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눈이 휘둥그레지는 중국의 12가지 맨얼굴

기사입력 : 2016년03월18일 17:05

최종수정 : 2016년03월18일 17:06

세계 돼지 절반은 중국에, 기독교인 이탈리아 추월,
아동흡연 아일랜드인구 두배,1년소비 라면 유럽인구 두달식량

[편집자] 이 기사는 02월 23일 오후 5시1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지연 기자] 중국은 G2 경제대국으로서  국가 GDP 규모가  도미니카 공화국의 1만9758배에 달하지만,  1인당 GDP는 도미니카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인구 대국이다 보니 중국인들이 한해 먹는 라면은 유럽국가 전체 인구의 52일치 식량 만큼이나 많다.  중국의 돼지 사육 두수는 전세계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절반을 차지한다. 최근 봉황국제(鳳凰國際)iMarkets에 보도된 중국의 소비, 생산, 인구통계 등 경제 사회 분야에 대한 흥미있는 통계를 소개한다. 

1. 중국의 기독교 신자 수는 바티칸 포함 이탈리아 기독교인 보다 많다

이탈리아 인구의 80%는 기독교도지만 중국의 기독교인 수는 총 인구의 5.1%밖에 되지 않는다.

중국의 인구는 13억6700만명으로, 이중 6974만명이 기독교 신자다. 이탈리아 인구는 6186만명, 바티칸 인구는 842명이다.

<이미지=바이두(百度)> 

2. 중국인이 지난 3년간 사용한 일회용 젓가락을 전 세계인에게 나눠주면 한 사람당 32쌍이다

전 세계 인구는 73억9000만명이다.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매해 약 800억쌍의 일회용 젓가락이 사용된다. 매년 2000만 그루의 나무가 베이는 셈이다.

<이미지=바이두(百度)> 

3. 중국 GDP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1만9758배지만, 양국의 1인당 GDP는 비슷하다

세계은행(WB)이 2014년 집계한 추산치에 따르면 중국의 GDP는 10조3500억달러, 도미니카 공화국 GDP는 5억2405만달러다.

도미니카 공화국의 경제 규모는 최신 영화 ‘스타워즈’의 티켓 판매액에도 못 미치는 수준.

하지만 중국의 1인당 GDP(7590달러)는 도미니카 공화국(7244.5달러) 보다 낮다.

<이미지=바이두(百度)> 

4. 중국 흡연아동 수는 아일랜드 인구의 2배다

중국은 세계 최대 담배 소비국가다. 성인 흡연자수가 2억7590만명 이상에 달한다.

‘담배지도’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어린이 893만7000명은 매일 담배를 피운다.

전 세계 담배의 1/3은 중국에서 판매되며, 중국 흡연자의 1/3은 담배 때문에 사망한다.

아일랜드의 인구수는 461만2719명이다.

<이미지=바이두(百度)> 

5. 중국인이 한해 먹는 라면은 유럽 전체인구가 52일간 먹을 수 있는 양이다

중국인은 2014년 한해 동안 라면 444억 봉지를 먹었다.

러시아와 터키를 포함한 유럽의 인구는 8억5300만명 이상으로, 한 사람당 라면 1봉지를 먹는다고 가정하면 2014년 중국 라면 판매량으로 유럽 전체에 52일간 공급이 가능하다.   

<이미지=바이두(百度)> 

6. 상하이타워의 높이는 농구선수 마이클 조던 319명이 수직으로 선 것과 같다 

높이 632m의 상하이타워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빌딩이다.

전설적인 농구 선수 마이클 조던의 키는 약 1m98cm이다.

<이미지=바이두(百度)> 

7. 중국의 한해 아이스크림 소비량으로 올림픽 표준 수영장 2344개를 채울 수 있다

2014년 중국은 58억6000만리터의 아이스크림을 소비,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아이스크림 소비국으로 거듭났다.

올림픽 표준 수영장 용적은 약 250만리터에 달한다.

<이미지=바이두(百度)> 

8.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가 지난해 57층짜리 고층빌딩 하나를 세우는 데는 19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 고층빌딩은 총 800개 회사가 입주 가능한 4000명 수용인원의 오피스타워다.

위치가 공항과 가까운 관계로 원래의 계획을 수정해 지을 수 밖에 없었다.

<이미지=바이두(百度)> 

9. 전 세계 50%의 돼지가 중국에서 사육되고 있다

돼지고기는 중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식재료다. 중국인이 한해에 평균적으로 먹는 돼지고기 양은 약 39kg에 달한다.

2011년 중국 돼지고기 가격의 급등은 높은 인플레이션을 초래한 주요인이다.

<이미지=바이두(百度)> 

10. 중국의 면적은 미국과 비슷하지만 지역 간 시차가 없다.

면적 약 960만㎢의 중국은 1개의 표준시간대를 채택하고 있어 각 지역에서 진풍경이 펼쳐진다.

북서부에 위치한 신장(新疆) 우루무치(烏魯木齊)의 경우 여름철에는 자정이 돼야 해가 지고, 겨울철에는 오전 10시가 돼야 해가 뜬다.

약 983만㎢ 면적의 미국에는 4개의 표준시간대가 있다.

<이미지=바이두(百度)> 

11. 국제축구연맹은 고대 중국의 공놀이 축국(蹴鞠)을 축구의 기원으로 인정했지만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성적은 늘 좋지 못 했다

발로 공을 찬다는 의미를 지닌 축국은 기원전 4세기 군사 훈련의 일종이었다.

현대 축구의 기원은 중국에 있지만 중국 국가대표팀의 세계 랭킹은 82위에 머물고 있다.

<이미지=바이두(百度)> 

12. 선전(深圳)에는 짝퉁 ‘골드만삭스’가 있다

중국 선전에는 골드만삭스(高盛)라는 이름의 금융리스(finance lease) 회사가 있다.

골드만삭스 홍콩지사 대변인은 이 회사와 아무런 연관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선전 ‘골드만삭스’ 관계자는 고의가 아니라고 해명했다.

<이미지=바이두(百度)>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가덕도신공항 시공사 교체되나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장기간 표류한 부산 가덕도신공항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국토교통부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 교체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시공사가 전면적으로 바뀔지 주목된다. 2029년 개항이 사실상 물 건너가면서 국토부가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공사측은 공사기간 연장, 공사비 증액을 포함한 게약조건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덕도신공항 공사 입찰 당시에도 우선협상대상자가 수의계약으로 결정된 만큼 국토부가 재입찰을 진행해도 대체 시공사를 찾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결국 양측이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상당기간 평행선을 달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가덕도신공항 공사 개요 및 국토교통부, 현대건설 컨소시엄 간 부지조성공사 기본설계 조건 입장 차이.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현대건설 "국토부 공기·공사비 못 맞춰… 안전 1순위" 8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가덕도신공항 기본설계안 변경 사유를 담은 시공단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타당성이 입증되지 않을 경우 수의계약 취소까지 거론되는 상황이지만, 어느 쪽을 선택하든 개항 연기는 막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이번 주 중으로 정부에 공사기간을 기존 7년에서 9년으로 연장해야 하는 사유를 담은 설명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지난주 국토부에 기본설계도서를 제출하면서 공사기간을 108개월로 제시했다. 국토부는 즉각 입찰공고에 제시된 공기(84개월)보다 2년이 더 필요한 구체적 사유와 설명자료 제출 등을 요구했다. 가덕도신공항 공사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 일대 666만9000㎡에 활주로와 방파제 등을 포함한 공항 시설 전반을 건설하는 10조5300억원의 규모 사업이다. 당초 2035년 6월 개항으로 추진됐지만 '2030 부산 세계 박람회'(엑스포) 유치 국면을 맞아 5년 이상 당겨졌다. 엑스포 유치가 무산된 후에도 정부의 가덕도신공항 조기 개항 방침은 그대로 유지됐다. 현대건설은 최대 깊이 60m에 달하는 대심도의 연약 지반을 매립해야 하는 공항 부지 특성상 지반 개량을 위해 해상 구조물인 케이슨을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케이슨은 육상에서 만든 뒤 해상으로 옮겨 바다에 가라앉힌 다음 안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약 7개월의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사업지 주변은 태풍이 발생하면 파도가 12m에 이르는 먼바다에 해당하는 지역이기에 높은 파도에 대비한 안전 시공법도 적용해야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에도 "파랑의 영향을 크게 받는 12월~2월이나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7월에는 해상작업일수가 한 달에 10일 미만"이라며 "해상운반, 거치, 케이슨 속채움 등의 해상작업이 어렵다"고 적혀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6개월간 250여 명의 인력을 투입해 사업성을 재검토한 결과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설계하려면 108개월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냈다"며 "현재로서는 기본설계를 변경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공사비 역시 정부가 내놓은 10조5000억원보다 최소 1조원을 증액해야 한다는 뜻도 내비쳤다. ◆ 형평성 안 맞아 시공단 바꾼단 국토부… 업계 반응은 "글쎄" 부산시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적정 공사 기간과 현장 여건, 시공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건설 계획을 제시해달라"며 "지역의 기대를 저버리는 일이 없도록 신속히 착공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국토부도 강경한 입장으로 맞섰다. 컨소시엄이 기본설계 기간을 준수하지 않으면 재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즉시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하고,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구성해 차회 입찰방식 등을 신속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 또한 지난달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대건설이 국토부가 내건 조건에 맞춰 기본설계를 보완해온다면 그에 맞춘 조치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플랜B'를 가동할 수밖에 없다"며 재입찰 검토에 힘을 실었다.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부터 공기 준수를 주요 요건으로 내세운 만큼 현 컨소시엄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은 입찰 의사를 보였다가 포기한 타 건설사와의 형평성에 위배된다는 분위기다. 업계에선 국토부가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실격 처분(DQ)을 내리고 재입찰을 진행하는 것보다 공기 협의를 하는 방향이 사업 속도를 높이는 데에 더욱 유리할 것이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공항 건설 자체가 고난도인데다 해상 매립까지 수반하는 공사임에도 주어진 기간이 과도하게 짧다 보니 선뜻 손을 드는 회사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커서다. 최초 입찰 때도 이 같은 이유로 네 차례나 입찰이 유찰된 바 있다. 당시 공동도급 제한 조건이 과도하게 까다롭다는 비판이 일었다. 공사 규모가 10조원 이상인데 10대 건설업체 중 2개 업체를 초과해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없어 공사를 마치기 위한 위험 부담과 비용이 크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국토부는 3개사까지 참여 가능한 것으로 조건을 수정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기가 당초 계획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데다 해안가 공사라 지반 침하 문제도 있어 난도가 매우 높다"며 "금액을 떠나 이런 공사는 위험 부담이 커서 참여하려는 회사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 또한 공사기간 연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박영강 동의대 명예교수는 "파도가 많은 외해에 속하는 가덕도 앞바다에 플로팅(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과 같은 획기적인 공법을 적용하는 데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훈구 KDI 재정투자평가실장은 "해외 유사공항 사례에서 보듯이 해상공항은 사업기간이 6~9년 정도 소요된다"며 "통상 매립공사에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연약지반 처리, 호안공사(매립지 테두리를 만드는 공사) 등에도 다수의 인력이 장기간 사용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2025-05-08 06:00
사진
콘클라베 첫날 교황 선출 실패...검은 연기 [뉴욕 런던=뉴스핌]김근철· 장일현 특파원=새 교황 선출을 위해 7일(현지시간) 시작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 회의)에서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날 오후 9시쯤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성당 굴뚝 위로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이는 이번 콘클라베에 참여하는 추기경 133명의 첫 투표에서 선거인단 3분의 2 이상인 최소 89명의 지지를 얻은 후보가 없었다는 의미다.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예배당의 지붕 굴뚝에서 7일(현지시간) 밤 교황 선출 실패를 알리는 검은 색 연기가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kckim100@newspim.com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의 3분의 2 이상 지지로 새 교황이 선출되면 교황청은 투표 용지를 태워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 흰 연기를 피우고, 아니면 검은 연기로 투표 결과를 알린다. 첫날 회의에 새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기경들은 시스티나 성당에 계속 머물면서 8일부터는 오전과 오후 각각 두 차례, 하루 최대 네 차례 투표해 제267대 교황을 뽑게 된다. 지난 2013년에는 다섯 번째 투표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됐다. 콘클라베는 가톨릭 규정에 따라 교황이 선종한 뒤 15∼20일 사이에 시작한다. 콘클라베 방식의 교황 선출은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가 정립했다. 정치적 외압이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추기경들을 한곳에 몰아넣고 차기 교황을 뽑을 때까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시스티나 성당은 19세기 후반부터 콘클라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콘클라베에서는 모든 추기경이 후보인 동시에 유권자이다. 따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채 각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을 적어 내며,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벽화가 있는 제단 앞에서 비밀 투표를 반복한다. kckim100@newspim.com 2025-05-08 04:5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