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서영준 기자] 중소기업의 실체적인 현황을 보다 면밀히 파악해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중기 지원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1일 맞춤형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모색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중소기업중앙회가 조사·구축한 중소기업 실태조사 보고서 상의 제조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08~2011년의 4개년의 표본조사를 활용해 중소기업 10개중 8개가 대기업과의 연관성이 적은 자립형 중소기업(80.9%)이라고 지적했다.
자립형 중소기업(80.9%)의 대부분은 내수기업(72.4%p)이었으며 저부가업종(56.9%p)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1년 표본 내 중소기업의 50.7%는 수요기반이 취약한 내수저부가형으로 조사됐다. 이어 내수고부가형 21.7%, 수출고부가형 2.3%, 수출저부가형 6.3%, 대기업의존형 19.1% 순으로 드러났다.
중소기업 유형별 특성은 대기업의존형이 생산성과 수익성이 낮으며 연구개발투자가 불충분했다. 수출고부가형은 규모의 경제로 생산성이 높으나 저수익성으로 설비투자가 부진했다.
수출저부가형의 경우엔 수익성은 높으나 R&D 투자가 소홀했으며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내수고부가형은 생산성과 R&D 비중이 높으나 설비투자에 소극적이며 영세한 경향을 보였다. 내수저부가형은 부채율이 높고 영세했으며 비용절감을 통한 수익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중소기업의 실체적인 현황을 면밀히 파악해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중기 지원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대기업의존형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원·하청기업 간 공정거래 확립과 대·중소기업의 복합경쟁력 제고에 노력해야 한다"며 "수출주력형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고부가 시장으로의 진출 촉진 시장개척과 관련된 비용 축소 등에 정책적 지원이 집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수고부가형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연구개발투자 성과의 이행 촉진, 규모의 경제 실현에 대한 지원 확대 등에 주력해야 한다"며 "네 유형중 경쟁력과 시장 기반이 가장 취약하다고 평가되는 내수저부가형에 대해서는 구조조정 촉진과 사업전환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서영준 기자 (wind09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