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이코노미스트들, 중국 부메랑 경고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고용 지표의 개선과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인플레이션이 금리인상 시기를 저울질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직면한 딜레마라는 데 이견이 없다.
하지만 이보다 심각한 문제가 정책자들의 손발을 묶어 두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내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시장의 관심을 새로운 방향으로 환기시키는 의견이어서 주목된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출처=신화/뉴시스] |
하지만 정작 중국이 가장 커다란 리스크를 맞을 수 있는 국가라는 주장이 투자자들 사이에 설득력을 얻고 있다.
씨티그룹의 데이비드 루빈 이머징마켓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의 긴축으로 인해 가장 커다란 파장을 맞을 수 있는 동시에 투자자들의 우려가 가장 낮은 곳이 중국”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이 최근 두드러진 중국의 해외 투자 자금 이탈을 가속화할 수 있고, 이는 중국 경제 전반에 이중삼중의 타격을 가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자본 유출이 걷잡을 수 없이 이뤄질 경우 세계 2위 경제국인 중국의 안정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고 시장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금융위기 이후 지난 6년간 해외 은행권의 중국 여신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를 감안할 때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충격이 작지 않을 것이라는 계산이 가능하다.
이 같은 잠재 리스크는 미국에 직접적인 위협 요인이다. 미국의 1위 채권국인 중국 정부가 국채를 공격적으로 팔아치울 수 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위안화 방어를 위해서는 중국 정부가 1000억달러 규모로 미국 국채를 매도해야 할 것이라는 관측이 업계 애널리스트 사이에 나온 만큼 긴축에 따른 역풍을 모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중국이 보유한 미국 국채는 1조2700억달러에 이른다. 중국이 국채 매도에 본격적으로 나설 경우 미국 정부의 재정에 흠집이 발생하는 한편 금리 상승 압박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투자 컨설팅 업체 매크로마전스의 스테파니 폼보이 애널리스트는 “중국과 그 밖에 이머징마켓이 이미 미국 경제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들 지역의 경기 둔화에 따른 국제 유가 급락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보다 큰 그림에서 이머징마켓과 선진국의 경제적인 역학 관계가 미국 금융위기 이전과 크게 달라졌다는 해석도 나왔다.
미국을 필두로 선진국의 초저금리로 인해 이머징마켓이 강한 경기 회복을 이뤘고, 선진국의 국내총생산(GDP)이 글로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신흥국의 경기 향방이 선진국의 성장률을 쥐락펴락하는 역전이 일어났다고 시장 이코노미스트는 주장하고 있다.
미국의 긴축으로 인해 중국을 필두로 이머징마켓의 금융시장과 실물경기가 타격을 입을 경우 선진국에 부메랑이 되는 양방향의 관계가 형성됐다는 것.
알리안츠의 모하메드 엘-에리언 수석 경제자문관은 “첫 번째 단계가 선진국의 경기 후퇴와 이에 따른 실험적인 통화정책이 이머징마켓의 성장을 약화시키는 형태였다면 두 번째 단계는 이머징마켓의 경기 둔화가 선진국 경제를 흔드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