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중국 '제조 추락 서비스업 비상' 창장강 일대 실물경제 진단

기사입력 : 2015년09월29일 09:00

최종수정 : 2015년09월30일 08:32

[편집자주] 이 기사는 9월 25일 11시 38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 실물경제 발전의 '엔진'으로 불리는 창장강(長江) 삼각주 일대의 산업구조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전통 제조업 비중이 급감하는 반면 서비스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는 것. 그러나 서비스업 의존도가 빠르게 높아지고 제조업 위축에 따른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어, 제조업 분야 업그레이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경제전문지 21세기경제보도(21世紀經濟報道)는 최근 872개 창장강 삼각주 일대 상장사의 상반기 실적보고를 토대로, 이 지역 실물경제 추이를 진단했다.

창장강 삼각주 경제벨트는 창장강 일대 상하이(上海) 장쑤성(江蘇省) 저장성(浙江省) 안후이성(安徽省)을 포함한 30개 도시를 포함한 지역이다. 면적은 중국 전체 국토의 2%에 불과하지만, 2013년 이 지역 GDP는 12조 위안에 달했다. 창장강 삼각주 경제벨트 GDP가 중국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0%에 달한다.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다보니 이 지역 기업 분석을 통한 중국 실물경제 현황 진단은 의미있는 작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제조업 위축 심각: 10% 제조업 상장사 상반기 손실

상반기 창장강 삼각주 경제벨트의 2차 산업 증가율은 GDP증가율을 밑돌았다. 상반기 실적보고를 종합해보면,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지역 상장사 중 상반기 순이익이 감소한 기업의 비중은 평균 30%를 넘어섰다.

이 일대는 제조업 기업의 비중이 높다. 800여개 상장사 가운데 600개가 제조업 회사다. 이 중 상반기 순이익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곳은 63개에 달한다. 산술적으로 보면 창장강 삼각주 경제벨트 지역 75% 상장 기업이 경영 위기를 맞고 있고, 제조업 기업의 10%는 올해 상반기 손해를 봤다는 의미다.

600개 제조업체 중 상반기 순이익 증가율이 감소한 기업은 226개에 달해, 약 40%의 제조업체의 순이익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분야별로 보면 24개 제조업 분류 중에서 화학원료·화학제품·비금속 제조·석탄채굴·비철금속 제력·압연 등 업종의 순이익이 심각한 하락세를 보였다.

창장강 일대 기업 중 상반기 순이익 감소율 순위에서 상위 10위를 차지한 40개 기업가운데, 30개가 전통 제조업 분야 기업이다.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순탄치 않아'

중국이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신흥산업 분야의 상황도 이상적이지 않다. 신흥산업 기업의 비중이 여전히 낮고, 기업별로 매출과 수익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기업 양광뎬위안(陽光電源), 환경미화 장비 업체 커린환바오(科林環保) 등은 우수한 실적을 냈지만, 반도체 기기 연구개발 및 제조 업체 캉창전자(康強電子)와 친환경 소재 PLA(폴리유산 수지) 생산업체 중량성화(中糧生化)는 실적이 고꾸라졌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은 신흥산업 발전의 과도기적 현상으로 풀이된다. 전통제조업 기업의 신흥산업 분야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유명 의류기업 야거얼(雅戈爾)과 빈빈구펀(彬彬股份)은 최근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소비 증가: 소매업과 서비스업 소비 활발

제조업이라 할지라도 개인 소비와 관련이 있는 제조업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주류·음료·자동차·의약·제지 등이 대표적 소비 제조업이다.

일례로 안후이의 구징궁주(古井貢酒)·잉자룽주(迎駕貢酒), 장화이자동차(江淮汽車), 장쑤의 양허구펀(洋河股份)·하이란즈자(海瀾之家) 등의 상반기 순이익 규모는 800여개 상장사 중 상위 10권 안에 들었다.

소비 증가는 3차 산업에서 더욱 잘 나타난다. 상하이지역 도소매 관련 19개 상장사 가운데, 손실을 기록한 기업은 두 곳에 불과하다. 란성구펀(蘭生股份)은 상반기 순이익 규모가 전년 대비 9배가 넘게 늘었다.

장쑤성도 비슷하다. 7개 소매업 상장사의 평균 순이익 증가율은 77.19%에 달했다. 쑤닝윈상(蘇寧雲商), 난징의약(南京醫藥) 등은 순이익이 모두 2배 이상 늘었다.

교통과 물류 분야도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다. 상하이 지역의 교통·물류·창고·우정 관련 17개 상장사 중 손실을 기록한 곳은 하나도 없었다. 특히 항공분야의 성장세가 뚜렷했다. 동방항공(東方航空)·길상항공(吉祥航空)·춘추항공(春秋航空)·초상페리(招商輪船) 등의 상반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0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 중 동방항공의 순이익 증가율은 23660%에 달했다.

출판·미디어·문화·관광 산업 성장과 함께 관련 분야 기업의 성장세도 빠르다.

이 같은 현상은 중국 전국 PPI의 지속적 감소세와 CPI 상승추세와도 맞물리는 결과다. 생산단계의 제조 산업은 위축되고 있지만, 최종 소비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 금융업: '최대 수익왕' 지속성장 가능성은 의문

창장강 경제벨트 지역 상장사 중 올해 상반기 가장 눈부신 실적을 이룬 업종은 금융이다. 14개 금융 상장사의 상반기 형균 순이익은 88억 6000만 위안, 평균 증가율은 253.6%에 달했다.

지역별로도 장쑤 안후이 상하이 세 지역에서 상반기 가장 많은 순이익을 실현한 상장사는 모두 금융사였다. 장쑤성의 화태(華泰)증권, 안후이의 국원(國元)증권, 상하이의 교통(交通)은행이 각각 순이익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금융업의 성장성을 담보하긴 힘든 상황이다.상반기 순이익이 큰 폭으로 늘어난 증권사는 A주 침체로 하반기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금융업 전반의 증가율도 둔화하는 추세다.

상하이 상장사 중 순이익 규모가 가장 많은 10개 기업 중 금융기업은 7개나 되지만, 순이익 증가율은 보면 금융사는 동방(東方)증권과 광대(光大)증권 두 곳에 불과하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