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자산 매입 한도 폐지 및 회사채 편입 등 시나리오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유럽중앙은행(ECB)이 월 600억유로 규모의 양적완화(QE) 종료 시한을 올해 9월에서 2017년 3월로 연장했지만 공식적인 프로그램 만료일 이전에 손발이 묶일 전망이다.
지난해 3월 QE를 본격 단행한 이후 사들인 주요 회원국의 채권 규모가 이미 한도에 근접했고, 자산 매입 프로그램의 규정을 수정하지 않을 경우 기존의 프로그램이 1년 이내에 작동을 멈출 전망이다.
인플레이션을 포함해 주요 경제 지표가 여전히 부진한 가운데 ECB의 부양책이 이렇다 할 효과를 거두지 못한 채 종료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 <출처=AP/뉴시스> |
ECB의 자산 매입에 따른 금융시장의 왜곡이나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다각도의 장치가 마련됐고, 이 가운데 한 가지가 특정 회원국의 채권을 3분의 1 이상 매입하지 못하도록 제한한 규정이다.
또 ECB의 자산 매입은 각 회원국이 중앙은행에 납입한 자본금의 비율을 넘어서지 않도록 제도적 장벽이 설정돼 있다.
문제는 유로존 최대 경제국인 독일과 핀란드, 포르투갈의 자산 매입 규모가 이미 한계 수위에 바짝 근접했다는 점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내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ECB가 금리 추가 인하를 포함해 부양책 확대를 단행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지만 기존의 규정대로라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셈이다.
ABN 암로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ECB가 자산 매입 규모를 월 700억유로로 늘릴 경우 독일과 핀란드의 채권 매입 규모가 QE 종료 시한인 2017년 3월 이전에 이미 한도인 33%에 이르게 될 전망이다.
자산 매입을 확대하지 않더라도 독일의 경우 앞으로 1년 이내에 ECB가 사들일 수 있는 물량을 모두 채우게 될 것으로 투자자들은 판단하고 있다.
다만, 실제 상황은 채권 수익률 추이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지만 이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무엇보다 독일 채권의 매입 한도가 코 앞으로 다가온 점이 ECB 정책자들에게 커다란 난관이라는 데 시장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이 때문에 투자자들은 ECB와 유로존 정책자들이 기존의 QE 관련 규정을 수정할 것인지 여부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부에서는 ECB가 자본금 납입 비율과 관련된 자산 매입 한도를 폐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이 경우 매입한 채권의 손실에 대한 리스크를 고스란히 감내해야 한다.
또 한편에서는 ECB가 회사채를 QE 프로그램에 포함시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를 겨냥, 일부 자산운용사는 회사채 비중을 늘리는 움직임이다.
엘 스투르차 인베스트먼트 펀드의 에릭 반라에스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23일 CNBC와 인터뷰에서 “ECB가 자산 매입 영역을 회사채로 확대할 것으로 보이며, 이 때문에 다수의 펀드가 국책 기관이 발행한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투자자들은 내달 10일 열리는 회의에서 ECB가 예금 금리를 10bp 추가 인하, 마이너스 0.4%로 낮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