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활성화되지 않으면 강한 고용 회복 어려워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 실업률이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지만 보다 구조적인 요인이 고용 창출을 가로막고 있으며, 중장기적인 추세로 굳어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000년 이후 대기업들이 매출 및 영업이익을 크게 늘렸지만 고용 창출은 실적 개선에 크게 못 미친다는 얘기다.
(사진:월스트리트저널) |
11일(현지시각) 업계에 따르면 2001~2013년 사이 뉴욕증시에 상장된 100개 대기업의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매출액이 7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150%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외 직원 수는 31%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미국 내 고용이 크게 뒤쳐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업이 발표한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고용의 상당 부분이 해외에서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사업 부문 분사 및 아웃소싱이 늘어난 데다 해외 시장의 매출 비중이 높아진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오바마 행정부가 금융위기 이후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에너지를 집중하고 있지만 실상 구조적으로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얘기다.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자들 사이에서도 이 같은 문제에 대한 지적이 제기됐다.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의 데니스 록하트 총재는 “구조적인 상황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며 “펀더멘털 측면의 변화 기류에 따라 노동 시장이 양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고소득 전문직을 제외한 대다수의 저임금 일자리가 양극단을 이루는 구조가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는 얘기다.
이는 중산층의 소득 수준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며, 중장기적으로 이들의 구매력을 저하시켜 경제 성장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그는 주장했다.
고용 창출의 주축을 이뤘던 IT 업계 공룡 기업들 역시 일자리 확대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일례로, 애플과 아마존은 지난 12년에 걸쳐 직원 수가 10배 가까이 늘어났으나 최근 들어 고용이 둔화되고 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로버트 리탄 연구원은 “지난 2001년 침체가 말하자면 터닝포인트였다”며 “보다 효율적인 글로벌 공급망과 IT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인력 관리에 공격적인 행보를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이안 해더웨이가 실시한 또 다른 조사에서는 미국 경제 성장 및 고용 창출이 전통 기업에 보다 크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소는 기업 창업이 크게 활성화되지 않을 경우 일자리 창출이 대폭 위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