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中 상장사 상반기 실적...철강·부동산 '최악', IT·바이오제약 '우수'

기사입력 : 2014년08월29일 16:51

최종수정 : 2014년09월04일 11:15

그래픽: 송유미 기자.
[뉴스핌=조윤선 기자]올 상반기 A주 상장사들의 반기보고서 발표가 마무리되가는 가운데, 대표적인 생산과잉 업종인 철강과 석탄, 바이주와 부동산 업체의 실적이 부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전자정보 IT분야와 바이오제약, 신에너지 자동차, 에너지 절감 및 친환경 등 신흥업종 상장사들의 실적 성장이 두드러졌다.

또한 올해들어 달러 대비 위안화 가치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면서 항공사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됐지만, 상당수 은행은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실적 최악 업종은 '철강' '부동산'

28일 광주일보(廣州日報)등 중국매체는 8월 27일까지 총 2047개 상장사의 상반기 실적이 공개됐는데, 이들 상장사의 순이익은 총 6595억1200만 위안(약 109조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2.07%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순이익이 100억 위안(약 1조6500억원)을 넘는 상장사는 대체로 은행과 석유화학, 석탄 업종에 집중됐다. 심지어 농업은행 등 소수의 상장사는 1000억 위안(약 16조5000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달성해 눈길을 끌었다.

상반기 중국 상장사들의 실적이 대체로 소폭 상승했지만, 재고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8월 27일 기준, A주 상장사 중 1990개사의 누계 재고 규모는 4조3900억 위안(약 723조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7.80% 급증했다. 작년 상반기 A주 상장사의 재고 증가율은 15% 였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전반적으로 수요가 부진하면서 재고가 크게 늘어, 상장사의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A주 상장사 중 철강업체가 가장 큰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샤오강쑹산(韶鋼松山)은 7억3600만 위안(약 2200억원)에 달하는 적자를 냈는데, 순이익 증가율이 무려 마이너스(-) 6805.59% 를 기록했다.

바이철강(八一鋼鐵)과 마강구펀(馬鋼股份)도 적자 규모가 7억 위안을 훌쩍 넘어섰다. 바오강구펀(寶鋼股份)은 31억5400만 위안(약 5200억원)에 달하는 순이익을 달성했지만, 올 상반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14.82% 감소했다.

철강과 함께 중국의 대표적인 생산과잉 업종인 부동산도 상반기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드러났다.

92개 부동산 상장사의 누계 재고 규모는 1조7800억 위안(약 294조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4%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92개 부동산 상장사의 재고 규모 1조7800억 위안 중 60%가 넘는 재고가 업계 10위권 부동산 상장사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매출 부진과 재고 급증으로 이들 상장사의 전체 순이익은 작년 상반기보다 1.41% 줄었다.

그 중에서도 진디그룹(金地集團)과 자오상디찬(招商地產)의 순이익은 전년 상반기보다 각각 49.91%, 30% 감소했다.

완커(萬科)부동산은 순이익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지는 않았지만, 전년 상반기보다 5.5% 증가하는데 그쳤다.

석탄산업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궈터우신지(國投新集)는 6억4700만 위안에 달하는 적자를 냈다. 

이처럼 중국 경제 구조전환에 따라 철강과 부동산, 석탄, 비철금속 등 생산과잉, 전통 제조산업은 뚜렷한 실적 하향세를 나타냈다.

한 때 순수익 증가율 30%~50%를 유지하며 활황을 보였던 바이주(고량주) 상장사도 시진핑(習近平) 정부의 강도높은 부패척결 여파로 올 상반기에도 극심한 성장 정체를 겪었다. 주구이주(酒鬼酒)의 순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245% 가까이 급감하는 등 바이주 상장사들의 실적이 대체로 부진했다.

실적 우수 업종은 '전자정보' '바이오제약'

이에 반해 신에너지 자동차, 전자정보, 바이오제약, 친환경 등 신흥산업은 양호한 실적을 달성해 주목을 받았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변화가 중국 경제 구조전환의 방향이 신흥산업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전자정보 산업의 경우, 8월 27일 기준 135개 상장사 중 126개 상장사의 실적이 공개됐는데 이 중 80개사의 실적이 전년 동기대비 증가세를 나타냈다.

특히 메이야바이커(美亞柏科)의 순이익은 작년 상반기보다 무려 9259.96%가 급증해 눈길을 끌었다. 35닷컴(三五互聯), 신카이푸(新開普), 장취커지(掌趣科技) 등 IT상장사의 평균 순이익 증가율도 100%를 웃돌았다.

올 상반기 제약 상장사의 실적 성장도 두드러졌다. 제약 상장사들의 순이익 증가율이 평균 30%에 육박한 것.

쓰환바이오(四環生物), 신푸약업(鑫富藥業), 중위안셰허(中源協和), 신화제약(新華製藥), 야타이약업(亞太藥業) 등 5개 제약업체의 순이익 증가율은 무려 500%를 초과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고령화 가속화와 경제발달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으로 바이오약품 수요가 늘면서 제약업계의 성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신에너지 자동차 분야는 구매세 면제, 전기차 충전소 확충, 정부 관용차를 친환경 자동차로 교체하는 등 중국 당국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망업종이다.

비야디(比亞迪), 중퉁버스(中通客車), 상하이자동차그룹(上汽集團) 등 신에너지 자동차 관련 상장사들도 올 상반기 양호한 실적을 달성했다.

에너지 절약·환경 분야 상장사들도 상반기 우수한 실적을 거뒀다. 페이다환바오(菲達環保)는 작년 상반기보다 순이익이 무려 102.03% 증가했다. 궈뎬칭신(國電清新)과 선전에너지(深圳能源)도 전년 상반기보다 60% 넘게 증가한 순이익을 달성했다.

한편 다수의 은행 상장사들은 올 상반기 위안화 가치 하락에 따른 환율 변동으로 쏠쏠한 수익을 올렸다.

중국은행이 상반기 환율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은 60억4100만 위안(약 9900억원), 교통은행은 17억4000만 위안(약 2800억원), 농업은행은 7억3700만 위안(약 1200억원)에 달했다.

반면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항공사들은 적자를 면치 못했다. 중국 국영항공사인 에어차이나는 올 상반기 순이익이 전년보다 58% 가까이 줄었고, 남방항공과 동방항공은 각각 3억 위안(약 490억원)과 2억 위안(약 330억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화성 리튬전지공장 화재 사망 22명·8명 부상...연락두절 1명 수색 중 [화성=뉴스핌] 박승봉 기자 = 24일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로 22명이 숨졌고 8명이 부상을 당했다. 하지만 아직 1명이 연락되지 않아 수색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4일 오전 10시 31분경 경기 화성시 서신면에 있는 일차전지 제조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경기도소방재난본부] 소방당국 등은 이날 오후 6시24분 현장 브리핑을 통해 현재 사망자 22명, 중상자 2명, 경상자 6명 등 총 3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 회사 관계자가 1명이 연락되지 않아 내부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사망자 22명 중 한국인이 2명, 외국인 근로자가 20명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유해화학물질(리튬) 취급 공장에서 화재가 났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다수의 인명피해와 연소 확대를 우려해 이날 오전 10시 51분 선제적으로 대응 2단계를 발령했다. 진화작업에는 인력 201명과 지휘차 등 장비 71대를 투입했다. 화재가 발생한 해당 공장은 3층짜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11개 동이 있으며, 연면적은 5530㎡이다. 김진영 화성소방서 재난예방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최초 사망자 1명을 포함해 21명의 시신을 수습해 총 2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며 "대부분의 시신은 아리셀 작업동인 3동 2층에서 대부분 발견됐으며, 회사 관계자가 1명이 연락되지 않는다고 말해 건물 내부에 대한 수색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재발생 소식을 접한 후 즉각 현장으로 출발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낮 12시 35분경 화재 현장에 도착해 진압 상황을 살폈다. 김 지사는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조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최소화해 달라"면서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활동 중인 소방대원들의 안전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에도 사고 수습과 사후 관리를 위한 준비를 지시했다. 1141world@newspim.com 2024-06-24 18:53
사진
의협, '무기한 전면 휴진' 에둘러 철회 [서울=뉴스핌] 노연경 조준경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27일 진행 가능성을 예고한 의료계 무기한 전면 휴진을 사실상 철회했다. 의협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27일부터 연세대학교 의료원 소속 교수님들의 휴진이 시작된다. 결정을 지지하고, 존중한다"면서, "모든 직역의 의사들이 각자의 준비를 마치는 대로 휴진 투쟁에 동참해나갈 것이다. 이후의 투쟁은 29일 올특위 2차 회의의 결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안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대한의사협회가 집단휴진에 돌입한 1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에서 열린 의료농단 저지 전국 의사 총궐기대회에서 임현택 의협 회장이 대회사를 하고 있다. 2024.06.18 mironj19@newspim.com 사실상 27일 의료계 전면 무기한 휴진을 에둘러서 철회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임현택 의협회장이 지난 18일 진행한 의료계 총궐기대회 폐회사에서 무기한 휴진을 처음 언급했다. 임 회장은 당시 "의사들의 정당한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다른 의료계 주요 인사들도 전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내비쳤다. 24일 뉴스핌이 시도의사회를 통해 확인한 결과 주요 시도의사회 회장들은 의협의 무기한 휴진에 동참하지 않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임 회장의 무기한 휴진 언급 직후부터 의료계 내부에선 항의 목소리가 나왔다. 협의되지 않은 내용을 임 회장이 공개적으로 말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각 지역 개원가를 대표하는 시도의회장들이 "전혀 합의되지 않은 내용"이라며 "개원의의 무기한 휴진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임 회장 발언 다음날인 19일 입장문을 통해 "저를 포함한 16개 광역시도 회장들도 임현택 의협회장이 여의도 집회에서 무기한 휴진을 발표할 때 처음 들었다"며 "회원들이 황당해하고 우려하는 건 임 회장의 회무에서 의사 결정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적 적절성이 전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공개 비판하기도 했다. 이날까지도 각 시도의사회장들의 절차를 따르지 않은 무기한 휴진 반대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은 "무기한 휴진은 못하는 게 기정사실"이라며 "만약 사전에 협의가 됐다면 따랐겠지만, 아직까지도 협의된 내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국시도의사회장단협의회 차원에서도 무기한 휴진 진행 관련 우려를 전달했다며 "(우려를 전달한 이후) 추가 논의된 게 없으니 진행해선 안 된다. 진행해도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김택우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회장은 지난 21일 임 회장을 만나 16개 시도의사회 회장들의 우려를 전달했다고 밝히며 "무기한 휴진은 철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의료계 내부의 임 회장 비판에 대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인 의견을 표출할 수 있듯이 각 시도의사회장들이 자기 의견을 얼마든지 말할 수 있는 것"이라며 "협회장의 독단 행보에 대한 불만 의견이 나온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임 회장이 주도한 첫 파업도 이전에 의협이 주도한 휴진보다 저조한 참여율을 보였다. 18일 당일 병원 문을 닫은 개원의는 14.9%에 그쳤다. 이는 2020년 집단 휴진 첫날 휴진율(32.6%)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김 회장은 "아마 의협 집행부에서 오늘 내일 중으로 27일 전면 무기한 휴진을 에둘러서 철회하는 성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서울대학교병원이 지난 17일부터 돌입했던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06.24 choipix16@newspim.com 한편 당초 지난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개시했던 서울대학교 병원은 이날부로 다시 정상 진료를 시작했다.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는 지난 21일 교수진 투표를 거쳐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전체 투표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 중단을 선택했고,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강경 의견은 20.3%(192명)에 불과해 대학병원 봉직의들도 의료계 무기한 휴진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여론이 다수이다. 의협은 지속적으로 정부를 향해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을 수정·보완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을 즉각 소급 취소하고 사법처리 위협 중단 3대 요구안을 대화 조건으로 제시 중이다. 그러나 지난 22일 첫 회의를 개최한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형식, 의제에 구애 없이 대화가 가능하다는 20일 정부 입장을 환영하며, 2025년 정원을 포함한 의정협의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며 "다음주(26일)로 예정된 국회 청문회 등 논의과정과 정부의 태도변화를 지켜보겠다"고 다소 전향적인 자세를 내보였다. calebcao@newspim.com 2024-06-24 15:3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