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강혁 기자] 현대차 노사의 2011년 임금 및 단체협상이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사상 최대 실적에 대한 요구안과 더불어 타임오프(근로시간면제제도) 등 굵직한 현안에서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하지만 노사 양측은 '7월 내 타결'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서로 한발씩 양보하자"는 분위기도 엿보인다. 7월을 넘기게되면 장기화, 혹은 최악의 파업 사태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3일 현대차와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에 따르면 12일 오후 울산공장에서 열린 11차 임단협에서는 타임오프 현안이 중점 논의됐다. 사측은 원칙을, 노측은 현대차 실정에 맞는 사측의 결단을 요구했다. 당초 의견 차이를 다시 확인한 셈이다.
그러나 일부분 진전된 분위기도 있다. 사측이 법과 원칙만을 강조하는데서 한발 물러나 '법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파장을 걱정하는 것'이라는 설명을 덧붙였기 때문이다.
타임오프에 따른 전임자 문제에 국한된 발언이기는 하지만 지난 6월8일 상견례 이후 볼 수 없었던 분위기다.
그러면서 사측은 실무를 통한 접근을 노측에 제안했다. 실무 논의에 들어가면 현안 조율에 상당한 속도가 예상된다. 지지부진한 협상 진전에 좀더 속도를 내자는 의미다.
'임단협 7월 내 타결'은 노사가 공감하는 사안이다. 조합원 입장에서도 8월 첫주로 예정된 휴가기간 안에 임단협을 끝내는 것이 좋은데다, 현 노조집행부 임기가 9월 말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새로운 집행부가 구성될 경우 사측으로서도 부담이 크다.
노사가 지난 6월30일 7차 임단협을 통해 주 3회 교섭에 합의한 것도 7월 내 타결을 염두해둔 포석이다.
사측 관계자는 "의견 차이가 크지만 이번주, 다음주까지 협상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본다"며 "각 현안별 세부 사항 조율이 실무선에서 이루어지면 빠른 합의 도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측에서도 조합원이 납득할만한 성과가 있다면 휴가 전 타결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일부 조합원들이 휴가 전 타결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고 완전한 성과를 얻어낼 것을 요구하고 있어 새로운 집행부 선거 이후로 임단협 합의가 미뤄질 가능성은 남아 있다.
한편, 노측은 타임오프에 따른 현안과 함께, ▲기본급 15만611원 인상 ▲상여금 800% 인상 ▲장기근속자 자녀 채용 시 가산점 부여 ▲정년 만60세 연장 ▲퇴직금 누진제 등을 요구한 상태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강혁 기자 (ik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