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통한 투자 장려, 대형 자본 문화산업 진입 가속
[편집자] 이 기사는 04월 21일 오후 5시30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베이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최근 중국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산업 중 하나는 바로 문화산업이다. 늘어난 소득만큼이나 여가생활 및 문화생활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면서 문화산업은 오늘날 자본과 투자자본이 집중하는 유망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지난 3-4년간 중국 영화업계는 박스오피스 기록을 잇따라 갱신하고 있으며, 게임산업에서도 막대한 자본을 투자해 영향력을 높여가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가상현실·팬덤경제·온라인스타경제 등이 문화계 새로운 테마로 부상, 거대한 수익을 창출하면서 대형 자본의 구미를 자극하고 있다.
◆ 중국 정부, 문화산업 발전 위한 민간자본 진입 촉진
국가의 소프트파워를 강화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문화산업 육성이다. 일례로 드라마나 영화가 흥행하면 그 나라 문화를 소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타 마케팅을 통한 대규모 팬덤경제효과와 캐릭터 판매·해외 관광객 유치 등의 파생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국가 이미지 제고에도 지대한 역할을 한다.
최근 화제 속에 막을 내린 KBS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대표적인 케이스. 드라마가 방영되는 기간에는 물론, 종영된 현재에도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2차 콘텐츠·관련 상품·팬덤 경제 등이 지속적으로 수익을 창출해내면서 태양의 후예 경제 효과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할리우드 영화의 경제적 수익과 한류 드라마의 파급력을 인식한 중국 정부는 지난 수년간 문화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외국 드라마의 황금시간대 방영을 단속하는가 하면, 자국 영화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한 것도 눈에 띈다. 3월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전영(電影)사업발전전문자금관리위원회는 해외시장에서 박스오피스 수입이 100만 위안(한화 약 1억8136만원) 이상을 기록한 자국 영화를 대상으로 장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문화산업 관련 펀드 조성을 위한 지원 카드를 잇따라 발표하면서, 대형 산업자본의 문화산업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2009년 7월 국무원은 ‘문화산업진흥규획’을 발표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문화부가 ‘문화산업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의견’을 마련했다. 이어 2010년에는 9개 부처 위원회가 공동으로 ‘문화산업 진흥 및 발전 위한 금융지원에 관한 지도의견'을 발표했고, 2011년 10월 열린 17차 6중전회에서는 문화산업 촉진에 관한 관련 정책이 통과됨과 동시에 정책 측면에서 국민경제 중 문화산업의 역할 및 지위를 확립했다.
이후 미디어 관련 인수합병(M&A) 건수 및 기업공개(IPO)가 단계적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한 가운데, 2012년 6월 문화부는 ‘민간자본의 문화영엽 진입 인도 및 장려에 관한 실시의견’을 발표하고 민간자본의 펀드형식을 통한 문화산업 진입을 장려하고 나섰다.
◆ 2015년 문화산업 유입 자금규모 35조원 육박, 관련 투자 조성 잇따라
중국 당국의 지원방침에 힘입어 2013년 이후 자본시장에서는 미디어 관련 투자 및 M&A가 절정을 이루었다. M&A로 인한 구조재편이나 우회상장 등을 통해 발행시장 및 유통시장 모두에서 문화관련 투자가 활기를 띠었고, 문화산업펀드도 빠르게 늘어나며 산업통합 및 자원배치에 있어 날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는 분석이다.
중국 시장조사기관인 신원문지(新元文智)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문화산업에 유입된 자금(상업은행 자금 제외)규모는 2003억3900만 위안(한화 약 35조600억 원)에 육박했으며, 이중 지분투자액이 770억6200만 위안으로 전체의 3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생증권(民生證券)이 인용한 또 다른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문화산업펀드 수는 100개를 돌파, 펀드총액은 1408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014년에는 총 51개 신규 펀드가 설립됐고, 이중 공모펀드로 조성된 40개 펀드의 총 모집액은 1196억8500만 위안, 펀드 당 평균 29억9200만 위안씩 모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에는 24개의 문화산업투자펀드가 새롭게 설립됐다.
지역별로 보면 문화산업펀드의 60% 이상이 베이징·상하이·광저우 등 1선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고, 투자분야별로는 영화(드라마) 및 애니메이션·게임·인터넷 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인터넷 기업들의 문화산업 투자가 두드러졌다. 윈드(Wind) 등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현재까지 문화산업 투자액 및 투자횟수 기준 알리비비그룹 산하 알리자본과 텐센트그룹의 텐센트펀드가 선두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문화산업펀드 ‘황금기’, 다국적 펀드 출현도 임박
전문가들은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산업펀드 조성 열풍은 현재의 시대적 배경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한다. 정부 정책에 더해일인당 소득 증가·인구구조 변화·대중오락소비수요 폭증 등으로 관련 산업의 미래가 밝게 점쳐지고 있으며, 또한 각종 민간자본의 적극적인 참여와 자본시장의 풍부한 자본운용경험 등 요소도 이들 문화관련펀드 탄생을 촉진하고 있다.
민생증권 관칭유(管清友) 원장은 “향후 10년 중국인들의 정신소비수요가 부단히 제고됨에 따라 문화 및 엔터테인먼트산업펀드 또한 장기 황금기를 맞이할 것”이라며 펀드시장은 향후 다음과 같은 3가지 특징을 띠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 원장은 먼저 문화산업펀드와 우수 프로젝트간의 수급불균형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중국 국내산업펀드들은 주로 성숙한 모델을 갖추고 2-3년 내 상장할 수 있는 기업을 선호하고 있지만, 문화산업분야의 시장화는 아직 초기단계라 비즈니스모델을 갖춘 기업이 많지 않아 단기내 급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또한 정보 불균형 문제가 여전한 가운데, ‘돈은 있지만 마땅한 투자 대상은 없는’ 현상이 지속되면서 자금이 필요한 중소형 창업 문화기업들은 자금난에 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문화산업펀드의 영화·게임·디지털 마케팅 등에 대한 투자가 대세가 될 것이라는 점이 꼽혔다. 라디오·TV·출판 등 전통 문화계는 정부 정책 및 행정체제의 간섭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국유자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어 제약이 많지만, 영화나 게임·디지털 마케팅 등은 ‘고성장’ ‘첨단 기술’을 가지고 있어 민간자본의 투자의욕을 자극하고, 또한 비교적 단기간에 양호한 투자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다국적 문화산업펀드 출현이 임박했으며, 해외투자자와의 협력을 통해 해외 우수 문화산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특파원 (hongwoor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