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 초기 오히려 경기 부양 효과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29일 오전 5시21분에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ANDA'에 먼저 표출됐습니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연방준비제도(Fed)가 28일(현지시각) 예상대로 제로 수준의 금리를 유지한 가운데 이르면 12월 금리인상을 단행할 때까지 주식을 적극 매입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긴축이 이뤄질 경우 유동성 위축과 기업 자금 조달 비용 상승, 여기에 달러화 추가 상승까지 맞물리면서 증시에 악재가 될 것이라는 관측과 어긋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황소상 <출처=블룸버그통신> |
때문에 긴축 초기에 경기 사이클이 하강이 아닌 상승 추세를 탈 가능성이 크고, 주가 역시 동반 상승할 것이라는 얘기다.
JP모간의 데이비드 켈리 글로벌 전략가는 28일(현지시각) 연준의 금리인상을 겨냥, 주식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적극 권고했다. 그는 이에 대해 세 가지 근거를 제시했다.
먼저, 인플레이션이다. 원자재 가격의 가파른 상승은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보다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했다. 민간 소비를 늘리는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강달러와 원자재 급락으로 인플레이션이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달러화 강세에 제동이 걸리는 한편 원자재가 바닥을 찍으면서 물가가 상승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그는 내다봤다.
내년 말까지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 수준인 2.0%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때문에 완만한 금리인상은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해소하는 결과를 낼 것이라고 그는 내다봤다.
원자재 가격이 추가 하락하더라도 미국 경제에 부정적이지 않다고 그는 강조했다. 소비자들의 재량 소득을 늘려 지출을 부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론적으로는 저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마이너스 실질금리 시행을 막고 경제를 부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초저금리가 경기를 진작시킨다는 근거가 약하다고 그는 주장했다.
국내외 경기 둔화를 이유로 연준이 제로 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마지막으로 제로 금리가 오히려 수요를 압박하고 있다고 그는 밝혔다. 연준이 금리를 1%로 올릴 경우 이자 소득과 이자 비용의 차액을 600억달러 이상 늘릴 수 있고, 이는 가계 부채 축소 및 소비를 진작시킬 것이라는 계산이다.
연준의 금리인상에 앞서 주식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는 또 있다.
오펜하이머 펀드의 제리 웹맨 이코노미스트는 12월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열린 가운데 연말로 가면서 경제 지표가 호조를 이룰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실제 긴축이 단행되기 이전까지 주식시장이 하락보다 상승에 무게를 둘 것이라는 기대다.
다만, 웹맨 이코노미스트는 “주가가 장기 랠리를 펼친 데 따른 피로감에 조정을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 증시는 대표 지수의 추세적인 상승보다 개별 종목 장세가 펼쳐질 여지가 높다”고 말했다.
기업 실적 및 이익 전망에 따라 주가 차별화가 두드러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