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설계서비스 지원, 해외봉사활동 확대
[뉴스핌=곽도흔 기자] 정부가 베이비붐 세대의 일자리와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가칭)노후생활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다.
베이비붐 세대란 통상 1955년에서 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로 총인구의 14.3%를 차지하는 거대 인구 집단으로(714만), 높은 교육수준(고졸이상 74.6%)과 고용률(75.5%) 등 특징을 지닌다.
정부는 5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제126차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노후생활지원법 제정, 성공적 창업을 위한 상권정보 시스템 구축, 해외 자원봉사 활성화 등의 내용이 포함된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새로운 기회 창출-상생형 일자리 확대 및 사회참여 촉진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대책은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퇴직에 대비하기 위해 ‘스스로 인생후반기를 준비해 자립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사회적 여건 조성’을 목표로 5개 분야에 걸쳐 총 35개 과제로 구성됐다.
우선 베이비붐 세대의 생애 후반기 자립 기반 조성을 위해 ‘(가칭)노후생활지원에 관한 법률’를 제정해 체계적 노후생활 지원을 위한 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개인의 욕구와 경력 분석을 토대로 한 맞춤형 노후설계 서비스를 지원하는 한편, 신규 취업 및 창업 등 생애전환기 노후설계교육 이수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 국민연금 실버론 신청자, 퇴직연금 담보 대출자 등 재무 위험이 높은 계층에게는 더욱 심각한 빈곤 등 위기상황에 도달하지 않도록 노후설계 교육를 사전 이수토록 했다.
기업은 ‘더 고용하고’, 개인은 ‘더 일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을 위해 50세 이상 근로자가 현재의 일자리에서 더 오래 일하면서 제2의 인생도 설계할 수 있도록 근로시간 단축청구권 제도를 도입하고 근로시간 단축으로 생기는 일자리에 청년 등 취약 계층 신규 인력을 채용한 사업주에게 고용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 퇴직 민간경력자가 취업상담, 산업안전 자문 등 공공행정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재능나눔 사업을 추진한다.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 후 준비되지 않은 창업으로 실패할 확률이 높은 점을 고려 상권정보시스템을 통해 성공 가능성이 높은 준비된 창업도 유도한다.
상권정보시스템(sg.seda.or.kr)이란 창업을 원하는 사람에게 주변상권의 경쟁업소분석, 위치정보, 유동인구 등 총 49종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정부는 올 하반기에는 스마트폰 앱 출시로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현장조사 강화로 정보의 신뢰도를 더욱 높일 예정이다.
내년에는 과밀정보 업종 100개 확대 및 소상공인 방송 yes-TV와 연계로 베이비붐 세대의 창업 노하우, 성공사례 등을 제공하게 된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회공헌 욕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도움받는 나라에서 도움주는 나라로 ‘감사하는 대한민국’ 전파를 위한 해외봉사 활동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베이비붐 세대는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세대로 높은 경험과 지식수준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 우리나라의 경제개발 경험과 보건의료기술을 개도국 등에 전수할 수 있는 ‘World Friends Korea(WFK) 해외봉사단 사업’ 파견 인력을 확대한다.
아울러 ‘한국해외봉사교육원’ 설립 등을 통한 퇴직 해외봉사단 맞춤형 교육 실시,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무상원조 사업 단계별 퇴직 전문가 컨설팅 실시, ‘한국 국제보건의료재단’을 통한 개도국 보건의료사업의 퇴직 의료인력 활용 등 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 발표에 따라 금년 중 세부 계획 수립과 필요한 제도 개선사항을 마무리할 예정이며 과제별 추진 실적과 진행 상황을 총리실 및 관계부처 회의 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보고 및 평가할 계획이다.
또 오는 11월 대통령 소속 위원회로 격상 예정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과제를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왕의 귀환" 주식 최고의 별들이 한자리에 -독새,길상,유창범,윤종민...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곽도흔 기자 (sogoo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