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오싹한 공포상황을 냄새를 통해 분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사진은 영화 '오멘'의 한 장면 |
서스펜스 영화나 소설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하는 이 가설은 의외로 오래 전부터 과학자들이 주목해 왔다. 학자들은 인간이 일련의 공포와 마주했을 때, 후각으로 이를 알아차릴 수 있는지 알아내려 했다.
최근 각국의 실험을 종합한 결과 이 가설은 과학적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됐다. ‘공포의 냄새’ 자체는 비유적 색채가 강한 비논리적 표현이지만 과학자들은 공포를 직감케 하는 특유의 냄새가 분명 존재한다고 결론 내렸다.
‘공포의 냄새’를 알아내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는 2009년 서서히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 독일 연구팀은 학생들을 1, 2그룹으로 나눈 뒤 각각 ‘운동’과 ‘시험 직전’이라는 가상의 상황에 놓이게 했다.
연구팀은 각 그룹의 학생들이 흘린 땀을 채취한 뒤, 이를 제3의 그룹 학생들에게 맡게 했다. 학생들은 탄소마스크를 착용한 채 자기공명영상(MRI)장치에 들어가 1, 2그룹이 흘린 땀 냄새를 유심히 맡았다.
이 실험에서 3그룹 학생들은 후각적으로 어떤 차이도 느끼지 못했다. 다만 뇌 반응은 확연히 달랐다. ‘시험’ 상황에 놓인 학생들의 땀 냄새를 인지한 뇌는 공감과 사회적 신호, 타인의 심리상태 등을 감지하는 부분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시험’이라는 긴장상태에 놓인 사람들의 땀에는 신경이 곤두서거나 불안할 때 분비되는 화학물질이 다량 포함돼 있다고 생각했다.
같은 해 미국 텍사스 라이스대학 심리학자들은 학생들을 1, 2그룹으로 구분한 뒤 공포영화와 코미디영화를 보여주고 땀을 채취했다. 학자들은 별개의 3그룹 학생들에게 웃는 표정과 애매한 표정, 겁에 질린 표정을 보여주면서 1, 2그룹에서 채취한 땀 냄새를 맡게 했다.
그 결과 공포영화를 관람한 학생들의 땀 냄새가 감지될 때 애매한 표정을 접한 학생들은 이를 겁에 질린 표정으로 인식했다. 반면 코미디영화를 관람한 학생들의 땀 냄새를 맡은 학생들은 애매한 표정을 웃는 표정으로 판단했다. 공포상황에서 흘린 땀 냄새가 사람의 심리를 움직인 셈이다.
두 가지 실험은 최근 네덜란드 연구팀에 의해 구체화됐다. 연구팀은 공포를 느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땀이 제3자의 행동에 끼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고 결론지었다. 인간은 시각과 청각, 촉각뿐 아니라 땀 속에 섞인 화학물질 신호를 사용해 타인과 감정을 교환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입증된 것이다.
다만 학자들은 인간들이 냄새에서 특정 상황을 판단하고 감지하는 능력은 동물에 비해 몹시 떨어진다고 입을 모았다. 동물들은 배설물 냄새나 울음소리 등에서 미묘한 차이를 느끼지만 인간은 사회를 형성하고 살면서 여러 감각이 둔해진 탓에 덜 감각적이라는 게 학자들의 의견이다.
[뉴스핌 Newspim] 김세혁 기자 (starzoob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