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동호 기자] 중국이 위안화 기축통화 지위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작업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최근 브릭스(BRICs) 신흥 경제국들과의 무역거래와 차관 제공에서 위안화의 사용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자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개발은행이 오는 29일 뉴델리에서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남아프리카와 이와 관련한 양해각서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이 양해각서는 해외에서 주로 달러 차관을 사용하던 것을 대신해 위안화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이들 5개 국가는 상호간의 무역을 활성화 하고 무역과 상호차관 제공에 있어 달러가 아닌 위안화 사용을 활성화 할 계획이다.
모간스탠리에 따르면, 중국의 대아시아 교역에서 위안화 사용 비중은 13%가 조금 안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HSBC는 오는 2015년까지 아시아 교역에서 위안화 비중이 50%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브라질과 남아공 관계자들은 뉴델리에서 중국과의 기초 합의에 도달할 것이라는 점을 확인했으나 중국개발은행은 이번 보도와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거절했다고 FT는 전했다.
이번 양해각서 체결에는 브라질개발은행과 남아공개발은행 외에 러시아 브네슈이코님방크, 인도수출입은행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김동호 기자 (goodhk@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