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들이 서울시 박원순시장의 잇단 재정비사업 규제조치에 대해 집회를 통해 강력 항의할 예정이다.
24일 사단법인 주거환경연합(사무총장 김진수 건국대 행정대학원 교수)은 지난 23일 전국 60여개 재개발, 재건축구역의 주민 대표들과 건국대학교에서 긴급대책회의를 갖고, 서울시 등의 ‘재개발 재건축 죽이기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규탄집회를 내달 16일 금요일 오후 4시부터 서울광장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주거환경연합은 "주민들의 분담금을 줄여주는 실질적인 지원책은 없이, 뉴타운 출구전략이나 사업성을 악화시키는 정책만 쏟아지고 있다"며 ‘재개발 재건축 죽이기 정책’ 철회를 요구하는 전국적인 공동투쟁위원회 결성, 서명운동, 대규모 시위, 정책토론회 개최 등 지속적으로 투쟁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이번 집회에는 200여개 이상의 구역에서 만 여명 이상의 시민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집회에서는 주거환경연합과 전국 재개발 재건축 공동투쟁위원회(전재투)가 주최하고 200여개 이상의 재개발 재건축 구역의 주민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이날 집회는 주민대표 발언, 거리행진, 서울시청 앞 항의집회, 촛불문화제와 시민발언마당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주민 대표들은 집회 이후에도 전국적인 공동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서명운동, 항의집회, 단식투쟁, 정책토론회 등을 지속적으로 펼칠 계획이라고 연합측은 설명했다.
23일 건국대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 모인 60여개 재개발 재건축 주민 대표들은, 최근 서울시 등이 발표한 주택정책이 “사업성을 악화시켜 오히려 주민부담금을 크게 증가시킬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서울시가 진보단체의 의견만 편애하여, 뉴타운 출구전략과 재개발 재건축 억제에 치중하고 있다. 이는 사실상 ‘재개발 재건축 죽이기 정책’에 다름없다”고 의견을 모았다.
주거환경연합의 변선보 정책실장은 “최근에 뉴타운 출구전략과 함께 용적율/층수 억제 등 재개발 사업성을 악화시키는 정책만 발표되고 있으며, 세입자 보호 비용을 모두 조합원들에게 전가하는 등, 향후 조합원 부담금이 급증할 우려가 높다"며 "대다수 주민들이 개발을 원하는 사업추진구역에 대해서는 용적율/층수 상향, 도로 등 기반시설 설치비용 지원, 세입자대책 비용 정부 분담 등의 지원대책이 적극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
72% 폭락한 세즐 '텐배거' ② 지금이 바닥, 130달러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