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CIC 기관성격과 전략에 변화 오나, 수장 4개월째 공석의 내막

기사입력 : 2013년07월02일 11:34

최종수정 : 2013년07월02일 15:50

[뉴스핌=최헌규 조윤선 기자] 중국 국부펀드 중국투자공사(中投 CIC)  책임자가 4개월째 장기 공석이 되면서 CIC 현 투자상황및 기구 성격의 문제점 및 예상되는 투자실패에 대한 책임 우려 등이 후임자 선임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CIC 회장(대표이사 회장) 자리는 전임 회장 러우지웨이(樓繼偉)가 재정부장으로 승진 전보해간 뒤 4개월째 공석으로 남아있다.  무엇보다 거액의 외화 운용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한 시점에 책임자가 장기 궐석이다 보니 그 배경에 대해 여러 억측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인선의 난항에 대해 당국에서는 조건이 부합하는 인사는 자리를 고사하고, 자리를 차지하고 싶은 인물은 '깜'이 못된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 

모두가 기피하는 '폭탄 방석'  CIC 최고 책임자

지난 5월말 국무원은 중국 궁상(工商)은행 전 부행장 리샤오펑(李曉鵬)을 CIC 감사로 임명했다. 이후 회장 선임과 관련해 많은 인사들이 하마평에 올랐다. 그중 상하이 상무부시장 투광샤오(屠光绍)가 가장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었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부행장 겸 외환관리국 국장인 이강(易鋼)과 충칭시 시장  황치판(黄奇帆), 궁상은행 회장 장젠칭(姜建清),  또 현임 CIC 부 회장인 가오시칭(高西慶)도 물망에 올랐다. 6월 28일에는 국무원 부비서장인 딩쉐둥(丁學東)이 그 자리를 맡을 것이라는 소문이 나돌았다. 

한 당국자는 CIC의 최대 문제는 최종 투자 책임을 떠맡으려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CIC 새 회장의 하마평에 오르는 인사들은 하나같이  CIC 현 투자항목들에 큰 리스크가 있다는 점을 걱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CIC 투자포트폴리오의 정황을 파악하고 있는 한 국유은행 간부는 CIC는  단기내에 다양한 형식의 글로벌 투자를 단행했다며 최후의 수익이 어떻게 될지 짐작할수 없다고 귀뜸했다. 

또 한편에서는 CIC 수장의 중요한 직무가 국가 외화자금의 가치 증대인데 이를 실현하는 일이 엄청난 부담이 되기 때문에 능력을 갖춘 이들이 선뜻 나서지 않는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가오시칭 현 부회장은 CIC는 지금 재무투자자를 끌어들여야하고 영리를 목적으로 한 장기 투자자들와의 협력을 모색해야하며 전략적 목표도 만들어야한다고 CIC가 직면한 과제를 소개했다. 궁극적으로 CIC 수장에게는 어떤 경우에라도 수익을 내고 돈을 벌어야하는 막중한 책무가 부여돼 있다고 그는 말했다.   

CIC는 하지만 중국 유일의 국가급 주권 재무 투자기구라는 특수한 신분 때문에 상당수 투자 활동이 국가 필요의 재무적 투자 또는 전략적 투자 성격을  띨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임무는 수익을 극대화하는데  맞춰져 있지만  기구 성격상  실제 수익을 내는 일이 쉽지 않다는 얘기다. 

현재 CIC는 모건스탠리에 투자해 큰 손실을 낸 상황이다. 하지만 그 손실의 댓가로 CIC는 모건스탠리의  2대주주와 이사회 자격을 보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는 전략적 투자의 문제도 내포하고 있어 단순히 손실 부분만을 놓고 가타부타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CIC가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던 분야는 광산 에너지 자원 등 이었다. 이는 다분히 재무적 투자인 동시에 전략적 안목의 투자였다고 볼 수 있다. CIC 내부관계자들은 이것이 바로 CIC의  실적을 순전히 수익률로만 판단할 수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수익경영의 한계, 정부의 그림자 기관

CIC는 2007년 재정부가 국채를 발행하고 중앙은행이 외화보유액 2000억달러를 들여 인수하는 방식으로 설립됐다.  이것이 CIC의 등록 자본금이 됐으며 이 국채의 표면 금리는 4.3~4.5%였다. CIC는 설립 당시부터 이미 엄청난 짐을 떠안고 출발한 셈이다. 

CIC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해외의 많은 투자회사들이 CIC를 금융회사라기 보다 중국 정부의 한 부문으로 여긴다며, 상대가 CIC의 배경 등을 파악하면 합작 협상을 이내 중단한다고 소개했다. 

CIC는 실제적으로 '중양후이진(中央匯金)'과 'CIC궈지(國際)'라는 두 개의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다.  이 중 CIC궈지는 CIC 해외투자 프로젝트를 책임 수행하고 있다.

외국의 투자자들은 중양후이진이 CIC의 지배하에 있고 국가개발은행과 4대 국유은행, 그리고 다수의 증권회사 및 저책성 보험회사의 대주주인 것에 대해 사업 파트너로서 마뜩치 않아한다. 국무원 즉 정부를 대신해 주주권을 행사하는 기구이기 때문이다. 

비록 중양후이진이 CIC 경영과 표면성 분리가 돼 있다하더라도 중양후이진의 존재는 해외 투자자들의 눈에 CIC와 정기(정치-기업) 분리가 되지 않은, 말하자면 정부의 그림자나 다름없는 것이다.   

정부 영향력에 예속된 신분이라는 점은 사업상 편리한 통행증의 특권을 지닐 수도 있지만, 중국의 국가 전략적 성격이 우선하는 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투자 프로젝트에 있어서 협력자들에게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 

 
투자 적자국면 전환에 고심

CIC가 근래 투자에서 막대한 손실을 낸 것은 중국이 외환보유고로 막대한 미국 채무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중국은 현재 3조4000억 달러에 이르는 외환보유고를 비축하고 있는 세계 최대 외환보유국이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 수석 경제학자는 과거 10년 중국을 제조업 대국으로 정의한다면, 향후 10년 중국은 세계 최대 채권국으로 정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중국 외환보유고의 3분의 2가 달러 채무자산인데 대부분이 미국 국채로 구성되어 있는 데다, 유로존 채무자산이 4분의 1를 차지하며 동아시아 각국의 국채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중국이 미국 국채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서 벗어나려 해도 현재로선 중국 외환보유고로 유입되는 방대한 자금을 흡수할 만한 시장이 없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CIC는 설립 초기부터 외환 투자 루트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투자 수익률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5월 설립 준비 단계부터 중국투자공사는 30억 달러를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블랙스톤 지분에 투자했으나 기업공개(IPO) 이후 블랙스톤 주가가 발행가 이하로 떨어지는 바람에 대형 손실을 낸 뼈아픈 경험을 했다.

이밖에 CIC는 1억 달러를 들여 중국 국영 철도업체인 중국중철(中國中鐵)의 홍콩 H주 신주를 매입한 것을 비롯해 모건스탠리가 발행한 만기 후 보통주로 전환이 가능한 지분 매입에 50억 달러를 투자했다.

하지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중터우는 2008년 해외 투자 수익률 -2.1%를 기록하며 적자를 냈다.

칭화(清華)대 공공관리학원 위챠오(俞喬) 교수는 "외환보유고를 적정한 선에서 투자하고 활용하는 것이 큰 과제가 되고 있다"며 "투자 방식 다변화와 더불어 다량의 금융 자산을 실물 자산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위 교수는 "현재 국가 외환관리국의 투자는 금융 자산에 집중돼 있다"며 "자산운용사를 비롯한 해외산업펀드 등을 활용해 자산 관리 루트를 다변화 할 것"도 조언했다.

또한 그는 '중국 외환보유고와 글로벌 산업 투자'라는 저서를 통해 외환보유고 중 각국의 국채와 기관채를 주식화 할 것을 권유, 즉 수익률이 비교적 낮은 채권을 수익률이 높은 지분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뉴스핌 Newspim]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