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민 정보보호산업단장, 정부주도 투자 확대 주장
[뉴스핌=이준영 기자] 정부가 국민 개인정보를 가진 기관과 기업들에게 정보보안 산업 투자를 강화하도록 강제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정보보안 산업 강화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규민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산업단장은 9일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정보보안산업 컨퍼런스'에서 "국민의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기관이나 기업들은 정보보안에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며 "정부는 이러한 기관·기업들이 정보보안산업에 투자를 확대하도록 강제에 가까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단장은 잇따른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피해 비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 주도의 기업정보보안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지속적인 보안 위협은 기업 내부 외부 요인을 가리지 않고 급증했다"며 "국민 개인정보와 연관된 부분은 정부 주도로 정보보안 산업을 성장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정보보안 산업구조는 영세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문제라는 지적이다.
조 단장은 "국내 정보보안 시장은 여전히 세계시장의 2.5%에 불과하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도 1.6년이나 난다"며 "정보보안 산업구조가 열악하고 관련 상장업체도 10개가 안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 단장은 정보보안 산업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점도 정부가 주도해서 정보보안 산업을 육성시켜야 하는 이유라고 주장했다. 정보산업은 매년 생산효과가 25조원에 이르고 부가가치도 8조원에 달한다는 설명.
조 단장은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세계 각국의 정보보호산업이 성장 중인데 우리는 아직 영세한 수준"이라며 "정부 주도의 정보보안 산업 투자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이준영 기자 (jlove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