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대기 프로젝트 3건 발굴, 1조3000억원 경제효과 기대
[뉴스핌=김민정 기자] 정부가 잉여·잠재열과 부산가스 등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이 미미했던 부산물을 활용함으로써 투자는 물론 비용절감 효과까지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3일 ‘제4차 투자활성화 대책’ 발표에서 광양-여수산단간 부생가스 교환망 구축 사업과 발전소·산업단지 잠재·잉여열 활용 투자 프로젝트 등 3건의 현장대기 프로젝트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로 인한 경제효과는 1조3000억원이다.
우선 정부는 광양-여수산단간 부생가스 교환망 구축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현재 광양제철소에서 배출되는 수소와 일산화탄소 등 부산가스는 석유화학 등 고부가가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단순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업은 단일공장 기준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광양제철과 세계 4위의 석유화학단지인 여수산업단지를 연결하는 배관망을 구축해 부생가스와 LPG를 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는 산업부, 해양수산부,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부처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질·해류정보 제공하고 신속한 인허가를 지원할 방침이다.
해저터널은 3.8㎞의 길이로 사업비로는 1000억~2000억원, 공사기간은 약 5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달 참여업체간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후 내년 상반기까지 세부계획을 수립해 하반기에는 사업을 확정하고 착수할 계획이다.
광양-여수산단간 부생가스 교환망 구축사업 계획(그림=산업통상자원부) |
박원주 산업부 산업정책국장은 “부생가스 교환 배관망 구축으로 최대 2000억원 투자가 발생하고 5개 참여업체의 운송비 등 연간 생산원가 1200억원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발전소와 산업단지의 잉여열 활용 투자 프로젝트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제철소와 쓰레기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수도권 지역난방 보급에 활용해 약 4600억원의 직접투자와 1조7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광역 열배관망 건설에 대해 정부 주관으로 도시가스 업계와 협의를 추진하고 열 생산자와 공급자간 거래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발전소의 온배수 폐열을 발전소와 원예단지에서 활용하는 프로젝트도 이번 4차 투자활성화 대책의 지원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이 프로젝트는 시설 구축에 따른 직접투자효과 약 2000억원 외에도 발전소 주변지역 농·어민 소득을 증대시키고 일자리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에쓰오일 온산 석유화학공장의 폐열을 활용한 발전사업도 지원하기로 했다. 관계법률에 따른 ‘산업용지’의 용도변경을 통해 산업시설구역 내 발전소 입지를 위한 용지 임대차를 허용함으로써 이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도울 방침이다.
이 사업으로 송전선 구축 등 설비도입 관련 직접투자 850억원, 자체 전력생산에 따른 생산원가 절감 및 전력판매 연간 112억원과 온실가스 연간 5만3300t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정부는 200억원의 직접투자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제지업체와 지역난방업체간 폐열 공급 네트워크 구축 사업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여수산단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완료 시기를 앞당겨 확장단지 준공 지연을 해소하고 울산산단 인근의 그린벨트 33만m²을 해제해 산업단지로 편입해 공장용지로 공급키로 했다.
정부는 1~3차 투자활성화 대책에서 지원한 현장대기 프로젝트(16건) 중 4건이 기착공됐으며 여타 프로젝트도 대부분 기업의 투자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착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지주회사 규제개선(외국인투자촉진법), 유해시설 없는 관광호텔 설립지원(관광진흥법)은 법률 개정 지연으로 일부사업 지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중소기업 투자·입지·환경·산업단지 등 제도개선 과제도 법률 개정이 필요한 과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계획대로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1~3차 투자활성화 대책 중 현장대기 프로젝트 지원으로 총 27조5000억원의 직접투자 효과가 있다고 추정했다. 또 KDI는 2017년까지 GDP를 약 0.2%p 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2013년중 약 1조3000억원, 2014~2017년중 약 13조4000억원, 연 평균 약 3조4000억원, 2018년 이후 약 7조9000억원의 투자 증대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김민정 기자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