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권지언 기자] 성장 박차에 여념이 없는 아시아 국가들의 부채 수준이 빠른 증가세를 보이면서 유럽식 부채위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외환위기로 외화 차입을 꺼려했던 90년대와 달리 아시아 국가들이 빠른 속도로 부채를 축적하고 있다면서, 유럽이나 미국이 부채 축소에 나서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지적했다.
지금과 같은 부채 증가세가 이어진다면 유럽과 같은 부채 위기가 발생하거나 일부 국가들의 가파른 성장세에 급제동이 걸릴 수도 있어 우려감된다고.
국가들의 차입 확대 양상은 아시아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 및 민 부채 비율은 외환위기가 발생하던 지난 97년 수준을 넘어선 상태다.
부채는 지난 4년에 걸쳐 집중 확대됐는데, 맥킨지 자료에 따르면 전반적인 GDP 대비 부체 비율은 2012년 중반 155% 수준으로 2008년 133%에 비해 확대됐다.
특히 이 같은 부채 증가세를 주도한 국가는 중국으로, 중국의 GDP대비 부채 비율은 지난해 중반 183%로 2008년 153%에서 크게 늘었다. 노무라 등 일각에서는 그림자금융까지 포함하면 부채비율은 200%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중국의 국영기업과 지방정부의 차입이 확대되면서 일부 전문가들과 당국 관계자들은 중국 경제가 디폴트 상황에 직면하거나 추가적인 경기둔화를 겪을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 게다가 중국의 경제 문제는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에 파급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어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물론 부채가 어느 정도 까지가 지나친 수준이라는 뚜렷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경제전문가들은 복잡한 신용시장을 가진 선진국들의 경우 공공 및 민간 부채가 개도국보다 높은 수준이 유지되더라도 감당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아시아 역시 90년대에 비해 은행이나 신용시장이 더 발전한 만큼 부채비율이 늘었더라도 성장에 큰 타격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WSJ는 지난 몇 년 간 일부 급격하고 지속적인 신용 성장세가 위기의 전조가 되고 있다면서, 유럽에서도 공공 및 일부 민간 부채 증가세가 지속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졌고 현재의 경제 문제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소속 이코노미스트 지오바니 델 아리씨아는 “신용 성장세를 본질적으로 나쁘게 볼 필요는 없지만 위험 신호”라면서 GDP대비 부채 급증은 세 번 중 한번은 위기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다른 한 번은 평균 이하의 성장률로 이어지는 경우고, 나머지 한 번의 경우 만이 성장세 유지 또는 가속화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기자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