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⑬ 텐센트(騰訊·TENCENT)

기사입력 : 2013년10월04일 17:01

최종수정 : 2014년05월30일 16:09

[뉴스핌=강소영 기자] 

[그래픽:송유미 기자]
중국 인터넷 IT분야의 대표주자 텅쉰(騰訊 영어이름 텐센트 )홀딩스사는 올해(2013년)  회사 경영안팍에 걸쳐 몇가지 특기할 만한 기록을 세웠다.  텐센트홀딩스의 대표인 마화텅(馬化騰)은 올해 보유재산 620억 위안(약 10조 8000억 원)으로 인터넷 기업으로는 드물게 중국 본토의 3대 부호에 '등극'했다.  불혹을 갓 넘긴 42세의 마 회장은 올해 중국 10대 부호 가운데 가장 젊은 재력가라는 기록도 남겼다.

이와 함께 홍콩에 상장된 텐센트홀딩스의 시가총액이 지난 9월 1000억 달러(7474억 홍콩달러)를 돌파하면서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온라인게임과 메신저 사업을 기반으로 고속성장을 구가해온 텐센트는 시가총액에서 일본의 소프트뱅크를 넘어서게 됐다.

회사 주가도 폭발적 성장세를 보였다. 텐센트의 주가는 지난 9월 11일 사상 최고가인 주당 405.8홍콩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004년 홍콩거래소에 상장됐을 무렵과 비교할 때 이 회사 주가는 근 10년만에 무려 100배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인터넷 기업으로서 텐센트의 성공 신화는 탄탄한 영업  실적에서 비롯됐다. 2007년 2억 달러에 불과하던 텐센트의 순이익은 2012년 20억 달러를 넘어섰다. 매출액은 2008년 71억 위안에서 2012년 439억 위안(69억 달러)으로 5년 사이에 6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4%가 늘어난 279억 3210만 위안의 매출을 달성했다.

매출액 구성을 보면 온라인 게임과 커뮤니티 서비스가 주축이된 인터넷 기반 서비스 수익이 전체 매출의 73% 이상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온라인 게임과 커뮤니티 서비스의 매출액 비중은 각각 53%와 21%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텐센트의 매출액 구성은 시나닷컴·바이두 등 중국과 구글·페이스북 등 글로벌 경쟁 업체와도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들 경쟁 업체의 매출은 광고수입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전자상거래가 그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인터넷 기업이 광고수익에 의존한 수동적 매출구조를 가진데 비해, 텐센트는 온라인 게임 등 탄탄한 수익을 창출모델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경쟁업체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월등히 높게 평가받고 있다. 

중국과 홍콩 증시 전문가들은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텐센트가  2008~2011년 사이 세계에서 주주들에게 가장 많은 수익을 돌려주는 기업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 주축 사업인 온라인 기반 서비스 성장성 기대
1996년 인터넷 메신저 업체로 시작한 텐센트는 PC메신저인 QQ로 중국 인터넷 시장을 장악하며 인터넷 분야의 공룡기업으로 성장하게 됐다. 

QQ는 중국 인터넷 메신저 시장의 80%를 장악하고 있고, 가입자수가 10억 명에 달할 정도로 막강한 파워를 지니고 있다.

텐센트는 QQ의 확장세를 기반으로 포털사이트QQ닷컴, 전자상거래 등의 분야로 인터넷 비지니스 영역을 넓혀 갔고, 온라인 게임 시장에 진출하면서 명실상부한 인터넷 대기업으로의 입지를 굳히게 됐다. 

그 중 온라인 게임은 텐센트 매출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업분야다. 올해 2분기 143억 8450만 위안의 매출을 올린 텐센트는 그 중 76억 위안을 온라인 게임에서 벌어들였다. 

최근 몇 년 텐센트에 매출총액에서 온라인 게임 매출은 절반을 넘어서며 주요 수입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올해 텐센트 온라인 게임 사업부문의 매출 급증은 던전앤파이터, 리그오브레전드 등 게임이 중국과 해외 게임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텐센트는 게임 개발 자회사 라이엇게임즈를 운영 중이며, 텐센트 자체적으로도 게임을 개발하고 있다. 텐센트의 라이엇게임즈가 개발한 게임 리그오브레전즈는 한국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있다.

한국 게임인 던전앤파이터의 중국 퍼블리셔인 텐센트는 게임 개발외에도 퍼블리셔로 막대한 수익을 거두고 있다. 게임 산업에서 게임 서비스 및 마케팅을 담당하는 퍼블리셔가 전체 게임 매출의 80%를 갖고, 나머지 20%만이 게임 개발사에 돌아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자료에 따르면, 텐센트는 퍼블리셔로서 중국 온라인 게임 시장의 70%를 장악하고 있다.

모바일게임의 성장 역시 텐센트의 매출 신장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망과 스마트폰 보급 확산, 소득 증대로 모바일게임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 7월에 발표된 중국온라인게임산업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6월 기준 중국의 모바일게임 가입자수는 1억 71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3%가 늘었다.

텐센트는 지난 8월 iSO 위챗 5.0을 출시하고 첫번째 모바일게임 ′천천애소제(天天愛消除)′를 발표했다. 이 게임은 출시 하루만에 애플 앱스토어의 상위권에 진입하며 큰 인기를 끌었다. IT업계는 ′천천애소제′의 인기는 모바일게임 플랫폼으로서 위챗(微信)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했다.

위챗은 '중국판 카카오톡'으로 현재 중국을 넘어서 세계 각지에서 무섭게 가입자를 늘리며 텐센트의 '명성'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올해 8월 기준 한국의 카카오톡과 라인의 전세계 가입자수가 각각 1억명과 2억명인데 반해, 위챗은 4억 5000만 명에 달한다. 이는 텐센트가 다른 중국의 인터넷 경쟁업체와 달리 '정부의 울타리'를 벗어 세계를 향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바이두(百度), 시나닷컴(新浪) 등 중국의 대표적 인터넷 기업은 중국의 폐쇄적인 정보통신 정책의 '혜택'을 톡톡히 누려온 것이 사실이다. 구글은 검열과 해킹 사건을 둘러싸고 중국과 갈등을 빚고 2010년 지사를 홍콩으로 옮겼고, 중국 정부는 국내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접속도 차단하고 있다. 이 같은 글로벌 인터넷 기업의 부재를 이용해 바이두·시나닷컴의 웨이보(微博) 등이 중국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릴 수 있었지만, 이는 반대로 이들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의구심을 품게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텐센트는 온라인 게임 사업에 이어 위챗으로도 글로벌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인정받게 된 것이다.

◇ 중국 IT 천하  'TAP 삼국지' ...텐센트의 과제
중국의 IT 업계에서는 텐센트, 알리바바(阿里巴巴), 바이두(百度)의 3대 인터넷 기업들이 치열한 격전을 펼치고 있다. 업계는 이들의 경쟁을 각 업체들의 영문이니셜을 따 'TAB 삼국지'로 비유하기도 한다.

이들 3개 업체는 뚜렷하게 자기만의 '색깔'을 바탕으로 영업규모를 확대하며 각자의 '강점'을 바탕으로 성장해왔다. 바이두가 검색엔진, 알리바바가 전자상거래 그리고 텐센트는 온라인게임과 SNS 분야의 강자다.

그러나 최근들어 이들 3개 업체가 사세확장을 위해 상대방의 영역을 넘보고 있어, 향후 중국 IT 시장의 경쟁이 더욱 격화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는 최근 자사의 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淘寶)와 티몰(天猫) 입점 상인들이 텐센트의 위챗을 사용하는 것을 차단했다. 그 후 텐센트는 위챗에 온라인 결제기능을 입힌 위챗즈푸(微信支付 웨이신즈푸)를 출시해  알리바바의 견제를 방어하고 나섰다. 위챗즈푸는 온라인 결제서비스 외에도 전자상거래 기능을 겸비하고 있어 알리바바와 전자상거래 분야에서도 전면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텐센트는 중국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인터넷금융에서도 알리바바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인터넷을 통한 소액대출 서비스로 인터넷금융의 물고를 튼 알리바바는 일종의 머니마켓펀드(MMF) 상품인 위어바오(餘額寶)를 통해  2개월 여 만에 가입액 200억 위안(약 4조 원)을 돌파하며 중국 금융권과 인터넷 업계에 파장을 불러 일으킨 IT업계의 금융강자다.

이에 텐센트는 지난달 포발(浦發)은행과 전략적 협의서를 체결하고 본격적인 금융업 진출을 선언했다. 이뿐만 아니라 텐센트는 검색 엔진 분야까지 사세를 확장하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텐센트는 온라인 검색 업체 써우거우(搜狗)의 지분을 매입했다. 

그러나, 바이두와 알리바바도 텐센트의 '선전포고'에 반격을 가하고 있어 텐센트를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알리바바는 최근 위챗의 대항마로 소셜 메시징 앱 라이왕(laiwang)을 발표했다. 바이두도 올해 상반기 19억 달러에 91와이어리스 인수하고 PC인터넷과 모바일 검색시장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고 나섰다.

◇IB들,  텐센트 투자가치 ' 밝음' 
중국인의 소득증대, 도시화와 인터넷 보급 확대 및 게임산업의 고성장기 진입 등은 텐센트가 앞으로도 고속 성장을 이어갈 객관적 환경을 조성해주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증권전문가들은 텐센트의 주가가 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투자자의 장기투자를 권하고 있다. 

텐센트의 초기 대주주인 남아프리카 미디어 그룹 나스퍼스의 출자 회사 MIH는 지난 12년간 텐센트 투자를 통해 1000배의 수익을 냈다. 현재 텐센트의 최대주주인 MIH는 최근 텐센트의 지분을 줄일 계획이 없다고 밝혀 텐센트 주가 가치에 대한 확신을 드러냈다.

주요 증권사와 투자은행들도 최근 텐센트의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하며 추가 매입 견해를 밝히고 있다. 

2013년 9월이후 텐센트 주가평가 보고서를 발표한 11개 투자은행과 증권사 가운데 시티은행을 제외한 10곳이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시티은행의 경우 텐센트 목표 주가는 주당 480홍콩달러로 이미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최근 추가적인 상향조정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폭염에 '온열질환자' 속출…환자 425명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지난 30일 서울 전역에 첫 폭염주의보가 시작되면서 올해 온열질환자가 400명을 넘었다. 1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6월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425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했다. 온열질환은 더운 날씨로 인해 열탈진, 열사병, 열 부종 등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40도 이상의 고열이나 현기증, 두통, 오한 등이 나타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서울 전역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30일 오후 서울 성동구 마장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양산을 쓰고 뜨거운 햇볕을 피해 걷고 있다. 2025.06.30 yooksa@newspim.com 기상청은 지난 30일 서울 전역과 경기도 과천, 성남, 구리, 화성에 올해 첫 폭염주의보를 발령했다. 경기도 가평, 광주는 폭염주의보가 폭염경보로 격상됐다. 1일에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0도, 강릉 35도, 대전 32도, 광주 35도, 제주 31도로 더운 날씨가 계속될 전망이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온열질환자 수도 점차 늘고 있다. 지난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온열환자 수는 62명으로 사망자는 없었다. 이 기간 중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21명이다. 반면 지난 28일에는 하루 최대로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가 52명으로 늘었다. 지난 1일부터 29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는 361명으로 사망자는 3명에 달하며 급증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 현황에 따르면 온열질환자는 대부분 고령층에서 발생했다. 60대가 78명(18.4%)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70명(16.5%), 30대와 40대는 각각 61명(14.4%)으로 집계됐다. 온열질환자가 속출하는 직업은 미상을 제외하고 단순 노무 종사자로 68명(16%)에 달했다.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0명(9.4%), 무직 39명(9.2%) 순으로 나타났다. 열탄진으로 인한 온열질환자는 222명(5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열사병 85명(20%), 열경련 61명(14.4%), 열실신 53명(12.5%)이다. 하루 중 온열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오후 4∼5시(13.6%)다. 오전 10∼11시(11.8%), 오후 3∼4시(11.5%) 등의 순이었다.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시원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 더운 시간대의 활동을 자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체온 조절이 원활하지 않은 만성질환자, 어린이, 어르신은 더위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해야 한다.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온열질환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더운 낮 시간대 활동을 피하는 것만으로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라며 "방치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육 교수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 온열질환이 발생할 경우 체열을 신속히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찬물에 적신 수건을 몸통에 덮거나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부위에 찬 물병이나 선풍기 바람을 활용해 체온을 낮추는 응급조치가 도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7-01 11:24
사진
내란 특검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 통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내란 특검(특별검사)'이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측에 2차 소환조사 일자를 다시 통지했다. 특검팀이 다시 통지한 일자는 오는 5일 오전 9시다. 박지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이 금일 특검 출석에 응하지 않고 불응했다"며 "윤 전 대통령에게 오는 5일 오전 9시까지 출석하라고 통지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이) 5일 오전 9시 출석하지 않는 경우 어떻게 조치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전날 윤 전 대통령 측이 제출한 의견서에서 5일 이후 출석에는 응하겠단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만약 그때도 출석에 응하지 않으면 요건이 다 갖춰진 이상 법원에서도 (체포영장을) 내주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박 특검보는 특검이 재통보한 일정에 윤 전 대통령이 응하지 않는 경우 형사소송법상 마지막 단계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hyun9@newspim.com 2025-07-01 11:2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