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승환 기자] 빠른 속도로 증가한 사모펀드가 중국 증시 폭락의 원인이라는 의견이 제기되 눈길을 끌고 있다.
루팅 화타이증권(華泰證券) 수석연구원 겸 이사장은 최근 ‘2015년 왕이(網易) 이코노미스트 하계 포럼’에 참석해 “A주 폭락의 배경에는 높은 레버리지 비중 외에도 최근 빠르게 늘어난 사모펀드가 있다”고 지적했다.
루 수석연구원은 “많은 사람들이 개인투자자들의 펀드 유입이 시장을 이성적인 방향으로 이끌 것으로 생각하겠지만, 결과만 놓고 보면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는 데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 원인으로 해외 사모펀드들과 달리 강제청산 시스템이 보편적으로 도입된 점과 바링허우(80后, 80년대 출생자) 등 젊은 펀드투자자들의 비이성적인 투자패턴을 꼽았다.
이날 루 수석연구원은 최근 중국 주식시장의 큰 흐름 중 하나가 ‘개인투자자들의 기관화”라고 진단했다. 규제완화와 주식시장 호황의 영향으로 최근 2년 펀드가 우후죽순처럼 증가했고, 특히 ‘투자고수’라 불리는 사람들이 만든 다양한 형태의 사모펀드가 빠르게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지난달 8일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등록을 마친 사모펀드 기관이 1만2285개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현재 1만3663개의 펀드상품을 운용 중이며, 그 규모도 3조위안에 육박한다. 사모펀드 업계 종사자도 19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루 수석연구원은 “유독 중국에서 펀드의 역기능이 크게 부각되며 시장의 불확실성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며 “이는 “해외 사모펀드와 근본적으로 다른 리스크관리 시스템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대부분의 중국 사모펀드가 발행과정에서 높은 수준의 강제청산 기준을 도입한다는 것. 반면 해외의 헤지펀드도 환매기준이 있긴 하지만 중국처럼 강제적인 환매 가격을 설정하지는 않는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중국 증시가 급격하게 폭락하자 주가호황에 몸집을 키워온 사모펀드들이 강제환매위험을 피하려고 갖고 있는 주식을 매도하며 낙폭을 확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는 바링허우 등 젊은 사모펀드 투자자들의 비이성적인 투자패턴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증시열기에 휩쓸려 주식시장에 뛰어든 젊은 사모펀드 CEO들이 경험이 풍부한 기존의 기관투자자들에 비해 리스크 관리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이승환 기자 (lsh8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