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반도체 가전 '성장유지' vs 조선 철강 기계 '부진'"

기사입력 : 2014년01월07일 10:00

최종수정 : 2014년01월07일 10:07

산업부 "선진국 경기회복 속 대내외 불안요인 상존...업종별 미시대응할 것"

[뉴스핌=김지유 기자] 올해 반도체와 가전 등 전자업종은 견고한 경쟁력과 수요확대를 통한 수출증대가, 철강과 석유화학, 일반기계 등은 공급과잉 등에 따라 내수와 수출 모두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미국 등 선진국 중심의 세계경기 회복세로 수출입 확대 등이 예상되긴 하지만 일본의 엔저흐름, 중국의 내수중심 성장정책에 따른 동북아 경쟁구도 심화 등은 우려요인으로 꼽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제1차 경제관계장관 회의에서 상정·발표한 '2014년 주요 산업 동향 및 대응방향'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에 정부는 업종별 상이한 경기회복력 및 당면애로 등을 고려해 미시적 정책대응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반도체·가전·자동차·석유화학·섬유패션은 '성장유지', 조선해양플랜트·기계·철강은 '개선', 디스플레이는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출처=산업통상자원부]

반도체는 모바일 반도체의 수요 증가, 메모리 가격 회복 등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올해에도 PC의 교체 수요 등 안정적인 성장을 할 전망이다. 다만 반도체 부품·장비는 엔저로 인한 대일(對日) 경합이 심화추세이며, 반도체 소자는 엔저 영향이 미미하나 일본의 추격 가속화가 예상된다. 구조개편을 통한 글로벌 장체 비업대형화 가속과 중국내 중저가 스마트기기 제조 급증에 따른 반도체업체 성장 등도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가전은 소치올림픽과 브라질월드컵 등 등 대형 스포츠이벤트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며, 신흥국 디지털 방송의 전환과 절전기기 수요증가 등 내수·수출 호조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 가전업체는 글로벌 가전업체 대비 경쟁열위로 인해 시장 점유 확대에 애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는 세계 자동차의 수요증가(4.8%, 9034만대 예상)와 국내 생산여건 개선으로 생산증가의 예상과 함께 사상 최대치의 수출율을 기록할 전망이다. 통상임금 범위 확대, 정년 60세 의무화 등 노동규제 강화로 자동차업계 경쟁력 저하의 우려도 존재한다.

석유화학은 글로벌 수요회복과 유가 안정에 따라 영업환경은 일부 개선될 전망이다. 그러나 중국의 자급률 제고를 위한 TPA 생산설비 확대 등 차이나리스크 심화, 해외 수입규제 강화로 수출환경은 다소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5년 도입예정인 화관법·화평법 등의 환경규제로 인한 석유화학 업계의 부담 증대도 우려로 남는다.

기계는 엔저 누적여파와 신흥국 경기침체로 지난해 수출이 부진했으나 올해에는 선진국 경기회복, 아세안 기계류 수요산업 성장 등으로 회복이 다소 기대된다. 다만 엔저 흐름이 본격화될 경우 공작기계 등 일본과의 수출경합도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일반기계 기술경쟁력 격차가 점차 축소되고 있어 한-중 FTA 이후의 중장기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철강은 지난해 글로벌 공급과잉의 지속, 수요산업 회복지연 및 수입규제에 따른 수출환경 악화 등에 따라 업황 부진이 지속됐으나 올해에는 선진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수급이 소폭 개선될 전망이다.

디스플레이에서는 모바일 수요 증대로 OLED의 호조가 지속되고 있으나 LCD분야의 공급과잉 심화로 수출 자체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패널업체의 급성장과 공격적 생산설비 확장, 중국의 보호무역 조치 강화 등으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의 급속한 추격에 직면해 있는 상황과 함께 웨어러블 기기 시장형성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선점경쟁 가열되고 있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

아울러 선진국 중심으로 경기의 완만한 회복이 예상되나 중국 등 신흥국의 경기둔화, 유럽 디플레이션 우려 등 하방위험이 상존할 것으로 전망됐다. 원고(高)·엔저(低) 흐름이 심화되는 가운데,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에 따른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 우려가 수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5년부터 환경·노동 분야를 중심으로 도입되는 신규규제는 올해 기업 경영환경 및 투자계획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경기 회복은 수출입 확대 등 우리 산업의 경기회복에 일단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선진국발(發) 경기회복이 우리 산업에 우호적인 여건이 아닌, 새로운 경쟁환경으로 다가올 가능성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시각이 존재한다. 회복 자신감과 셰일가스 개발 붐 등 미국의 제조업 복원노력 강화는 경쟁요인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엔저(低)를 통한 제조업 육성, 중국의 내수중심 성장정책과 진입규제 등 보호조치 병행에 따른 동북아 경쟁구도 심화도 우려로 남는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외리스크에 능동 대처하고 새로운 시장환경에 대비한 기업환경 안정화 및 미래투자 활성화에 집중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업종별로 상이한 경기회복력과 당면애로 등을 고려해 올해 주요 업종에 대한 미시적 정책대응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지유 기자 (kimjiyu@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카카오, '오픈AI'와 전략적 제휴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오픈AI와 국내 기업 최초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카카오톡과 AI 에이전트 '카나나' 등 주요 서비스에 챗GPT 기술을 접목하는 등 한국형 AI 서비스 대중화에 나선다. 4일 카카오는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기술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이용자 중심의 AI 서비스 대중화 청사진을 공개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키노트를 통해 AI가 가져올 일상의 혁신적 변화를 제시했다. 그는 "카카오는 모든 관계가 무제한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나만의 맞춤형 초개인화 일상이 존재하는 세상을 그리고 있다"며 "지인과 비지인의 경계를 넘어 AI 에이전트로 관계가 확장되고, 쇼핑이나 메시지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넘어 나에게 적합한 초개인화된 기술이 복합적으로 수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2.04 mironj19@newspim.com 이어 "모바일 시대 카카오는 메시지, 커머스, 모빌리티, 엔터테인먼트, 금융 등 일상에서 국내 최고 플랫폼 회사로 시대의 기술을 쉽게 쓸 수 있도록 제시했다"면서 "AI 시대에도 이 가치 본질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카카오의 핵심 가치를 강조했다. 나아가 "사용자에게 집중해 의미 있는 가치를 창출하고, 사용자가 가장 쉽게 AI를 활용하고 일상이 편리하게 하는 것이 카카오가 제공할 핵심적 가치"라며 "이를 위해 카카오는 AI 기술이 일상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기술과 서비스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이러한 비전 실현을 위해 'AI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핵심으로 내세웠다. 정 대표는 "카카오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은 단순 서비스 제공에 그치지 않고 카카오 전체 생태계를 활용해 사용자 맥락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서비스별 특성에 맞는 최적의 AI 모델을 선별적으로 활용하고, 때로는 여러 모델을 복합적으로 조합해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choipix16@newspim.com 또 "사용자들이 각각의 AI 모델 특성을 일일이 파악하고 선택할 필요 없이,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해 자동으로 최적의 결과를 받아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면서 "이는 카카오가 가진 플랫폼 역량과 AI 기술의 결합이 만들어낸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AI 에이전트 '카나나(Kanana)'를 통해 이러한 전략을 가장 먼저 구현할 계획이다. 카나나는 일대일 대화뿐 아니라 그룹대화에서도 맥락을 이해하고 적절한 답변을 제시하는 등 이용자의 관계 형성과 강화를 돕는 서비스로, 카카오는 자체 언어모델과 오픈AI의 최신 기술을 결합해 한국 이용자들에게 최적화된 AI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 대표는 "기술적으로는 한국에서 한국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는 카나나 모델을 자체 개발 중이고 파인튜닝을 통해 고도화하고 있다"면서 "개발자들이 모델을 활용하기 쉽도록 카카오 AI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에 AI 기술이 쉽게 적용될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2.04 choipix16@newspim.com 또한 "모든 사용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자체 세이프가드를 개발해 악의적 인용이나 편향성 이슈가 없도록 AI 윤리 원칙을 작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이날 카카오와의 협력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샘 올트먼 CEO는 "카카오는 기술이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방식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으며, 이용자들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왔다"면서 "카카오의 수많은 이용자들에게 첨단 AI를 제공하고, 이 기술을 카카오의 서비스에 통합해 이용자들의 소통과 연결 방식을 혁신하는 데 협력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샘 올트먼 CEO는 한국 시장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며 협력의 구체적인 방향성도 제시했다. 그는 "한국은 에너지, 반도체, 인터넷 기업 등 강력한 AI 도입 기반을 갖춘 시장으로, AI 채택률이 놀라운 수준으로,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시장이 될 것"이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카카오와 AI, 메시징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있어 함께 탐구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많다"면서 "생산성과 엔터테인먼트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2.04 mironj19@newspim.com AI 기술 발전과 관련해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모델로 진전을 이루고 있으며, 작년과 비교해 운영 비용이 10배 가량 감소했다"면서 "6개월 전에는 불가능했던 것들이 이제는 가능해졌으며, GPT를 통해 수개월 걸리던 작업이 훨씬 더 빨라졌다. AI 역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비용은 지속적으로 절감되고 있어, 머지않아 GPT4가 모바일에서도 구현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AI 안전성에 대해서는 "AI 안전성은 나중에 생각할 문제가 아니라 개발 단계부터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로, 특히 AI 에이전트 개발에서는 안전성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컴퓨터를 실제 제어할 수 있는 에이전트에서 안전은 추상적인 아이디어가 아니다"라며 "안전과 공동 프로덕트 개발은 같은 선상에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와 오픈AI는 지난해 9월부터 기술과 서비스, 사업 등 다양한 범위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해왔다. 카카오는 이번 협력을 통해 5000만 카카오톡 이용자를 위한 다양한 AI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향후 한국 시장에 특화된 공동 상품도 개발할 예정이다. 오픈AI와 챗GPT 로고. [사진=뉴스핌DB] 정신아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카카오는 국내에서 가장 앞선 AI 기술 환경을 확보하게 됐다"면서 "한국 시장을 깊이 이해하는 카카오와 글로벌 서비스 경험이 풍부한 오픈AI의 시너지를 통해 혁신적인 AI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랜 기간 축적한 플랫폼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이용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개인화된 AI를 구현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2025-02-04 13:24
사진
'최대 9.54%' 청년도약계좌 유리한 은행은?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청년세대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책인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이 열렸다. 은행별로 급여통장, 카드 실적 등 조건에 따라 우대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입 희망자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조건을 따질 필요가 있다. 3일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2월 가입신청기간은 이날부터 14일까지다. 서민금융진흥원 CI. [사진=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취급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신청해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이번 가입대상으로 안내받은 1인가구는 2월20일~3월14일에, 2인 이상 가구는 3월4일~14일에 계좌를 개설(영업일만 가능)할 수 있다. 취급은행은 NH농협·신한·우리·하나·IBK기업·KB국민·부산·광주·전북·경남·iM뱅크(구 대구은행) 등이다. 은행별로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및 우대 조건이 차이가 있어 자신에게 유리한 은행이 어딘지 살펴보고 가입하는 것이 좋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의 예금상품금리비교 탭에서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및 우대 조건을 비교할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일정 금액을 내면 만기에 본인 저축액, 은행 이자와 더불어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 청년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출시됐다. 납입 금액은 월 1000원부터 70만원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월 70만원씩 5년간 적립하면 만기에 약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다. 지난 1월에는 누적 162만 명이 계좌를 개설했다.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데다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연 소득 2400만원 이하면 최고 연 6% 금리를 제공한다. 이보다 소득이 높으면 최고 연 5.5%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총 급여 6000만원 이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붙여주는 구조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 모두에게 이자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비과세가 적용된다.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고려하면 실질금리 수준은 더 높다. 이에 더해 올해부터 만기 때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더 늘어난다. 금융위원회는 월 최대 기여금을 기존 24000원에서 33000원으로 늘렸다. 총 급여 2400만원 이하 가입자가 월 70만원씩 5년간 가입하면 4200만원을 납입해 만기 때 최대 5061만원까지 불릴 수 있다. 연 9.54% 일반 적금에 가입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총 급여 3600만원 이하는 만기 때 최대 4981만원, 총 급여 4800만원 이하는 최대 4956만원을 받는다. jane94@newspim.com 2025-02-03 08:5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