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노경은 기자]이동통신망사업자(MNO)와 그 망을 빌려 이동통신서비스를 재판매하는 사업자(MVNO) 간의 번호이동이 보다 활성화될 전망이다.
현재 KT(CJ헬로비전 등), LGU+(몬티스타텔레콤 등)는 시행 되고 있으며, SKT(한국케이블텔레콤; KCT)의 경우는 4월 1일부터 가능해진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3사 등 망 보유 사업자(MNO)와 이들의 망을 빌려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MVNO 간의 번호이동이 오는 4월부터 전면 시행된다고 31일 밝혔다.
KT와 LG유플러스의 망을 이용하는 재판매사업자는 망사업자(KT, LG 유플러스)의 영업전산을 동일하게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번호이동 조치가 취해지기 전에도 타 사업자(MNO, MVNO)로 번호를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었다.
SK텔레콤의 MVNO는 SK텔레콤과 분리된 영업전산과 HLR을 이용하고 있어 번호이동이 어려웠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의 MVNO인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은 자체적으로 번호이동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3월 말까지 각종 연동 테스트를 받고 오는 4월 1일부터 번호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전망이다.
또한, 이동통신망사업자는 영업전산시스템은 있지만 HLR시스템이 없는 형태의 재판매사업자의 경우에도 7월 1일부터 번호이동이 시행될 수 있도록 준비중에 있다.
이동통신망사업자와 그 망을 빌려 이동통신서비스를 재판매하는 사업자간에 번호이동이 이루어지면, 이용자는 망사업자 보다 약 20%이상 저렴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판매사업자로 번호 변경 없이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동통신서비스 재판매사업과 이동통신 요금 인하 경쟁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주식투자로 돈좀 벌고 계십니까?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노경은 기자 (now2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