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삼성인사] 삼성그룹 전 계열사 승진임원 명단

기사입력 : 2009년12월16일 16:38

최종수정 : 2009년12월16일 16:38

[뉴스핌=신동진 기자] 삼성그룹은 16일 380명에 달하는 임원승진인사를 실시했다.

- 다음은 승진자 명단 전문.

三 星 電 子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김봉영 김재권 김철교 김태한 남성우
이선종 이재용 이종석 홍창완

<전무>
강경훈 고동진 김명수 김상현 김석필 김지승 데이빗스틸
민영성 박경정 박명동 박종서 박종환 서치원 엄영훈
옥경석 원기찬 윤승철 이선우 이영우 이영호 전광호
전성호 전우헌 정민형 지완구 최승하 최우수 팀백스터
한명섭 허상훈

<專 務>
고승환 고주현 고홍선 곽진환 구자익 김경진 김교익
김명건 김범동 김병욱 김사필 김성일 김성진 김영선
김영욱 김용봉 김재우 김중호 김진성 김진해 김태호
김태훈 김학태 김홍경 김효규 류영수 류원보 류현철
목장균 문양춘 박봉주 박영선 박인철 박진호 박현순
박현종 백지호 변성호 부성종 성낙환 성일경 송기찬
신동훈 신재호 심의경 안재형 엄상재 엄성호 엄태훈
오상훈(영상) 오상훈(북미) 유석영 유승규 윤성혁
이강협 이기연 이상규 이영국 이재덕 이재엽 이재철
이진하 이철영 이평우 인현진 임호순 장수철 전세원
정성미 존레비 최방섭 최원진 최정준 최주호 최진규
최 훈 필립바틀레 하주호 한재영 허정호 홍규식
홍두희 홍원학 홍현칠 황호연

[硏究任員 昇進者]

<副社長級>
전영현

<專務級>
박노열 박동수 서동일 정은승 조승환 최정혁

<常務級>
강상석 강원석 곽동원 김건수 김광석 김민구 김종일
김진기 김학상 나일구 남석우 노정호 두석광 박종호
변영기 서상범 심재성 안윤순 이남노 이병국 이성수
이승준 이재형 이정배 장성진 전병환 정기태 최승범
최재영 추신호 한석주 허득만 허문기 홍준성

[專門任員 昇進者]

<副社長待遇>
김수목 성열우

<專務待遇>
신명훈 이수형 장동훈

<常務待遇>
김병주 김석근 손헌태 송원득 이동근 이흥모 조은정

三星디지털이미징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윤병두

[硏究任員 昇進者]

<常務級>
김성훈

三 星 SDI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이진건

<專 務>
윤여창 주재환

<常 務>
김승철 박용찬 정지관

[硏究任員 昇進者]

<專務級>
장동식

<常務級>
김근배 김진복

三 星 電 機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이종혁 최치준

<專 務>
김영욱 임우재 홍사관

<常 務>
가철순 류승모 류헌 박봉수 이정수 이종상

[硏究任員 昇進者]

<常務級>
남창갑 박흥수 임영환

三星코닝정밀유리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오세준

<專 務>
김재현 박창호

<常 務>
강중근 금정철 정진평

[專門任員 昇進者]

<常務待遇>
김광래

三 星 SDS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박광영

<常 務>
문정수 이병학

三星모바일디스플레이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정배현

[硏究任員 昇進者]

<專務級>
김성철

<常務級>
김병희 김혜동 어기한


三 星 LED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김동림 유재형

[硏究任員 昇進者]

<專務級>
이용희

<常務級>
김용천

三 星 重工業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박주원 이현용

<專 務>
원윤상 윤영호

<常 務>
김준철 민경태 박효달 이무녕 전창렬 정은수

[硏究任員 昇進者]

<專務級>
김재훈

[專門任員 昇進者]

<常務待遇>
이용우

三 星 테크윈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하윤호

<專 務>
도인록 이정훈 조돈엽

<常 務>

김용준 이영찬 최철영 홍운표

三 星 토 탈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안동열 정원범

[硏究任員 昇進者]

<常務級>

장호식

三星石油化學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김승수

三星精密化學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이길환

<常 務>
김일환 김희득 백진오 서태호

三星BP化學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김영태

<常 務>
이태의

三 星 生 命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곽상용 한종윤

<專 務>
김도겸 박현정 임영빈

<常 務>
김대환 김도근 남대희 박용시 복의순 유호석 이승철
정상철

[專門任員 昇進者]

<專務待遇>
이상철

三 星 火 災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권대영 김석태 이덕재 이명호 이종영 장인수 조희종

三 星 카 드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최종수 허봉호

<常 務>
김상기 김석근 김인철 박상만 양문호 최호선

[專門任員 昇進者]

<專務待遇>
김대열

三 星 證 券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반용음

<常 務>
강윤영 김윤식 박인성 정상교 정영완

三星投信運用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한규선

<常 務>
전영하

三星벤처投資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강명구 김민수

三星物産(商事)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김신 김창수

<專 務>
김청환 유홍렬

<常 務>
김상윤 신호준 정민영 최준석 한인호 황종국

三星物産(建設)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박병근 이경택

<常 務>
김정원 서종해 이기학 전언중 최영우 허철호 황대진

[專門任員 昇進者]

<專務待遇>
김영호

<常務待遇>
나재심 이영일

三星엔지니어링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손병복

<專 務>
강성영 공홍표 백재봉 안대영 최현대

<常 務>
김형수 박진섭 오동진 유지수 이진규 이천구 조범신
지인호 최상 최재훈

第 一 毛 織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김동하 이서현 이재균

<常 務>
문정기 박광식 배재현 신권식 신성재 이승욱 이용희

[硏究任員 昇進者]

<專務級>
장두원

三星에버랜드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김운원 조병학

<常 務>
박준성 박충배 유인종 이현종 정병석 하진열

호 텔 新 羅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차정호

<常 務>
박상오

第 一 企 劃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임대기

<常 務>
김성종 문재한 오승제 윤석준

[專門任員 昇進者]

<副社長待遇>
최인아

에 스 원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김능수

<常 務>
김기홍 김만순 김종국 조부관 차영균

三星라이온즈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김재하

三星經濟硏究所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이범일

<專 務>
이건혁

<常 務>
김기원

[硏究任員 昇進者]

<常務級>
최인철 황인성

三星人力開發院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성인희

<常 務>
송근녕

日 本 本 社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이광성

中 國 本 社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김흥식

<常 務>
송만식 윤성희

[專門任員 昇進者]

<專務待遇>
김윤근

三 星 醫療院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副社長>
권기창

<專 務>
심재명

江北三星病院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專 務>
신종도

馬山三星病院 任員人事 內容

[經營任員 昇進者]

<常 務>
황선태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화성 리튬전지공장 화재 사망 22명·8명 부상...연락두절 1명 수색 중 [화성=뉴스핌] 박승봉 기자 = 24일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로 22명이 숨졌고 8명이 부상을 당했다. 하지만 아직 1명이 연락되지 않아 수색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4일 오전 10시 31분경 경기 화성시 서신면에 있는 일차전지 제조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경기도소방재난본부] 소방당국 등은 이날 오후 6시24분 현장 브리핑을 통해 현재 사망자 22명, 중상자 2명, 경상자 6명 등 총 3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 회사 관계자가 1명이 연락되지 않아 내부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사망자 22명 중 한국인이 2명, 외국인 근로자가 20명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유해화학물질(리튬) 취급 공장에서 화재가 났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다수의 인명피해와 연소 확대를 우려해 이날 오전 10시 51분 선제적으로 대응 2단계를 발령했다. 진화작업에는 인력 201명과 지휘차 등 장비 71대를 투입했다. 화재가 발생한 해당 공장은 3층짜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11개 동이 있으며, 연면적은 5530㎡이다. 김진영 화성소방서 재난예방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최초 사망자 1명을 포함해 21명의 시신을 수습해 총 2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며 "대부분의 시신은 아리셀 작업동인 3동 2층에서 대부분 발견됐으며, 회사 관계자가 1명이 연락되지 않는다고 말해 건물 내부에 대한 수색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재발생 소식을 접한 후 즉각 현장으로 출발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낮 12시 35분경 화재 현장에 도착해 진압 상황을 살폈다. 김 지사는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조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최소화해 달라"면서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활동 중인 소방대원들의 안전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에도 사고 수습과 사후 관리를 위한 준비를 지시했다. 1141world@newspim.com 2024-06-24 18:53
사진
의협, '무기한 전면 휴진' 에둘러 철회 [서울=뉴스핌] 노연경 조준경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27일 진행 가능성을 예고한 의료계 무기한 전면 휴진을 사실상 철회했다. 의협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27일부터 연세대학교 의료원 소속 교수님들의 휴진이 시작된다. 결정을 지지하고, 존중한다"면서, "모든 직역의 의사들이 각자의 준비를 마치는 대로 휴진 투쟁에 동참해나갈 것이다. 이후의 투쟁은 29일 올특위 2차 회의의 결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안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대한의사협회가 집단휴진에 돌입한 1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에서 열린 의료농단 저지 전국 의사 총궐기대회에서 임현택 의협 회장이 대회사를 하고 있다. 2024.06.18 mironj19@newspim.com 사실상 27일 의료계 전면 무기한 휴진을 에둘러서 철회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임현택 의협회장이 지난 18일 진행한 의료계 총궐기대회 폐회사에서 무기한 휴진을 처음 언급했다. 임 회장은 당시 "의사들의 정당한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다른 의료계 주요 인사들도 전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내비쳤다. 24일 뉴스핌이 시도의사회를 통해 확인한 결과 주요 시도의사회 회장들은 의협의 무기한 휴진에 동참하지 않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임 회장의 무기한 휴진 언급 직후부터 의료계 내부에선 항의 목소리가 나왔다. 협의되지 않은 내용을 임 회장이 공개적으로 말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각 지역 개원가를 대표하는 시도의회장들이 "전혀 합의되지 않은 내용"이라며 "개원의의 무기한 휴진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임 회장 발언 다음날인 19일 입장문을 통해 "저를 포함한 16개 광역시도 회장들도 임현택 의협회장이 여의도 집회에서 무기한 휴진을 발표할 때 처음 들었다"며 "회원들이 황당해하고 우려하는 건 임 회장의 회무에서 의사 결정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적 적절성이 전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공개 비판하기도 했다. 이날까지도 각 시도의사회장들의 절차를 따르지 않은 무기한 휴진 반대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은 "무기한 휴진은 못하는 게 기정사실"이라며 "만약 사전에 협의가 됐다면 따랐겠지만, 아직까지도 협의된 내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국시도의사회장단협의회 차원에서도 무기한 휴진 진행 관련 우려를 전달했다며 "(우려를 전달한 이후) 추가 논의된 게 없으니 진행해선 안 된다. 진행해도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김택우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회장은 지난 21일 임 회장을 만나 16개 시도의사회 회장들의 우려를 전달했다고 밝히며 "무기한 휴진은 철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의료계 내부의 임 회장 비판에 대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인 의견을 표출할 수 있듯이 각 시도의사회장들이 자기 의견을 얼마든지 말할 수 있는 것"이라며 "협회장의 독단 행보에 대한 불만 의견이 나온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임 회장이 주도한 첫 파업도 이전에 의협이 주도한 휴진보다 저조한 참여율을 보였다. 18일 당일 병원 문을 닫은 개원의는 14.9%에 그쳤다. 이는 2020년 집단 휴진 첫날 휴진율(32.6%)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김 회장은 "아마 의협 집행부에서 오늘 내일 중으로 27일 전면 무기한 휴진을 에둘러서 철회하는 성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서울대학교병원이 지난 17일부터 돌입했던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06.24 choipix16@newspim.com 한편 당초 지난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개시했던 서울대학교 병원은 이날부로 다시 정상 진료를 시작했다.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는 지난 21일 교수진 투표를 거쳐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전체 투표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 중단을 선택했고,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강경 의견은 20.3%(192명)에 불과해 대학병원 봉직의들도 의료계 무기한 휴진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여론이 다수이다. 의협은 지속적으로 정부를 향해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을 수정·보완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을 즉각 소급 취소하고 사법처리 위협 중단 3대 요구안을 대화 조건으로 제시 중이다. 그러나 지난 22일 첫 회의를 개최한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형식, 의제에 구애 없이 대화가 가능하다는 20일 정부 입장을 환영하며, 2025년 정원을 포함한 의정협의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며 "다음주(26일)로 예정된 국회 청문회 등 논의과정과 정부의 태도변화를 지켜보겠다"고 다소 전향적인 자세를 내보였다. calebcao@newspim.com 2024-06-24 15:3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