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종달 기자] 골프장업계가 고사위기로 치닫고 있다. 어떻게든 이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골프장이 있는 가하면 자포자기에 빠진 골프장까지 그야말로 뒤숭숭하다.
골프장 회원권을 보유한 회원도 불안하다. 입회금 반환신청을 하면 돌려받을 수 있는 것 인지부터 입회금을 돌려주지 않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등 답답하다.
이렇게 골프장업계 겪고 있는 위기와 해법을 5회에 걸쳐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돌파구는 M&A
②골프장 M&A 시장 동향
③법정관리 골프장의 해결책은
④경매(공매) 골프장의 영업권은
⑤동양그룹 계열골프장 회원권은
1997년 IMF(국제통화기금) 구제금융 사태가 발생했을 때 5년에 걸쳐 국내골프장의 약 20%가 주인이 바뀌었다.
이를 감안하면 현재 440여개 골프장 가운데 10%만 주인이 바뀐다하더라도 40개 이상 골프장이 새 주인을 기다리는 상황을 맞는다. 현재 골프장업계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이 보다 더 심각하다.
골프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투자비 과다로 볼 수 있다.
김기세 KS레저대표는 “최근 5년을 전후로 개장한 골프장의 주인이 자기자본으로 골프장을 만든 사례가 거의 없다. 수도권의 경우 골프장 당 약 1000억원이 투자된다. 1000억원의 투자비 중 사업부지 300억, 공사비 400억, 금융비용 200억, 세금 100억 정도의 비율로 투자된다. 그중에서 골프장주인의 실제 투자비는 100억 안팎이다. 나머지 금액은 거의 높은 이자를 지급하는 PF(Project Financing)로 충당했다. 회원권분양을 통해 투자비를 회수해 공사비 및 금융비용을 갚고 나면 사실상 골프장법인계좌에 돈이 남아 있지 않은 ‘깡통골프장’이 된다. 이런 상태이다 보니 입회금반환을 못해주는 것이 골프장의 위기의 핵심이다”고 말했다.
많은 골프장이 입회금반환만기일이 도래하면서 회원들로부터 입회금반환 소송 및 통장가압류 되면서 골프장매출금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직원들의 급여는 물론 세금체납, 거래처대금 미지급 등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
결국 법정관리로 가는 수순을 밟는다. 최악의 경우 회원들에게 골프장을 넘기던가 아니면 자금력이 있는 제3자에게 골프장을 매각하는 방법밖에 없다.
하지만 회원권부채가 1000억원이 넘는 상황에서 입회금반환이 몇 백억원이 도래하는데도 프리미엄을 받고 넘기려는 골프장 주인도 있다.
다음은 골프장업계의 치열한 경쟁이다. 골프장의 증가로 객 단가는 하락하고 입장객 감소, 비용 상승이라는 악순환을 맞았다.
최근 5년간 18홀 골프장의 경우 입장객이 평균 7만명에서 6만명으로 약 1만명이 줄었다. 객단가도 약 2만원 줄어든 반면에 매출원가 및 판매관리비는 매년 물가인상률 기준 3%정도로 꾸준히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회원권반환금을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10년 이상 된 골프장도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다. 그래도 접근성이 좋은 골프장은 근근이 손익분기점에서 버티고 있다.
입회금반환걱정이 없는 골프장도 회원이 동반하는 비회원의 그린피를 대폭 낮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 최근 회원권 보유자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팀 구성이 안 되서 골프를 치고 싶어도 못 쳐 결국 회원들끼리 연락해서 골프 치러 간다’는 주장이다.
그렇게 되면 결국 골프장은 그린피가 거의 없는 회원들만 입장하는 그야말로 ‘회원들만 이용하는 회원제골프장’이 된다. 골프장이 점점 더 최악의 상황으로 내몰리게 되는 것. 회원의 매력인 ‘회원권이용기회의 확대’가 잘 되지 않으면 회원권 가격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골프장도 회원도 망하는 길목에 서 있다.
![]() |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계 없음 |
[뉴스핌 Newspim] 이종달 기자 (jdgolf@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