술이 세상을 확 바꾼 것처럼 보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사진=블룸버그>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28일(현지시간) 창업자 연례 서신(annual founder's letter)에서 한 말이다. 피차이는 래리 페이지에 이어 구글 2인자다.

연례 서신에서 피차이 CEO는 구글의 업적을 나열한 후 "이제 인공지능(AI)의 잠재성을 향해 곧장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의 인공지능 시스템인 알파고는 지난 3월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 승리를 거두며 세계적 관심을 받은 바 있다. 피차이는 이를 두고 "이번 승리는 판도가 바뀌었다(game changing)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승리"라고 말했다.

이어 "AI는 업무나 여행 같은 일상적인 과제는 물론 기후변화나 암 정복 같은 더 큰 과제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피차이의 이 같은 발언은 AI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나왔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와 엘런 머스크 테슬라 CEO, 스티븐 호킹 교수 등 유명인사들이 모두 AI 기술을 지지하는 것을 주저하거나 혹은 그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만이 "우리는 AI를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지지의사를 표했다.

피차이 CEO는 "미래에는 디바이스(기기)라는 개념이 사라지는 단계가 올 것"이라면서 "대신 AI가 하루 종일 사람들을 도울 것이다. 모바일 퍼스트 시대에서 AI퍼스트 시대로 이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글 로고

다음은 피차이 CEO의 서신 원문이다.

This year’s Founders' Letter

April 28, 2016 
Every year, Larry and Sergey write a Founders' Letter to our stockholders updating them with some of our recent highlights and sharing our vision for the future. This year, they decided to try something new. - Ed. 
In August, I announced Alphabet and our new structure and shared my thoughts on how we were thinking about the future of our business. (It is reprinted here in case you missed it, as it seems to apply just as much today.) I’m really pleased with how Alphabet is going. I am also very pleased with Sundar’s performance as our new Google CEO. Since the majority of our big bets are in Google, I wanted to give him most of the bully-pulpit here to reflect on Google’s accomplishments and share his vision. In the future, you should expect that Sundar, Sergey and I will use this space to give you a good personal overview of where we are and where we are going.
- Larry Page, CEO, Alphabet
----------------------------------------------------

When Larry and Sergey founded Google in 1998, there were about 300 million people online. By and large, they were sitting in a chair, logging on to a desktop machine, typing searches on a big keyboard connected to a big, bulky monitor. Today, that number is around 3 billion people, many of them searching for information on tiny devices they carry with them wherever they go.
In many ways, the founding mission of Google back in ’98—“to organize the world’s information and make it universally accessible and useful”—is even truer and more important to tackle today, in a world where people look to their devices to help organize their day, get them from one place to another, and keep in touch. The mobile phone really has become the remote control for our daily lives, and we’re communicating, consuming, educating, and entertaining ourselves, on our phones, in ways unimaginable just a few years ago.

Knowledge for everyone: search and assistance

As we said when we announced Alphabet, “the new structure will allow us to keep tremendous focus on the extraordinary opportunities we have inside of Google.” Those opportunities live within our mission, and today we are about one thing above all else: mak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available for everyone.

This of course brings us to Search—the very core of this company. It’s easy to take Search for granted after so many years, but it’s amazing to think just how far it has come and still has to go. I still remember the days when 10 bare blue links on a desktop page helped you navigate to different parts of the Internet. Contrast that to today, where the majority of our searches come from mobile, and an increasing number of them via voice. These queries get harder and harder with each passing year—people want more local, more context-specific information, and they want it at their fingertips. So we’ve made it possible for you to search for [Oscar winner Leonardo DiCaprio movies] or [Zika virus] and get a rich panel of facts and visuals. You can also get answers via Google Now—like the weather in your upcoming vacation spot, or when you should leave for the airport—without you even needing to ask the question.

Helping you find information that gets you through your day extends well beyond the classic search query. Think, for example, of the number of photos you and your family have taken throughout your life, all of your memories. Collectively, people will take 1 trillion photos this year with their devices. So we launched Google Photos to make it easier for people to organize their photos and videos, keep them safe, and be able to find them when they want to, on whatever device they are using. Photos launched less than a year ago and already has more than 100 million monthly active users. Or take Google Maps. When you ask us about a location, you don’t just want to know how to get from point A to point B. Depending on the context, you may want to know what time is best to avoid the crowds, whether the store you’re looking for is open right now, or what the best things to do are in a destination you’re visiting for the first time.

But all of this is just a start. There is still much work to be done to make Search and our Google services more helpful to you throughout your day. You should be able to move seamlessly across Google services in a natural way, and get assistance that understands your context, situation, and needs—all while respecting your privacy and protecting your data. The average parent has different needs than the average college student. Similarly, a user wants different help when in the car versus the living room. Smart assistance should understand all of these things and be helpful at the right time, in the right way.

The power of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 key driver behind all of this work has been our long-term investment in machine learning and AI. It’s what allows you to use your voice to search for information, to translate the web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to filter the spam from your inbox, to search for “hugs” in your photos and actually pull up pictures of people hugging … to solve many of the problems we encounter in daily life. It’s what has allowed us to build products that get better over time, making them increasingly useful and helpful.

We’ve been building the best AI team and tools for years, and recent breakthroughs will allow us to do even more. This past March, DeepMind’s AlphaGo took on Lee Sedol, a legendary Go master, becoming the first program to beat a professional at the most complex game mankind ever devised. The implications for this victory are, literally, game changing—and the ultimate winner is humanity. This is another important step toward cre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help us in everything from accomplishing our daily tasks and travels, to eventually tackling even bigger challenges like climate change and cancer diagnosis.

More great content, in more places

In the early days of the Internet, people thought of information primarily in terms of web pages. Our focus on our core mission has led us to many efforts over the years to improve discovery, creation, and monetization of content—from indexing images, video, and the news, to building platforms like Google Play and YouTube. And with the migration to mobile, people are watching more videos, playing more games, listening to more music, reading more books, and using more apps than ever before.

That’s why we have worked hard to make YouTube and Google Play useful platforms for discovering and delivering great content from creators and developers to our users, when they want it, on whatever screen is in front of them. Google Play reaches more than 1 billion Android users. And YouTube is the number-one destination for video—over 1 billion users per month visit the site—and ranks among the year’s most downloaded mobile apps. In fact, the amount of time people spend watching videos on YouTube continues to grow rapidly—and more than half of this watchtime now happens on mobile. As we look to the future, we aim to provide more choice to YouTube fans—more ways for them to engage with creators and each other, and more ways for them to get great content. We’ve started down this journey with specialized apps like YouTube Kids, as well as through our YouTube Red subscription service, which allows fans to get all of YouTube without ads, a premium YouTube Music experience and exclusive access to new original series and movies from top YouTube creators like PewDiePie and Lilly Singh.

We also continue to invest in the mobile web—which is a vital source of traffic for the vast majority of websites. Over this past year, Google has worked closely with publishers, developers, and others in the ecosystem to help make the mobile web a smoother, faster experience for users. A good example is the Accelerated Mobile Pages (AMP) project, which we launched as an open-source initiative in partnership with news publishers, to help them create mobile-optimized content that loads instantly everywhere. The other example is Progressive Web Apps (PWA), which combine the best of the web and the best of apps—allowing companies to build mobile sites that load quickly, send push notifications, have home screen icons, and much more. And finally, we continue to invest in improving Chrome on mobile—in the four short years since launch, it has just passed 1 billion monthly active users on mobile.

Of course, great content requires investment. Whether you’re talking about Google’s web search, or a compelling news article you read in The New York Times or The Guardian, or watching a video on YouTube, advertising helps fund content for millions and millions of people. So we work hard to build great ad products that people find useful—and that give revenue back to creators and publishers.

Powerful computing platforms

Just a decade ago, computing was still synonymous with big computers that sat on our desks. Then, over just a few years, the keys to powerful computing—processors and sensors—became so small and cheap that they allowed for the proliferation of supercomputers that fit into our pockets: mobile phones. Android has helped drive this scale: it has more than 1.4 billion 30-day-active devices—and growing.

Today’s proliferation of “screens” goes well beyond phones, desktops, and tablets. Already, there are exciting developments as screens extend to your car, like Android Auto, or your wrist, like Android Wear. Virtual reality is also showing incredible promise—Google Cardboard has introduced more than 5 million people to the incredible, immersive and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VR.

Looking to the future, the next big step will be for the very concept of the “device” to fade away. Over time, the computer itself—whatever its form factor—will be an intelligent assistant helping you through your day. We will move from mobile first to an AI first world.

Enterprise

Most of these computing experiences are very likely to be built in the cloud. The cloud is more secure, more cost effective, and it provides the ability to easily take advantage of the latest technology advances, be it more automated operations, machine learning, or more intelligent office productivity tools.

Google started in the cloud and has been investing in infrastructure, data management, analytics, and AI from the very beginning. We now have a broad and growing set of enterprise offerings: Google Cloud Platform (GCP), Google Apps, Chromebooks, Android, image recognition, speech translation, maps, machine learning for customers’ proprietary data sets, and more. Our customers like Whirlpool, Land O’Lakes and Spotify are transforming their businesses by using our enterprise productivity suite of Google Apps and Google Cloud Platform services.

As we look to our long-term investments in our productivity tools supported by our machine learn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fforts, we see huge opportunities to dramatically improve how people work. Your phone should proactively bring up the right documents, schedule and map your meetings, let people know if you are late, suggest responses to messages, handle your payments and expenses, etc.

Building for everyone

Whether it’s a developer using Google Cloud Platform to power their new application, or a creator finding new income and viewers via YouTube, we believe in leveling the playing field for everyone. The Internet is one of the world’s most powerful equalizers, and we see it as our job to make it available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This belief has been a core Google principle from the very start—remember that Google Search was in the hands of millions long before the idea for Google advertising was born. We work on advertising because it’s what allows us to make our services free; Google Search works the same for anyone with an Internet connection, whether it is in a modern high-rise or a rural schoolhouse.

Making this possible is a lot more complicated than simply translating a product or launching a local country domain. Poor infrastructure keeps billions of people around the world locked out of all of the possibilities the web may offer them. That’s why we make it possible for there to be a $50 Android phone, or a $100 Chromebook. It’s why this year we launched Maps with turn-by-turn navigation that works even without an Internet connection, and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get faster-loading, streamlined Google Search if they are on a slower network. We want to make sure that no matter who you are or where you are or how advanced the device you are using … Google works for you.

In all we do, Google will continue to strive to make sure that remains true—to build technology for everyone. Farmers in Kenya use Google Search to keep up with crop prices and make sure they can make a good living. A classroom in Wisconsin can take a field trip to the Sistine Chapel … just by holding a pair of Cardboard goggles. People everywhere can use their voices to share new perspectives, and connect with others, by creating and watching videos on YouTube. Information can be shared—knowledge can flow—from anyone, to anywhere. In 17 years, it’s remarkable to me the degree to which the company has stayed true to our original vision for what Google should do, and what we should become.

For us, technology is not about the devices or the products we build. Those aren’t the end-goals. Technology is a democratizing force, empowering people through information. Google is an information company. It was when it was founded, and it is today. And it’s what people do with that information that amazes and inspires me every day.

Sundar Pichai, CEO, Google

<자료: 구글 공식 블로그>

 

[뉴스핌 Newspim] 이고은 기자 (goe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50대 670만명 은퇴 임박… 달러 강세에 '노후'가 흔들린다 [서울=뉴스핌] 한태봉 전문기자 = 한국의 각종 은퇴 관련 커뮤니티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이미 은퇴했거나 은퇴가 임박한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방증이다. 실제 한국의 60년대생 중 상당수는 이미 은퇴한 경우가 많다. ◆ 50~59세 은퇴 준비자만 669만명...한국 아직 준비 안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3월말 기준 한국에서 15세 이상인 총 인구수는 4553만명이다. 이 중 60세 이상 인구수는 1401만명이다. 놀라운 건 이 만60세 이상 인구 중 45%인 637만명이 여전히 취업자로 분류된다는 사실이다. 적지 않은 숫자다. 물론 이들 60세 이상 취업자 중 상당수는 주 직장에서 이미 정년 퇴직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퇴직 후 조건을 낮춰 새로운 직장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또 근로시간이 적고 급여도 낮은 기간제 근로종사자도 상당수다. 문제는 '만60세 이상 계층'의 뒤를 이어 순차적으로 퇴직이 예정된 '만50~59세 계층'이다. 현재 1973년생이 만50세에 해당된다. 또 1964년생이 만59세에 해당된다. 이들은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 직장에서 앞으로 10년 이내에 질서정연하게 순차적으로 퇴직할 예비 은퇴자들이다. 만50~59세 인구수는 총 865만명이다. 이중 직장에 다니는 취업자수는 남녀 합쳐 669만명이다. 취업률이 77%에 달한다. 이들이 한국 경제의 허리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남자(378만명)와 여자(291만명) 취업자수 격차는 87만명에 불과하다. 맞벌이 비중도 상당함을 알 수 있다. 이들 '만50~59세 계층' 중 막내인 1973년생은 정년이 연장되지 않는 한 10년 뒤에 정년 퇴직한다. 2035년 즈음인 이때부터 한국은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등이 적자로 돌아서며 국가재정 부실 문제가 본격화된다. 또 노후 빈곤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크다. 남은 시간은 고작 10년이다. ◆ 정부만 믿었다간 낭패, 노후 월 생활비 얼마? 미래에 재정이 고갈될게 확실한 국민연금의 개혁은 여전히 지지부진하다. 오히려 40%에 불과한 소득대체율을 더 높여야 한다는 게 소득보장론자들의 주장이다. 반면 보험료율을 현재의 9%에서 13%로 인상하되 소득대체율은 지금의 40%로 동결해야 한다는 게 재정안정론자들의 주장이다. 이들의 의견이 여전히 팽팽히 맞서고 있다. 국민연금에 대한 입장은 세대별로 다르다. 국민연금이 최초 도입된 1988년부터 꾸준히 연금을 불입해 온 만 60세 이상 은퇴자들은 국민연금의 최대 수혜자다. 또 '50~59세 계층'까지는 국민연금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세대다. 하지만 나머지 '15~49세 계층'부터는 연금보험료를 성실히 불입하고도 혜택은 크게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또 현재는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도 소득의 8% 수준이지만 미래에는 큰 폭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2025년부터 만65세 이상 노령인구수가 전체 인구수의 20%를 돌파하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기 때문이다. 의료비의 폭발적 증가는 이미 정해진 미래다. 한국의 은퇴 예정자들은 본인의 노후를 스스로 책임지는 각자도생의 시대에 살고 있다. 요즘 은퇴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들을 살펴보면 "60살 돼서 이번에 은퇴하는 데 살고 있는 집 한 채 빼고 현금 10억원 있으면 충분한 걸까요?", "저는 집 한 채 빼고 현금 5억원에 국민연금과 사적 연금 합쳐서 월 350만원씩 수령하는 데 노후생활이 걱정돼요" 등 은퇴 후부터 본인 수명이 다 할 때까지 얼마의 돈이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이 많다. 전국 주요 도시에 거주하는 20~79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KB골든라이프 보고서(2023년11월)'에 따르면 노후에 필요한 생활비는 월 369만원이었다. 가구 유형별로는 부모자녀가구 월 402만원, 부부가구 월 366만원, 1인가구 월 299만원이었다. 이 중 조달 가능한 금액은 57.6%를 예상했다. 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의 3중 연금으로도 만족스러울 만큼 은퇴준비가 잘 된 사람은 흔치 않다. 여기에 사적 연금을 최대한 잘 준비한 소수의 사람들만이 은퇴 걱정 없이 살아가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직 은퇴 준비가 덜 된 상태다. 실제 노후 생활비는 개인별로 씀씀이가 달라 편차가 클 수 밖에 없다. 얼마나 오래 사느냐에 따라 최종 금액이 확 달라지게 된다. 더 중요한 건 본인의 수명을 예측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현실이다. 따라서 의료비까지 감안하면 예상금액보다 노후 대비자금을 좀 더 확보하는 게 중요할 수 밖에 없다. ◆ 예비 은퇴 예정자, 상가 등 부동산 투자 시들…왜? 그런데 최근 들어 이전과는 다른 종류의 고민을 하는 예비 은퇴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은퇴커뮤니티에 "이번에 명퇴금 포함해 4억원을 받게 되는 데 이걸로 수도권 상가나 아파트에 투자할 지 아니면 미국 달러로 된 월배당 해외주식 ETF에 투자할 지 고민이에요"라고 질문하는 게 대표적이다. 과거 부동산 일변도였던 노후 대비 현금흐름 구축이 이제 달러 기반의 미국 자산으로 넘어가는 이유가 뭘까? '코로나19'로 상가 공실률이 급증하면서 오피스나 상가 투자의 위험성이 널리 알려졌기 때문이다. 최근 주요지역 오피스 및 상가 공실률을 살펴보면 '코로나19' 당시 보다는 회복됐다. 하지만 여전히 전국 공실률은 8.6%로 높은 편이다. 지역별로도 편차가 극심했다. 서울의 경우 2022년 1분기 공실률 7.1%에서 2년 뒤인 2024년 1분기에는 5.4%로 1.7%(P) 감소했다. 기업들에게 인기가 많은 여의도 지역의 공실률은 3% 미만이다. 반면 강원도나 충북의 공실률은 무려 26%다. 인천 역시 21.3%로 상당히 높은 공실률을 보이고 있다. 보유중인 상가에서 공실이 발생할 경우 대출이자와 관리비를 감당하기가 어려워진다. 특히 공실 상가는 매물로 내놔도 거래가 잘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마디로 애물단지로 전략하게 된다. 또 공실이 아니더라도 세입자 관리가 만만치 않다. 결론적으로 핵심지인 서울 강남이나 여의도의 경우 공실리스크는 적지만 투자금액 규모가 상당하다. 평범한 중산층 은퇴자들의 노후대비 전략으로는 맞지 않다. 그렇다고 가진 돈에 맞춰 지방 상가에 투자할 경우 공실 위험이 상당하다. 이게 은퇴자들을 고민에 빠트리는 요인이다. 사실 상가보다는 주거용 부동산 투자가 더 안정적이다. 과거에는 본인이 거주하는 주택 외에 추가로 1-2개의 주택을 더 취득해 이를 월세로 임대해 현금흐름을 만드는 방식도 많이 활용됐다. 하지만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가 강화되면서 이런 방식도 시들해졌다. 따라서 부동산 투자로 노후를 대비하려는 수요가 과거보다 줄고 다른 방식으로 현금흐름을 만들어내려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 달러 기반 미국 월배당 ETF 투자 대유행 한국인의 전체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70%가 넘는다. 따라서 여전히 주거용 부동산이나 상가 투자규모가 압도적으로 크다. 하지만 점진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 한국인의 미국 주식이나 미국 상장 ETF 직접 투자규모가 100조원이 넘는다. 또 한국에 상장된 달러 노출 '미국 주식 월 배당 ETF' 투자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주요 7개 ETF의 순자산 규모 합계액만 벌써 3조원에 육박한다. 이는 그 만큼 매월 지급받는 현금흐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또 미국 달러자산에 대한 수요도 높아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특히 한국 상장 월배당 ETF 중 은퇴 준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유형은 미국에 상장된 '슈왑 미국 배당주(SCHD) ETF'와 유사한 '미국 배당 다우존스 ETF'다. 10년 이상 연속으로 배당을 늘려온 기업 100여곳에 분산 투자하는 게 특징이다. 연간 배당률은 약 3% 내외다. 한국에서는 대표적으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가 순자산 8200억원, 신한자산운용의 'SOL 미국배당다우존스'가 순자산 5200억원, 한국투신운용의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가 순자산 31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한국에 상장된 각 운용사들의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는 미국 상장 ETF와 달리 개인연금, 퇴직연금, IRP, ISA계좌에 편입이 가능한 게 최대 장점이다. 따라서 소득공제 및 저율과세 혜택 때문에 더 인기를 끌고 있다. 은퇴자들 입장에서는 따박 따박 들어오는 월 배당금(분배금)이 생명선이나 다름없다. 운용사간 3파전도 치열하다. 운용사들도 앞으로 월배당 ETF의 성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해 총력전이다. 덕분에 연간 총보수는 0.01%까지 내려갔다. 채권형도 아닌 해외 주식형 ETF의 총보수가 고작 0.01%인 건 매우 이례적이다. 예비 은퇴자들에게 앞으로도 인기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조건을 모두 갖춘 셈이다. [사진 = 셔터스톡] 퇴직 중인 아시아 여성 ◆ 은퇴자들 고민은 달러강세, 세금, 그리고 건보료 한국의 은퇴자들과 은퇴 준비생들은 요즘 기록적인 일본의 엔화약세 현상을 목격하며 새로운 고민에 빠져들었다. 본인의 자산을 100% 원화 기반으로만 보유했다가는 10년이나 20년뒤 일본 엔화처럼 원화가치가 폭락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다. 지난 14년간 엔화가치는 달러 대비 반 토막이 났다. 미래에 한국 원화도 일본 엔화와 같은 길을 걷는다면 한국 원화 기반의 부동산, 주식, 채권에만 투자해 놓는 건 위험한 선택이다. 이제 달러로의 통화 분산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돼 가고 있다. 또 한국의 재정적자는 갈수록 심각해 지고 있다. 이 또한 원화 약세 요인이다. 이에 따라 미래에는 정부가 부득이 증세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런데 한국의 소득세 최고과세율은 이미 49.5%(주민세 포함)로 충분히 높다. 상속세 최고과세율도 50~60%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따라서 증세를 한다면 한국의 부동산 세금이나 재산세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장기적으로 볼 때 이래 저래 부동산보다는 재산세가 없는 달러 기반의 미국 주식이나 미국 ETF 비중을 높이는 게 더 효율적인 전략이다. 준조세나 다름없는 건강보험료도 문제다. 은퇴를 하고 나면 자식들 명의의 피부양자로 등록해 건강보험료를 안 내고 싶은 게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현재의 건보료 재산기준으로는 소득과 상관없이 재산과표(지방세 기준) 9억 원을 초과하면 피부양자 자격이 박탈된다. 또 재산과표가 9억원에 미달하더라도 연 소득 1000만원이 넘고 재산과표가 5억4000만원∼9억원에 해당하면 피부양자 자격을 잃도록 돼 있다. 따라서 이 요건에 해당되는 사람들은 건강보험료가 공포스러울 수 밖에 없다. 더 무서운 건 급격한 노령화로 건강보험료는 계속 인상될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이래 저래 한국에서 은퇴자가 여유로운 노후를 보내는 건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만50~59세 계층'에 해당되는 669만명의 은퇴 예정자들은 좀 더 철저히 본인의 은퇴계획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바야흐로 각자도생의 시대다. longinus@newspim.com     2024-05-13 07:30
사진
尹 "아내 처신 사과…특검, 수사 후 부실 있을 때 하는 것" [서울=뉴스핌] 박성준 김가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9일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 "제 아내의 현명하지 못한 처신으로 국민께 걱정 끼친 부분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윤 대통령은 야당의 특검요구에 대해서는 "어떤 면에서는 정치 공세, 정치 행위 아닌가"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윤 대통령은 "검찰에서 수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검찰 수사에 대해서 어떤 입장 또는 언급을 하는 것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해가 일어날 수 있기 떄문에 거기에 대해서는 제가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공정하고 엄정하게 잘 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를 하고 있다.[사진=ktv 캡처 ] 2024.05.09 photo@newspim.com 이어 "특검 문제는 제가 지난 1월에 재의요구를 했지만 검찰 또는 경찰의 수사가 봐주기 의혹이나 부실 의혹이 있을 때 특검을 하는 것이 맞다고 야당도 주장해 왔다"며 "특검이라고 하는 것은 일단 정해진 검경, 공수처 등 기관의 수사가 봐주기나 부실 의혹이 있을 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도이치(모터스)니 등 사건에 대한 특검 문제도 지난 정부 2년 반 정도 사실상 저를 타겟으로 검찰에서 특수부까지 동원해서 치열하게 수사했다"며 "그런 수사가 지난 정부에서 저와 제 가족을 봐주기 수사를 했다는 것인지, 봐주기 수사를 하면서 부실하게 했다는 것인지, 저는 거기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윤 대통령은 "그 자체가 모순이라고 생각한다. 특검이라고 하는 것을 20여년 넘도록 여러 차례 운영해왔지만 그런 관점에서 여야가 의견 일치를 보고 해온 것"이라며 "지난번 재의요구에서 했던 특검에 대해서는 지금도 여전히 할 만큼 해놓고 또 하자는 것은 특검의 본질이나 제도 취지와는 맞지 않는, 어떤 면에서는 정치 공세 정치 행위 아닌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진상을 가리기 위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 그런 생각은 여전히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parksj@newspim.com 2024-05-09 10:4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