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ASEAN+3 재무장관회의 결과 최종 (영문)

기사입력 : 2010년05월02일 22:23

최종수정 : 2010년05월02일 22:23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뉴스핌=김연순 기자]

The Joint Ministerial Statement of The 13th ASEAN+3 Finance Ministers’ Meeting 2 May 2010, Tashkent, Uzbekistan

Introduction

1. We, the Finance Ministers of ASEAN, China, Japan and Korea (ASEAN+3), convened our thirteenth meeting in Tashkent, Uzbekistan, under the co-chairmanship of H.E. Vu Van Ninh, Minister of Finance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and H.E. Xie Xuren, Minister of Finan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President of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and the Deputy Secretary General of ASEAN were also present at our meeting.

2. We exchanged views on regional economic and financial development and policies. We also reviewed the progress of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ncluding the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sation (CMIM), the Asian Bond Markets Initiative (ABMI) and the ASEAN+3 Research Group. Furthermore, we explored ways to further enhance these initiatives for higher efficiency and more positive impact.

3. In particular,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at the CMIM agreement came into effect on 24 March 2010. Consensus has been reached on all the key elements of the regional macroeconomic surveillance unit of the CMIM, called the 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 (AMRO). We are also pleased to annou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redit Guarantee and Investment Facility (CGIF) as a trust fund of ADB with an initial capital of US$700 million.

Recent Economic and Financial Developments in the Region

4. Against the backdrop of an unprecedented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we are pleased that member countries have undertaken proactive policy measures including economic stimulus packages in a decisive and timely manner to sustain financial stability and restore economic growth. The East Asian economies are among the first to rebound soundly, and have become one of the key drivers of the global economy recovery.

5. However, we recognize that downside risks to the overall global recovery remain: the ample liquidity in the global market driving up asset prices and increasing inflationary pressures; sovereign debt risks precipitating renewed global risk aversion and destabilizing international capital flows into Asian economies; the slow recovery of the labor markets in developed economies hindering the recovery of global private consumption. Furthermore, the East Asian economies now face the challenge of promoting sound economic structural reform in preparation for the next phase of growth.

6. In this context, we are determined to remain vigilant on the market developments, to maintain the consistency and stability of macroeconomic policies, and to adopt appropriate exit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our respective economic fundamentals, to promote medium and long term fiscal sustainability and financial stability. We reiterated our commitment to accelerate and deepen economic structural reforms, promote domestic demand and employment, resist protectionism and further promote trade and investment. We believe that these efforts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covery and long-term prosperity of the world economy.

7. In this regard,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ssues discussed in the G20 process in pursuit of strong, sustainable and balanced growth. To this end, we welcome the chairmanship of Korea in the G20 Seoul Summit this November.

Strengthen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8. On the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 (CMIM), the CMIM agreement came into effect on 24 March 2010. (Annex 1: Key Points of CMIM Agreement) We also agreed to the adjustment in the contributions of Indonesia, Malaysia, Philippines, Singapore and Thailand for them to contribute equally to the CMIM. Having developed from the existing CMI bilateral swap network, the CMIM is in nature a multilateral currency swap arrangement which covers all ASEAN+3 members. With the core objectives (i) to address balance of payment and short-term liquidity difficulties in the region, and (ii) to supplement the existing international financial arrangements, the CMIM will further enhance regional capacity to safeguard against downside risks and challenges in the global economy. We instructed our deputies to further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MIM.

9. We have reached agreement on all the key elements of the AMRO. The AMRO will be located in Singapore to monitor and analyze regional economies, which contributes to the early detection of risks, swift implementation of remedial actions, and effective decision-making of the CMIM. We instructed that technical details necessary for actual establishment of AMRO be worked out for the start of the AMRO operations early next year. To further enhance surveillance, we also agreed to improve the Economic Review and Policy Dialogue (ERPD) process.

10. On the Asian Bond Markets Initiative (ABMI), we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ABMI in promoting development of local currency-denominated bond markets and enhancing macroeconomic and financial stability. We appreciated the fact that in the midst of the recent economic crisis, many countries in the region successfully issued government bonds to finance their economic stimulus packages. We also recognize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obilizing regional savings for regional investments, in order to sustain sound economic growth for ASEAN+3 countries. In this regard, we instructed our Deputies to explore ways to further promote cross-border bond transactions in the reg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ocal currency-denominated bond markets.

11.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e establishment of the CGIF as a trust fund of ADB with an initial capital of US$700 million. The main objective of the CGIF is to support the issuance of corporate bonds in our region, and thu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bond markets. We along with ADB will soon subscribe for the financial contribution and finalize necessary technical details including the Operational Policies and the business plan for the CGIF to start operations before the end of 2010.

12. We took note of the Group of Experts’ findings and suggestions on facilitating cross-border bond transactions and settlement, and welcomed the establishment of the technical working group on Regional Settlement Intermediary (RSI) to further evaluate the policy recommendations. We endorsed the establishment of ASEAN+3 Bond Market Forum (ABMF) as a common platform to foster standardization of market practices and harmonization of regulations relating to cross-border bond transactions in the region. We expect tangible results from the forum in a timely manner so that the process evolves into a continuous exercise. We also welcomed the pilot project on cross-border infrastructure bond issuance by the Lao government, which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ailand by the end of this year.

13. On further enhancing the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we recognized that in face of new challenges posed by the need to preserve global financial stability and promot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we agreed to bring the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to a higher and more strategic level. In this respect, we have tasked our deputies to conduct an immediate assessment of our previous achievements in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and suggest the strategic direction of ASEAN+3 financial cooperation. We have also agreed to set up a “Taskforce on the Future Priorities of ASEAN+3 Financial Cooperation,” which will provide important support to our deputies on this endeavor.

14. On the ASEAN+3 Research Group, we acknowledged the efforts of the Research Group on studies regarding the local currencies-denominated trade settlement and the liquidity risk management in the region. We endorsed three topics for the 2010/2011 Research Group activities as follows: (1) Possible Use of Regional Monetary Units - identification of issues for practical use; (2) Lessons from Asia’s Experiences with Sudden Capital Flows; and (3) Fiscal and Financial Impacts of the Climate Change and Policy Challenges in East Asia.

Conclusion
15. We expressed our appreciation to the government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or their excellent arrangements as co-chairs of the ASEAN+3 Finance Ministers’ Process in 2010. We also thanke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Uzbekistan for its warm hospitality.

16. We agreed to meet in Vietnam in 2011. Indonesia and Japan will be the co-chairs of the ASEAN+3 Finance Ministers’ Process in 2011.


Key Points of CMI Multilateralization Agreement

Basic Objective

1. The CMIM Agreement contains 24 Articles and 9 schedules. The basic objectives of this CMIM Agreement are (i) to address short-term liquidity difficulties in the region and (ii) to supplement the existing international financial arrangements.

CMIM Contract Parties and Effective Date

2. CMIM Contract parties comprise the 26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 Governors of ASEAN+3 and the Monetary Authority of Hong Kong, China. This CMIM Agreement became effective on 24 March 2010.

Total Size and Contribution (Attachment)

3. The total size of CMIM is USD 120,000,000,000 (one hundred twenty billion). Individual country’s contribution, borrowing multiples and voting power are as agreed in the AFMM+3 in Bali in May 2009 and as amended in the AFMM+3 in Tashkent, Uzbekistan on 2 May 2010. The contribution to CMIM is agreed to be made through the exchange of Commitment Letter that commits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within the amount of contribution.

Drawing

4. The Central Bank of ASEAN+3 countries as well as Monetary Authority of Hong Kong, China are to swap their local currencies with the US dollar for an amount up to their contribution multiplied by their respective purchasing multiples.

Maturity

5. Each drawing of liquidity support in the form of bilateral currency swap shall mature basically 90 days after the date of drawing, and can be rolled over for 7 times at the maximum (approximately 2 years).

Coordinating Countries

6. Two countries will be appointed to coordinate the swap activation process when a request for drawing is made. Two Coordinating Countries shall be the two co-chairs of the ASEAN+3 Finance Minister Process, one Coordinating Country from ASEAN member countries and the other from China, Japan and Korea.

Decision-making

7. Fundamental issues (total size of CMIM, contribution of each CMIM party etc) for the CMIM would be determined by a consensus approval at Ministerial Level Decision Making Body, which consists of ASEAN+3 Finance Ministers. Executive level issues (initial execution of drawing, renewal of drawing, events of default) would be determined by 2/3 majority at Executive Level Decision Making Body (ELDMB), which comprises the deputy-level representatives of ASEAN+3 Finance Ministries and Central Banks and Monetary Authority of Hong Kong, China.

Conditions Precedent and Covenants

8. A CMIM party which requests for drawing has to meet conditions before the voting for a swap request; such as completion of review of the economic and financial situation and no events of default. As well, each CMIM party is requested to comply with covenants such as submission of the periodic surveillance re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ASEAN+3 Economic Review and Policy Dialogue.

Escape

9. In principle, each of the CMIM parties may only escape from contributing to a swap request by obtaining an approval of Executive Level Decision Making Body. In exceptional cases such as an extraordinary event or instance of force majours and domestic legal limitations, escape is possible without obtaining ELDMB approval.

Periodic Review of CMIM Arrangement

10. The CMIM parties shall jointly carry out a basic review of the CMIM Arrangement and the key terms and conditions of the CMIM every 5 years. Also, ad-hoc reviews may be conducted when necessary.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 제2회 광복군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1940년 9월 17일 중국 중경 가릉호텔에서 성대한 행사가 열렸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광복군 창설식이었다. 미국 한인 동포들이 보내온 돈 4만원으로 조직한 군대였다. 지금 돈으로 환산하면 20억 원 정도 된다. 총사령관 이청천 장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 제1지대장 이준식, 제2지대장 고운기, 제3지대장 김학규, 제5지대장에 나월환을 임명했다. 지대장은 지금의 사단장에 해당한다. 모두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를 비롯하여 남북 만주에서 전개된 항일무장투쟁에 직접 참여하여 활동한 독립군 출신이었다. 한국광복군 훈련반 제1기 졸업사진. [사진= 독립기념관] 임시정부 주석 김구는 포고문을 통해 "국내외 동포들에게 알립니다. 1940년 9월 17일부로 대한민국 광복군을 창설하였습니다. 광복군은 1907년 8월 1일 일제가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한 날이 바로 광복군 창설일임을 선언합니다. 광복군은 구 한국군의 후신으로 33년간에 걸친 의병과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을 계승한 전통 무장 조직입니다"라고 했다. 대한제국 국군-의병-독립군의 군맥(軍脈)과 군혼(軍魂)을 분명하게 잇고 있음을 천명한 것이다. 부대 편성은 소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사단 6단으로 편성하였다. 총 3개 사단을 조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인원이 적은 상황에서 우선 지대를 만들고, 각 지대를 구대와 분대로 연계한 전투부대를 구성했다. 임시정부에서 1940년 9월 19일 중국 국민당 정부에 통보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직원 명단'에 의하면, 부대 규모가 총사령부와 4개 단위부대, 여기에다 조선혁명군 부대까지 포함하여 5000여 명이었다. 임시정부에서는 1941년 12월 연합국의 일원으로 일본에 선전포고했다. 1942년에는 미국 측에 "미국이 제주도를 해방 시켜 주면, 중경에 있는 임시정부를 제주도로 옮긴 후, 광복군이 미군과 함께 한반도 상륙작전을 전개하겠다."라고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실제로 미국 OSS 부대(지금의 CIA)와 1945년 4월부터 8월까지 강도 높은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했다. 주요 훈련은 3개월 기간에 고공낙하, 암살법(권총에 특수장치를 하여 소리 없이 암살하는 방법), 통신(암호의 작성 및 해독법, 무전기 조작 및 수리), 교란 행동, 정보수집, 폭파 등 이었다. 일과는 07:00∼12:00 오전 훈련, 13:00∼18:00 오후 훈련, 19:00∼22:00 야간 훈련이었다. 주요 임무는 대한민국으로 낙하산과 잠수함으로 침투하여 미 공군 공습에 필요한 지형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일본군 군사시설 탐지 및 파괴 지하 유격대를 조직하여 연합군 상륙작전 시 제2선에서 연결하는 작전이었다. 마침내 1945년 8월 7일 모든 훈련을 마치고 국내진공작전 출정식을 개최했다. 개시일은 8월 10일이었다. 출정식 때 장준하 경기도 공작 반장은 "나는 조국광복을 위해 죽음을 선택했습니다. 내가 나의 죽음을 지불하면, 내 능력껏 그 대가가 조국을 위해서 결제될 것입니다. 나의 각오는 한 장의 정수표입니다. 발생인은 장준하, 결제인은 조국입니다"라는 유서까지 작성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09-08 08:00
사진
'포스트 이시바' 누구?...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자민당 총재직 사임을 공식화하면서, 일본 정국의 관심은 차기 자민당 총재 선거로 쏠리고 있다. 집권당 총재가 곧 총리직을 맡는 일본 정치 구조상 이번 총재 선거는 사실상 다음 총리를 뽑는 절차다. 자민당은 조만간 새로운 총재 선거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선거에서는 지난 2024년 9월 총재 선거에서 이시바 총리와 경합했던 주요 인사들이 다시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정국 운영이 소수 여당이라는 제약 속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차기 총재가 야당과 어떻게 연대할지, 어떤 연립 구도를 짤지가 최대 쟁점으로 꼽힌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고 있는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농림수산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고이즈미·다카이치 선두권 현재 여론조사에서는 고이즈미 농림수산상과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이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지난달 29~31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차기 총리에 적합한 인물로 다카이치가 23%, 고이즈미가 22%를 기록했다. 나란히 1, 2위다. 자민당 지지층으로 한정하면 고이즈미가 32%로, 다카이치(17%)를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카이치는 2024년 총재 선거에서 1차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에게 역전패했다. 고이즈미 역시 의원 표에서 선두에 올랐지만 당원 표에서 밀리며 결선에 오르지 못했다. 두 사람 모두 당내 기반과 대중적 인지도를 겸비해 차기 선거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주자들이다. 고이즈미 농림수산상은 1981년생(44세)으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의 차남이다. 2009년 중의원 첫 당선 이후 줄곧 '포스트 아베', '차세대 리더'로 주목받았다. 환경상, 농림수산상을 거쳤으며 개혁 성향과 젊은 이미지로 지지층을 넓혔다. 2024년 총선에서 당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으나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이후 농림수산상으로 복귀해 쌀 유통 개혁 등 농정 개혁에 매진했다. 대중적 인지도와 '고이즈미 브랜드'라는 정치 자산이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상은 1961년생(64세)으로 보수 강경파로 분류되는 여성 정치인이다. 2021년 총재 선거에 첫 도전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전폭적 지원을 받으며 3위를 기록했다. 2024년 총재 선거 1차 투표에서 최다 득표(의원 72표, 당원 109표)를 얻었으나 결선에서 이시바 총리에게 역전 당했다. 유일한 여성 후보로서 '보수의 아이콘' 이미지를 갖고 있으며, 아베 전 총리와 가까웠던 의원 그룹이 주된 지지 기반이다. 이시바 정권에서 당직 제안을 거절하며 독자 노선을 유지해 왔다. '포스트 이시바' 후보로 꼽히는 다카이치 사나에 전 일본 경제안보담당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야시·모테기 등 잠룡도 주목 고이즈미와 다카이치 두 선두 주자 외에 잠룡들의 행보도 주목된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옛 기시다파 일부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시바 정권의 2인자로서 존재감을 키워왔다. 모테기 도시미쓰 전 간사장은 당내 경험과 풍부한 인맥을 강점으로 삼고, 아소 다로 전 부총리와 교류를 통해 지지 기반을 다지고 있다.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은 5선 의원으로, 동기 의원들과 옛 니카이파의 지원을 받으며 출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 총재 선거 이후에도 정국 '안갯속' 자민당 총재 선거는 국회의원 표와 당원·당우 표를 합산하는 방식이 원칙이지만, 긴급 시에는 국회의원과 지방 지부 대표만 투표하는 '양원 의원 총회'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의원 표의 비중이 커져 파벌 역학이 중요해진다. 차기 총재가 선출되더라도 곧바로 정권 안정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일본 헌법상 총리는 국회에서 지명되는데, 자민·공명 양당은 현재 중의원과 참의원 모두에서 과반을 잃은 상태다. 따라서 야당이 단일 후보를 세워 결집할 경우, 자민당 총재가 총리로 지명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자민당 총재가 총리에 오르더라도, 예산안·세제 개혁 법안 등 국정 운영은 야당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차기 총재는 곧바로 '연립 확대'나 '정책 연대'를 추진할 수밖에 없고, 총재 선거 과정에서도 어떤 야당과 손을 잡을지가 핵심 화두가 된다. 결국 이번 자민당 총재 선거는 단순히 차기 지도자를 뽑는 절차를 넘어, 일본 정치가 다당제 속에서 어떤 연립 구도를 구축할지 시험대가 되는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goldendog@newspim.com 2025-09-08 09:26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