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 경쟁력 확보해야…블루오션 물색도
[뉴스핌=이동훈 기자]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건설 6대 강국에 진입했다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기본설계나 원천기술은 아직도 세계적 수준과 차이가 있다. 단순 시공기술은 중국과 인도 등의 기업이 바짝 따라온 상태이기 때문에 첨단기술을 확보하지 않으면 세계 시장에서 설 자리가 점점 사라질 것이다.”
국내 건설사의 현 주소에 대해 대형 건설사 해외담당 임원의 말이다. 최근 국내 건설사들은 해외시장에서 공사 수주 점유율을 끌어 올렸지만 안심할 수 없다. 글로벌 건설사와는 아직도 기술 격차가 있고 신흥국 건설사들은 자본력을 바탕으로 턱 밑까지 쫓아왔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건설사들은 가격과 시공 경쟁력에 비해 설계 경쟁력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입찰가격에 수주를 따내고 사업은 대부분 단순 시공에 집중됐다는 것이다. 때문에 투자비용 확대 등을 통해 설계 경쟁력을 개선해야만 세계 건설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또한 블루오션(Blue Ocean)으로 떠오른 그린에너지와 환경 플랜트 등을 적극 공략해 부가가치를 키워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자료=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2012년 기준) |
◆원천기술 및 설계 경쟁력 확보가 급선무
국내 건설서가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설계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익률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리스크(위험)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원가율 상승에 따른 대규모 적자를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원천기술을 보유한 건설사들은 수주에 직접 뛰어들거나 자문과 기술지원을 통해 이익을 챙긴다. 사업 초기에 뛰어들어 밑그림을 그리는 만큼 중요도가 가장 높고 영업이익률도 보통 10%를 훌쩍 넘는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단순히 공사만 맡아 얻는 영업이익률(5% 내외)의 두 배에 이른다.
미국 벡텔사는 지난 2009년 국내 기업이 수주한 UAE 원전 사업에 종합 설계와 자문을 맡았다. 사업비 46억달러(4조9000억원) 중 절반 정도를 벡텔이 챙겼다. 설계 기술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국내 건설사들의 기본설계 및 원천기술은 아직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투자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설계 기술 개발을 꺼리고 당장 성과가 나타나는 단순 시공에 주력한 결과다.
이 때문에 국내 건설사의 경쟁력은 세계 10위 밖에 있다.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2012년 기준 국내 해외건설 경쟁력은 12위다. 1위는 미국, 중국과 이탈리아, 영국, 독일, 프랑스 등이 뒤를 잇고 있다.
국내 건설사의 가격 경쟁력은 중국과 인도에 이어 3번째에 달한다. 건설시장 성장률도 7위에 올라 종합 순위보다 앞섰다. 하지만 설계 경쟁력은 19위로 조사 대상 22개국 중 꼴찌 그룹에 속한다.
한재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해외건설 시장에서 국내 건설사들이 설계 경쟁력이 매우 낮아 향후 설계·엔지니어링 부문에 대한 기술력 향상이 매우 시급한 상황”이라며 “건설사들도 자체적으로 투자비용을 확대하고 정부도 기술력 향상을 위해 교육 및 시스템 마련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최근 해외건설 수주의 80% 정도를 EPC(실시설계·자재조달·시공)로 체결하고 있지만 핵심 부문인 기본 설계는 대부분 글로벌 건설사들이 차지하고 있다”며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과 시간이 필요한 만큼 기술 격차를 단기간에 줄이긴 힘든 구조다”고 말했다.
특히 설계 기술 중 부가가치가 높은 엔지니어링 부문은 갈 길이 멀다. 미국의 건설·엔지니어링 분야 전문지인 ENR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건설엔지니어링의 해외시장 점유율이 1.2%에 그쳤다.
지난 2009년(0.8%)보다 소폭 오른 것이지만 1위인 미국(34.2%)과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중국보다도 낮은 수치다.
해외에서 양적인 성장 뿐 아니라 부가가치가 높은 설계 기술에 경쟁력을 높여야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국토해양부 기술정책과 관계자는 “그동안 건설사들이 진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낮은 토목과 건축 등 시공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진행한 측면이 있다”며 “고부가가치 기술은 외국 기업의 기술력에 의존했지만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해선 이러한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과감한 투자 및 블루오션 찾아야
국내 건설사들은 사실 연구개발(R&D)에 인색하다. 제조업 등 시장 변화에 민감한 산업이 아니라는 것도 이유지만 2008년 이후 금융위기 이후 자금 유동성이 악화돼 투자를 못하고 있다.
국내 상위 건설사들의 R&D 비중(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은 국내 상장 제조법인의 평균 수치(3%대)를 크게 밑돈다. 시공능력순위 1위인 현대건설은 지난해 3분 기준 R&D 비중이 1.3%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삼성물산 0.44%, 대우건설 0.89%, GS건설 0.86%, SK건설 0.77% 등이다.
6%대인 삼성전자와 LG전자의 R&D 비중에는 한참 못 미친다.
대형 건설사 한 임원은 “해외 글로벌 건설사 중 R&D 비중 3~5% 안팎을 유지하는 회사가 적지 않은데 그에 비하면 국내 건설사들이 연구비 사용에 소홀한 측면이 있다”며 “시공에 집중하던 사업 구조가 설계 및 기술력 강화로 변화하고 있어 연구비용이 점차 높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R&D 투자 확대 뿐 아니라 블루오션을 개척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건설사들의 사업은 정유 및 화력발전, 석유화학, 가스 플랜트, CM·PM, 신도시개발, 초고층빌딩, 초장대교량, 고속철도 등이 대표적이다.
이중 고부가가치 공종은 원자력 플랜트, 그린에너지 및 환경 플랜트, 도시개발 등이 꼽히고 있다. 인도는 원자력 무역거래 금지조치가 해제돼 오는 2030년까지 30여기 정도 원자로를 건설할 예정이다. 중동도 지하지원이 점차 고갈돼 원자로 플랜트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장현승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해외시장에서 매출액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세전수익률이 5% 수준에 그쳐 종합적인 성과가 높다고 볼 수 없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기술 개발에 힘써야 국내 건설사들의 경쟁력이 확보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