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최대 수혜자?
[뉴스핌=배효진 기자]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된 그리스 드라마의 실질적 패배자로 그리스가 아닌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과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그리고 안전자산인 금이 지목됐다.
1일자 마켓워치는 그리스의 유로존 이탈(그렉시트)이 점차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그간 지속적으로 제기됐던 유로존의 구조적 문제점이 재조명 받고 있다면서 위의 '4인방'이 루저로 등장했다고 전했다.
◆ 출범부터 삐그덕거린 유로존…그리스 잔류에도 상처
유로존은 지난 1999년 1월 1일 유럽연합(EU) 내 11개 회원국으로 출범했다. 유로화를 중심으로 한 화폐통합 시스템이었지만 재정 이전과 규제 시스템 등 정작 필요한 재정통합은 없었다. 출범에 있어서 미국 주도의 패권 저항과 프랑스와 독일간 신경전 등 정치적 요인이 두드러진 까닭이다.
이 때문에 유로화는 회원국의 경제상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독일이 실질실효환율을 낮추는 수혜를 입은 반면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남유럽 국가들은 부채와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가파르게 불어났다.
메르켈 총리가 "유로의 실패는 곧 유럽의 실패"라며 그리스 잔류에 필사적인 모습이지만 전문가들은 유로존이 이번 사태로 입은 타격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지적한다.
유럽정책센터의 야니스 에마누일리디스 정책 컨설턴트는 "그리스 사태는 유로존에 대한 깊은 불신의 씨앗을 뿌려 유로존에 상처를 남길 것"이라고 진단했다.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 교수는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독일과 프랑스는 30년 전 부채탕감을 계기로 재기에 성공했다"며 "이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한 그리스에 개혁안을 요구하는 것은 아이러니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리스 사태로 촉발된 유로존 위기는 결국 유로존이 정치적 유기체가 되는 데 실패한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 IMF총재·메르켈 총리, 그리스 위기 대응 '낙제점'
IMF는 1945년 창립 이후 70여 년간 제 역할을 적절히 수행했지만 그리스 사태에서는 유럽의 정치게임에 말려들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지난 2010년 그리스가 부채위기에 직면한 당시 IMF는 채무조정 등의 조치로 현실적 대안을 마련해야 했다"며 "당시 IMF 총재였던 스트로스칸은 유럽의 강경한 태도를 조용히 따르기만 했다"고 꼬집었다.
당시 메르켈 총리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그리스 국채를 대거 보유한 자국 은행들을 고려해 채무조정을 극구 반대했다. 문제는 전 세계 거시경제 관리자로서 나서야 할 IMF가 이에 동의했다는 점이다.
IMF가 그리스 긴축에 따른 부작용을 과소평가 한 부분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긴축안 도입 이후, 실업률은 27%까지 치솟는 등 그리스 경제는 급속도로 위축됐다.
이번 사태로 IMF의 신뢰성은 적잖은 타격을 입게 됐으며, 그리스 이후 또 다른 위기국이 나오더라도 IMF에 채무상환과 조언을 듣는 것을 꺼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유로존 맹주인 독일을 이끌어 온 메르켈 총리 역시 그리스 위기를 통해 나타난 우유부단한 모습에 향후 정치적 입지가 위태롭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 금, 안전자산 매력 실종?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던 금의 인기도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선물 금 가격은 2.3달러 하락한 온스당 1167달러에 마감했다. 전날 미국 고용지표가 호조를 나타내며 달러화가 주요국 통화 대비 0.9% 뛰는 강세를 보인 까닭이다.
국민투표 종료시까지 협상이 없을 것이라고 못박은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 협의체)의 강경한 의지와 협상진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현지 분위기도 금 시세를 부양하지 못했다.
맥쿼리의 매튜 터너 애널리스트는 "많은 이들이 그리스 위기가 금 가격에 호재가 될 것으로 여기지만 누구도 매수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그리스인들 역시 금보다 유로 보유에 나서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히려 그리스 위기로 재조명을 받은 쪽은 가상화폐 '비트코인'이다. 지난 29일 런던 비트코인 거래소 비트스탬프에서 1비트코인은 255.45달러에 거래됐다. 3개월 만의 최고치로, 지난달 들어서만 15%의 상승률이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1일자 마켓워치는 그리스의 유로존 이탈(그렉시트)이 점차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그간 지속적으로 제기됐던 유로존의 구조적 문제점이 재조명 받고 있다면서 위의 '4인방'이 루저로 등장했다고 전했다.
◆ 출범부터 삐그덕거린 유로존…그리스 잔류에도 상처
유로존은 지난 1999년 1월 1일 유럽연합(EU) 내 11개 회원국으로 출범했다. 유로화를 중심으로 한 화폐통합 시스템이었지만 재정 이전과 규제 시스템 등 정작 필요한 재정통합은 없었다. 출범에 있어서 미국 주도의 패권 저항과 프랑스와 독일간 신경전 등 정치적 요인이 두드러진 까닭이다.
<출처=블룸버그통신> |
이 때문에 유로화는 회원국의 경제상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독일이 실질실효환율을 낮추는 수혜를 입은 반면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남유럽 국가들은 부채와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가파르게 불어났다.
메르켈 총리가 "유로의 실패는 곧 유럽의 실패"라며 그리스 잔류에 필사적인 모습이지만 전문가들은 유로존이 이번 사태로 입은 타격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지적한다.
유럽정책센터의 야니스 에마누일리디스 정책 컨설턴트는 "그리스 사태는 유로존에 대한 깊은 불신의 씨앗을 뿌려 유로존에 상처를 남길 것"이라고 진단했다.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 교수는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독일과 프랑스는 30년 전 부채탕감을 계기로 재기에 성공했다"며 "이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한 그리스에 개혁안을 요구하는 것은 아이러니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그리스 사태로 촉발된 유로존 위기는 결국 유로존이 정치적 유기체가 되는 데 실패한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 IMF총재·메르켈 총리, 그리스 위기 대응 '낙제점'
IMF는 1945년 창립 이후 70여 년간 제 역할을 적절히 수행했지만 그리스 사태에서는 유럽의 정치게임에 말려들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총재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출처=블룸버그통신> |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지난 2010년 그리스가 부채위기에 직면한 당시 IMF는 채무조정 등의 조치로 현실적 대안을 마련해야 했다"며 "당시 IMF 총재였던 스트로스칸은 유럽의 강경한 태도를 조용히 따르기만 했다"고 꼬집었다.
당시 메르켈 총리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은 그리스 국채를 대거 보유한 자국 은행들을 고려해 채무조정을 극구 반대했다. 문제는 전 세계 거시경제 관리자로서 나서야 할 IMF가 이에 동의했다는 점이다.
IMF가 그리스 긴축에 따른 부작용을 과소평가 한 부분도 문제점으로 꼽았다. 긴축안 도입 이후, 실업률은 27%까지 치솟는 등 그리스 경제는 급속도로 위축됐다.
이번 사태로 IMF의 신뢰성은 적잖은 타격을 입게 됐으며, 그리스 이후 또 다른 위기국이 나오더라도 IMF에 채무상환과 조언을 듣는 것을 꺼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대목이다.
유로존 맹주인 독일을 이끌어 온 메르켈 총리 역시 그리스 위기를 통해 나타난 우유부단한 모습에 향후 정치적 입지가 위태롭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 금, 안전자산 매력 실종?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평가받던 금의 인기도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8월물 선물 금 가격은 2.3달러 하락한 온스당 1167달러에 마감했다. 전날 미국 고용지표가 호조를 나타내며 달러화가 주요국 통화 대비 0.9% 뛰는 강세를 보인 까닭이다.
최근 1달간 금 선물 가격 <출처=블룸버그통신> |
맥쿼리의 매튜 터너 애널리스트는 "많은 이들이 그리스 위기가 금 가격에 호재가 될 것으로 여기지만 누구도 매수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그리스인들 역시 금보다 유로 보유에 나서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히려 그리스 위기로 재조명을 받은 쪽은 가상화폐 '비트코인'이다. 지난 29일 런던 비트코인 거래소 비트스탬프에서 1비트코인은 255.45달러에 거래됐다. 3개월 만의 최고치로, 지난달 들어서만 15%의 상승률이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