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 한국 투자 규모, 대 홍콩 투자 보다 적어
[뉴스핌=강소영 기자] 중국 자본의 해외투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대 한국 투자는 거꾸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이 '차이나 머니'를 유치하기 위해선 중국의 변화하는 경제정책에 기민하게 대처할 것과 중국 투자자에게 한국의 투자가치를 홍보하고 투자를 돕기 위한 전문기관 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1일 중국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외화자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국유및 민간 자본의 해외 진출을 적극 권장하고 나서면서 최근 중국 기업들의 해외 투자가 급격이 늘고 있다.
중국 상무부의 자료를 보면 올해 1~6월 중국의 대외직접 투자(중국 내 거주인, 비금융부문)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9% 늘었다. 그 중 북미·유럽·중미 및 아프리카 등에 대한 투자 증가율은 평균 50%를 넘었고, 대 미국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90%의 급증세를 나타냈다.
반면 대 한국 투자는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투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2%가 줄어든 1억 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의 대 홍콩 투자액보다 적은 수준이다.
투자 분야별로 보면, 중국의 대 한국 투자 분야는 관광·레저 및 서비스 관련 업종에 집중되어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중국의 한국 부동산·임대업 투자는 2억 8000만 달러로 전체 투자의 38%에 달했다. 그 밖에 요식·숙박업에 대한 투자 규모는 1억 3000만 달러로 전체의 17%를 차지했다.
중국의 대 한국 투자 부진의 주요 원인은 중국의 해외 투자 대상(아이템)과 한국 산업 구조의 불일치가 지적됐다. 중국의 해외 투자가 주로 자원·에너지·선진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 및 유명 브랜드 기업에 집중되어 있는데 반해 한국에는 이에 부합한 '투자 대상'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중국 자본에 대한 한국 사회의 부정적 인식도 대 한국 투자를 가로 막는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일례로, 과거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자동차 인수 실패건을 두고 일어난 한국 여론의 거센 반발이 중국 투자자가 한국행을 주저하게 했다는 것.
그러나 중국의 경제 구조 변화를 제대로 활용하면 거대 중국 자본을 한국에 유치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UTC인베스트먼트 중국지역 책임자 김용철 대표는 "과거 30년 간 중국 기업은 저비용·수출 주도·제조업 중심의 경제발전 구조 속에서 저렴한 원자재 확보를 위한 해외투자를 진행했지만, 중국 경제 발전 구조의 변화에 따라 중국 기업들도 점차 기술집약형 산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 한국 시장의 투자 가치도 점차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특히 IT·콘텐츠 산업·의료서비스 등 분야는 한중 양국이 투자를 통해 윈윈할 수 있는 여지가 많은 분야"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한국에 투자하기에 앞서 한국 시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야 하지만,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회계사·법률사무소·금융투자 기구·컨설팅 회사 등 전문성을 갖춘 기업이 적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 대표는 "한국에서 인천·부산 및 광양만 등 8개 경제자유무역지대가 설립되고 한국도 중국에서 적극적인 투자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며 "중국 기업이 한국의 하이테크 기술·신에너지·부동산 등에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의 해외 투자가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정책적으로 이뤄지는 만큼, 중국의 해외투자 정책과 목표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중국 인민일보은 중국의 미주 투자가 급격히 늘어나자, 지난해 '중국 대 미주 투자의 동력 10가지'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중국 해외 투자의 '맥'을 짚었다.
인민일보가 소개한 중국 해외 투자의 특징과 방향은 △2001년부터 지속되온 '저우추쥐(週出去·해외진출)' 정책 △ 안전한 자원 확보 △ 기술력 확보와 제고 △ 브랜드 구축 △ 선진기업의 기업관리 능력 습득 △ 무역장벽 해소 △ 해외진출 기업을 위한 서비스 △ 강력해진 중국의 영향력 등이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