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 운용사중 7곳 MS 1%도 안돼…'이색'ETF도 투자자 관심 못끌어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2일 오후 7시 1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뉴스핌=이에라 기자]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20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 규모로 성장했지만, 절반 이상의 자산운용사가 점유율 0%대에 맴돌고 있다.
대형 운용사들은 전담 조직과 인력을 갖추고 선발주자로서 시장을 빠르게 선점했다. 반면 마케팅에서 밀리는 중소형 운용사들은 이색 ETF를 출시하고 있지만 투자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실패했다.
◆ KTB자산운용, 운용 중인 1개 ETF 폐지..사업 잠정 중단
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TB자산운용이 운용 중인 유일한 ETF인 'GREAT SRI'가 오는 12월 15일 상장 폐지될 예정이다.
이 ETF는 거래 요건 미달로 지난 7월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후, 지난달 14일 KTB운용 측이 자진 상장폐지를 신청했다.
지난 2009년 12월 상장한 이 ETF는 사회책임투자지수를 활용한 최초 ETF 였지만, 계속되는 거래부진으로 결국 상장 폐지된다.
KTB운용은 지난 6월 GREAT GREEN ETF에 이어 이번 ETF 상장폐지로 운용하던 ETF를 모두 접게 됐다.
KTB자산운용 관계자는 "아직 ETF 신규 출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사업을 완전히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새로운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 등을 더 고민해보고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현재 KTB자산운용의 ETF 시장 점유율은 0.01%이다. KTB자산운용 외에도 점유율이 0%대에 불과한 운용사는 10곳이나 된다. 17개 ETF 운용사 중 56%이다. 반면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대형사 2곳이 각각 51%, 22%의 점유율로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KB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한화자산운용, 교보악사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 5곳이 약 25% 정도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 중소형 운용사, 1호 ETF 타이틀도 초라해
업계에서는 ETF 시장에서 중소형 운용사가 성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ETF가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펀드이기 때문에 초과 수익을 내는 곳보다는 트레킹에러(추적오차)를 적게 내는 소수 운용사로 거래가 집중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한 중소형 자산운용사 대표는 "시장이 2~3개 운용사만 과점할 수 있다는 건 ETF 차제의 구조적인 문제에서 나오는 것"이라며 "ETF가 공식화된 룰에 따라 지수를 트레킹에러(추적오차) 없이 따라가는 상품이기 때문에 유동성 있고, 규모가 큰 운용사로만 계속해서 자금이 몰릴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일부 중소형사가 특색있는 ETF로 대형사들과 차별성을 강조해도 관심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 2009년에는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이 국내 최초로 금과 보험ETF를 선보였지만 거래 부진으로 약 2년만에 상장 폐지됐다. 이후 현대인베스먼트는 ETF 시장에서 철수했다. 지난 3월에는 흥국자산운용이 '로우볼(저변동성)'이라는 특화된 컨셉의 상품으로 ETF를 내놓았지만, 순자산은 60억원 안팎에 그쳤다.
전문 인력이나 마케팅 등에서 뒤지는 것도 한계로 지적된다. 대형사들은 ETF 전담 인력과 조직을 갖추고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소형사들은 ETF 관련 조직과 인력이 없는 곳이 대부분이다.
다른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ETF 시장의 가장 중요한 역량 중 하나는 마케팅"이라며 "이미 대형운용사가 1·2위를 확고히 지키고 있는데, 나머지 시장 점유율은 운용사들의 마케팅 비용에 따라 점유율이 조금씩 달라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이유는 ETF 설정을 기관들이 할 수 있기 때문에 계열 보험사나 생명 등을 끼고 있는 대형사가 상대적으로 시장 선정에 유리할 수 밖에 없다는 것.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ETF 시장 뒤늦게 진출한 중소형 운용사들이 크게 성장하는 것은 힘들어 보인다"며 "현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대형사들이 상품 역량, 전문 조직 등을 바탕으로 성장해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이에라 기자 (E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