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 평균 2.3% 성장 예상, 침체 가능성 낮게 봐
[뉴스핌=김사헌 기자] 미국 경제전문가들은 경제가 '회복기'를 거쳐 내년부터는 보다 '정상적인 성장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비록 재정절벽 합의라는 변수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경제가 다시 침체로 빠져들 위험은 낮은 편이라는 판단이며, 이 같은 안정적인 성장 전망은 기업 활동의 불확실성을 낮추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16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달 주요 경제전문가 서베이 결과, 2013년 미국 경제가 3% 이상 성장할 가능성이 다시 침체로 빠져들 위험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경제전문가들의 평균 예상치로 보면 내년 미국 경제는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 올해 추정치 1.9%에 비해 개선이 기대된다. 2014년에는 성장률이 2.8%로, 2015년은 2.9%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실업률은 내년 말까지 7.5%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2014년까지도 7% 대 실업률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2014년 중순에 실업률이 7.2%, 2014년 말에 7.0%까지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을 기대했다. 실업률이 5.5% 자연 실업률 수준까지 하락하는 시점은 2015년 이후가 될 것이란 의견이 80%를 차지했다.
주택착공 규모는 올해 78만 호에서 내년에는 98만 호로 늘어나면서 다시 100만 호 시대를 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택가격은 올해 3.6% 상승한 뒤 내년에도 2.5% 가량 추가 상승이 기대된다.
이번 조사 결과는 미국 경제가 금융 위기 이후 침체가 끝난 2009년 이래 '회복기'를 끝내고 좀 더 안정적인, 그러나 낮은 성장률과 높은 실업률의 '뉴 노멀(New Normal)' 성장을 본격적으로 개시할 것이란 판단에 힘을 싣는다.
사실 미국 경제의 실질 성장률로 보면 경제 회복기는 2011년 말에 끝났다. 하지만 1인당 국내총생산 면에서 보자면 아직도 2007년 위기 전 수준을 회복하려면 멀었다. 무엇보다 실업률이 여전히 높고 주택시장의 회복세가 미미한 수준이라는 점이 부담이었다.
하지만 2013년에는 이런 구도가 바뀔 것이란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 정부의 부양책과 제조업의 회복에 이어 주택시장이 내년에는 본격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고용시장이 아직 어렵지만 월 15만 개 정도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 예상된 점을 감안한다면, 2013년에는 위기 전 수준으로 1인당 생산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미국 가계의 순자산이 위기 전 고점에 비해 12%나 떨어진 상황이기 때문에 완전한 회복을 기대하기에는 이르다. 또 소득 면에서도 위기 전보다 330만 개 줄어있는 일자리가 빠르게 채워지지는 못할 것이기 때문에 아직 충분한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다.
한편, 미국 경제가 공공 지원과 제조업의 회복 그리고 주택시장까지 성장에 가담할 경우 위기 이후 부족했던 '경제적 완충지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경기침체 위험이 좀 더 줄어들었다는 판단이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 의장과 의회예산국은 모두 재정절벽 합의가 불가능할 경우 경기 침체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지만, 체력이 회복된 미국 경제가 이 같은 부담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전문가들 사이에 형성됐다.
조사 결과 경제전문가들이 보는 경기침체 발생 위험과 3% 넘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상방 위험(upside risk)' 가능성이 각각 24%로 같게 나타났다.
물론 전문가들은 자신이 제출한 경제 성장률 전망치에 비해 경제가 더 선전할 가능성은 30%, 더 부진할 가능성은 70% 정도로 여전히 하방 위험을 높게 보고 있었다.
재정절벽에 대해서는 온전한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을 30%로, 대치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이 26% 그리고 절충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47%로 봤다.
재정 절별 합의에 실패할 경우 증시가 받는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가가 1%~5% 내릴 것이란 의견이 43%, 5%~10% 하락할 것이란 의견이 38% 였고 10% 이상 주가 하락을 예상한 의견은 19%에 불과했다. 합의 도출 시 주가 상승 전망도 10% 이상 오를 것이란 의견 비중은 7%에 불과했으며, 1%~5% 상승이 48%, 5%~10% 상승은 38%를 각각 차지했다.
[뉴스핌 Newspim] 김사헌 기자 (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