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도널드 콘 '테일러 준칙' 연설 원문(영문)

기사입력 : 2007년10월13일 12:39

최종수정 : 2007년10월13일 12:3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Vice Chairman Donald L. Kohn
At the Conference on John Taylor's Contributions to Monetary Theory and Policy, Federal Reserve Bank of Dallas, Dallas, Texas
October 12, 2007

John Taylor Rules

The Role of Simple Rules in Monetary Policymaking
It is a pleasure and an honor to speak at this conference honoring John Taylor and his contributions to monetary theory and policy. As you have already heard from Chairman Bernanke and the other speakers today, John has made a number of seminal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macroeconomics. What has distinguished John's work, in my view, is that he takes policymaking in the real world seriously.1

Taking policymaking seriously involves understanding the constraints imposed on our decisions by partial information and incomplete knowledge of economic relationships. It also implies the use of empirically valid models that acknowledge the efforts of households and businesses to anticipate the future and maximize their welfare over time.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macroeconomics was focused mainly on real business cycles and endogenous growth theory. During this period, John was one of a very small number of academic economists who continued to pursue research aimed at informing the conduct of monetary policy. John's Carnegie Rochester conference paper published in 1993 is an excellent example of this research.

Importantly, John's legacy to the Federal Reserve has not been confined to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monetary policy. In addition, he has turned out legions of students who have followed in his footsteps in their interest in policy. Many of them have spent time in the Federal Reserve, producing a rich array of contributions to policymaking and research.

John and I have spent countless hours discussing how the Federal Reserve arrives at decisions about monetary policy and how it should arrive at decisions. Those conversations began in earnest in the late 1980s, when John was on the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and they have continued to the present day. They have occurred not only in offices and classrooms in Washington and Stanford and at numerous conferences around the globe, but also around dinner tables in Washington and Palo Alto and on hiking trails from Vermont to Wyoming. Those conversations made me a better policy adviser and then policymaker, and they have had the added and very special bonus of allowing Gail and me to count John and Allyn among our friends. I can't think of a better way to honor John's contributions than to continue that discussion around the dinner tables of Dallas by reflecting on the role of simple rules in informing policymaking.

Three Benefits of Simple Rules in Monetary Policymaking
In his Carnegie Rochester conference paper, John considered a simple policy rule under which the nominal federal funds rate is adjusted in response to both the gap between real and trend gross domestic product (GDP) and the gap between the inflation rate and policymakers' target. Based on data for the previous few years, John calibrated the long-run target for inflation and the two parameters that determine the responsiveness of the federal funds rate to the two gaps. The equilibrium real interest rate was based on a longer history of actual real interest rates. In the handout, Figure 1A depicts the actual nominal funds rate and the Taylor rule prescriptions between 1987 and 1992, as presented in John's paper. Despite its simplicity, this policy rule fits the data remarkably well; it described a period of generally successful policymaking; and it adhered to the Taylor principle of adjusting the nominal rate more than one-for-one with changes in the inflation rate, so it provided a plausible template for future success. It is no wonder that John has been such a dedicated salesman and that his efforts have been so well received in academia and policy councils.



Following John's seminal contribution, many other economists have engaged in research on similar policy rules and, together with John, have identified several benefits of such rules in conducting monetary policy. I will elaborate on three of them.

The first benefit of looking at a simple rule like John's is that it can provide a useful benchmark for policymakers. It relates policy setting systematically to the state of the economy in a way that, over time, will produce reasonably good outcomes on average. Importantly, the emphasis is on levels and gaps, not growth rates, as inputs to the policy process. This emphasis can be a problem when a level, say of potential GDP, is in question, but in many respects it is also a virtue. For the United States, the two gaps relate directly to the legislative mandate of the Federal Reserve to achieve stable prices and maximum employment. Moreover, those two gaps fit directly into most modern macroeconomic theories, which tell us something about their relationship and how that relationship can be affected by the type of shock hitting the economy.

Model uncertainties make the simplicity of the rule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policymaker because research suggests that the prescriptions from simple rules can be more robust than optimal-control policies. Optimal-control policies can depend critically on the exact specification of the model, and clearly there is no consensus about which model best describes the U.S. economy.

Federal Reserve policymakers are shown several versions of Taylor rules in the material we receive before each meeting of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I always look at those charts and tables and ask myself whether I am comfortable with any significant deviation of my policy prescription from those of the rules.

A second benefit of simple rules is that they help financial market participants form a baseline for expectations regarding the future course of monetary policy. Even if the actual policy process is far more sophisticated than any simple rule could completely describe, the rule often provides a reasonably good approximation of what policymakers decide and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policy actions. Indeed, many financial market participants have used the Taylor rule to understand U.S. monetary policy over the past fifteen years. Investors and other market participants are going to form expectations about policy and act on those expectations. The more accurate and informed those expectations are, the more likely are their actions to reinforce the intended effects of policy.

A third benefit is that simple rules can be helpful in the central bank's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public. Such an understanding is important for the transmission mechanism of monetary policy. Giving the public some sense of how the central bank sees the output and inflation gaps and how they are expected to evolve will help it understand the central bank's objectives and how policymakers are likely to respond to surprises in incoming data.

Four Limitations of Simple Rules
Simple rules have limitations, of course, as benchmarks for monetary policy. To quote from John's Carnegie Rochester paper, "a policy rule can be implemented and operated more informally by policymakers who recognize the general instrument responses that underlie the policy rule, but who also recognize that operating the rule requires judgment and cannot be done by computer" (p. 198). In that context, four limitations of simple rules are important.

The first limitation is that the use of a Taylor rule requires that a single measure of inflation be used to obtain the rule prescriptions. The price index used by John in the Carnegie Rochester paper was the GDP price deflator. Other researchers have used the inflation measure based on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Over the past fifteen years, the Federal Reserve has emphasized the inflation rate as measured by changes in the price index for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 Many researchers have also explored the use of core price indexes, which exclude the volatile food and energy components, as better predictors of future inflation or as more robust indicators of the sticky prices that some theories say should be the targets of policy. To be sure, over long periods, most of these measures behave very similarly. But policy is made in the here and now, and the various indexes can diverge significantly for long stretches, potentially providing different signals for the appropriate course of monetary policy.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Taylor rule and other related rules requires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equilibrium real interest rate and the level of potential output; neither of them are observable variables, and both must be inferred from other information. John used 2 percent as a rough guess as to the real federal funds rate that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economy producing at its potential. But the equilibrium level of the real federal funds rate probably varies over time because it depends on factors such as the growth rate of potential output, fiscal policy, and the willingness of savers to supply credit to households and businesses. Inaccurate estimates of this rate will mislead policymakers about the policy stance required to achieve full employment. In a similar vein, real-time estimates of potential output can be derived in a number of ways and--as shown by Orphanides (2003) and others--they are subject to large and persistent errors. If policymakers inadvertently rely on flawed estimates, they will encounter persistent problems in achieving their inflation objective.

The third limitation of using simple rules for monetary policymaking stems from the fact that, by their nature, simple rules involve only a small number of variables. However, the state of a complex economy like that of the United States cannot be fully captured by any small set of summary statistics. Moreover, policy is best made looking forward, that is, on the basis of projections of how inflation and economic activity may evolve. Lagged or current values of the small set of variables used in a given simple rule may not provide a sufficient guide to future economic developments, especially in periods of rapid or unusual change. For these reasons, central banks monitor a wide range of indicators in conducting monetary policy. In his Carnegie Rochester paper, John mentioned the stock market crash of October 1987 as an example of how other variables can and should influence the course of monetary policy in some situations.

The final limitation I want to highlight is that simple policy rules may not capture risk-management considerations. In some circumstances, the risks to the outlook or the perceived costs of missing an objective on a particular side may be sufficiently skewed that policymakers will choose to respond by adjusting policy in a way that would not be justified solely by the current state of the economy or the modal outlook for output and inflation gaps.

Policy Rules around 2003
Some of the ambiguities and potential pitfalls in the use of simple policy rules are highlighted by considering their prescriptions for a period earlier in this decade. Turning to Figure 1B, the solid line indicates the actual federal funds rate between the first quarter of 1993 and the second quarter of 2007, and the dashed line shows the prescriptions of the Taylor rule using the same methodology that John used in his Jackson Hole remarks this year.2 For the earlier part of the sample, the prescription from this simple rule tracks the actual funds rate relatively well. As John pointed out, a notable deviation happened beginning in 2002, and I would like to discuss that period to illustrate the limitations I noted earlier.



Inflation Measure
The first limitation is related to the measure used for the inflation variable included in the rules. The rule prescriptions depicted by the dashed line in Figure 1B are based on the headline CPI. But as you know, the FOMC often looks at core inflation, stripping out the effects of energy and food prices, as a better indicator of future price behavior. The dotted line represents the rule prescriptions based on the chain-weighted core CPI, which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has produced since 2000. Using this measure lowers the prescribed funds rate by about 2 percentage points during 2003, bringing the rule prescriptions much closer to the actual path of policy. The reason for the improvement is evident from Figure 2A,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out: Even though the headline and core CPI measures were broadly similar in the mid- to late 1990s, these measures diverged substantially between 2003 and 2005.


Potential Output
The second limitation relates to the challenge of judging the level of potential output in real time. To illustrate this point, Figure 2B plots three measures of the output gap. The solid line is the real-time estimate by the Congressional Budget Office (CBO) that was used in the Taylor rule prescriptions in Figure 1B, while the dashed line depicts the CBO's ex post estimate of the output gap as of the third quarter of 2007. Back in 2003, the CBO estimated that output at that time was below potential by only 1 percent. With the benefit of four more years of data, the CBO currently estimates that the output gap for the first half of 2003 was considerably wider--about 3 percent. In addition, the dotted line represents an alternative measure of resource utilization derived from the unemployment rate and an estimate of 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NAIRU) taken from the Board staff's FRB/US model. In fact, the unemployment rate was rising through the middle of 2003, so the FOMC had every reason to believe that the output gap was widening at that time. Using this unemployment-based measure rather than the real-time CBO measure would reduce the prescriptions of simple policy rules by roughly 1/2 percentage point in early 2003.


Other Variables
The third limitation in my list was that the small set of economic measures included in simple rules may not fully reflect the state of the economy. Around 2003, financial market conditions may not have been adequately summarized by the assumed 2 percent equilibrium federal funds rate. Accounting scandals caused economic agents to lose confidence in published financial statements and in bond ratings. The result was higher uncertainty about the financial health of firms, and credit spreads widened substantially. Figure 2C shows that risk spreads on corporate bonds were elevated in this period. Other things equal, such spreads would reduce the federal funds rate needed to achieve full employment, perhaps explaining a portion of the gap between the actual federal funds rate and the outcome from the policy rule during this period.


Risk Management
The last item on my list of limitations was that simple rules do not take account of risk-management considerations. As shown in Figure 2A, the core CPI inflation rate for 2003 was falling toward 1 percent. The real-time reading of the core PCE inflation rate (not shown) was on average even lower than the comparable CPI figure. Given these rates, the possibility of deflation could not be ruled out. We had carefully analyzed the Japanese experience of the early 1990s; our conclusion was that aggressively moving against the risk of deflation would pay dividends by reducing the odds on needing to deal with the zero bound on nominal interest rates should the economy be hit with another negative shock. This factor is not captured by simple policy rules.

A Final Note
I have offered this analysis in the spirit of so many of the discussions I have had with John. His framework has been enormously important to policymaking in the Federal Reserve, and it has yielded many benefits. Nevertheless, it'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some significant practical limitations also are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such rules in real time. In other words, it's not so simple to use simple rules!

References
Orphanides, Athanasios (2003). "The Quest for Prosperity without Inflation," Leaving the Board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 50 (April), pp. 633-63.

Poole, William (2007). "Understanding the Fed (210 KB PDF),"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eview, vol. 89 (January/February), pp. 3-14, http://research.stlouisfed.org/publications/review/past/2007.

Taylor, John B. (1993). "Discretion versus Policy Rules in Practice," Leaving the Board Carnegie-Roches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vol. 39, pp. 195-214, http://econpapers.repec.org/article/eeecrcspp/default1993.htm.

_________ (2007). "Housing and Monetary Policy (244 KB PDF)," speech delivered at "Housing, Housing Finance, and Monetary Policy," a symposium sponsored by the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 held in Jackson Hole, Wyo., August 30-September 1, www.kansascityfed.org/publicat/sympos/2007/pdf/2007.09.04.Taylor.pdf.

Footnotes

1. I am sure my colleagues join me in honoring John. However, my thoughts on policy rules are my own and not necessarily those of my colleagues on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Jinill Kim and Andrew Levin, of the Board's staff, contributed to the preparation of these remarks.

2. Following John, the rule specification and the data used for the prescriptions closely follow the implementation of the Taylor rule in Bill Poole's speech in August 2006 (Poole, 2007). The inflation measure used for this rule is the four-quarter average headline CPI inflation rate, with the benchmark value set to 2 percent. Through 2001, the gap between real GDP and its potential is the value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staff of the Board of Governors. Because subsequent staff estimates of the output gap are not yet publicly available, the rule prescriptions for the post-2001 period are computed with the real-time output gap as constructed by the Congressional Budget Office.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與, '대법관 14명→26명 증원'...재판소원도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20일 대법관 수를 현행 14명에서 26명으로 늘리는 사법개혁안을 발표했다. 이른바 '4심제' 논란이 있던 재판소원 제도는 당 지도부가 입법 발의해 공론화를 시작, 당론으로까지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재판소원제는 헌법재판소가 대법원의 확정 판결에 대해 위헌 여부를 심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 현재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은 "법원의 재판"을 헌법소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민주당 사법개혁특별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대 과제를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사법개혁안을 발표하고 있다. 2025.10.20 choipix16@newspim.com 정청래 당대표는 "사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땅에 떨어진 것은 전적으로 사법부 책임"이라며 "사법부가 바로 서야 삼권분립이 바로서고 다시금 정치적 중립을 천금같이 여기는 사법부로 거듭나야 한다"고 밝혔다. 우선 대법관 수를 현행 14명에서 26명으로 증원한다. 다만 법안 공포 후 1년이 지난 시점부터 시행되도록하며, 매년 4명씩 3년에 걸쳐 총 12명을 증원하는 방식이다. 대법원은 3년 후에 26명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사법개혁 특위 위원장인 백혜련 의원은 "이를 통해 대법원은 6개의 소부와 2개의 연합부, 실질적으로 전원합의체 2개 구조로 재편된다"며 "이는 법원의 사건 전문성과 다양성을 높이고 심리의 충실도를 높여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를 두텁게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백 의원은 "특히 중요하거나 사회적으로 파급력이 큰 사건은 연합부 대법관의 과반 동의로 대법관 전원의 2/3 이상이 참여하는 합의체를 구성해 심판할 수 있도록 했다"고 부연했다. 이어 "일부에선 대법관 증원이 특정 정권의 사법부 장악을 위한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하지만 이재명 대통령 임기 중 임명되는 대법관은 총 22명이고 다음 대통령도 똑같이 22명을 임명하게 된다"면서 "현 정권과 차기 정권이 대법관을 균등하게 임명하는 구조로 설계돼 있다. 사법부를 회유하거나 사유화하거나 정치적으로 이용할 여지는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대법관 추천위원회 개선을 위해서는 법원행정처장을 추천위에서 제외한다. 대신 헌법재판소 사무처장을 위원으로 한다. 현재 10명인 추천위원을 12명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한다. 현재 위원 중에 대법관이 아닌 법관 1명이 있는데, 이 내용을 전국법관대표회의에서 추천하는 2명으로 한다. 이 가운데 1명은 반드시 여성으로 한다는 계획이다. 추가로 지방변호사회 회장 과반수가 추천하는 변호사 1명을 포함시킨다. 아울러 대법관 구성 다양화를 위해 추천 기준을 신설했다. 현재는 대법원장이 대법관 후보자를 제청할 때마다 위원장 1명 포함 위원 10명으로 구성하는데, 여기에 성별·지역·경력 등이 다양한 후보를 추천해야 한다는 의무 조항을 넣었다. 또 위원 중에 학식과 덕망이 있고 각 전문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 된 기준을 "학식과 덕망이 있고 인권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분야에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 수정했다. 법관 평가제도 개선과 관련해선 법관 평가에 대한변호사협회의 법관평가를 반영하도록 했다. 자질평정 부분에 대한변협이 추천한 각 지방변호사회의 법관 평가를 포함하는 내용이다. 또 하급심인 1·2심 판결문 열람 복사를 전면 허용하도록 개편했다. 현재는 확정된 사건 판결문만 복사하도록 돼 있는데, 확정되지 않은 1·2심 판결문도 열람, 복사가 가능하도록 했다. 다만 대법원 의견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 재판에 중대한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제외하도록 했다. 판결문 확대 조치는 2000년 8월 1일부터 소급적용하도록 조치했다. 압수수색 사전심문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영장 발부 결정 과정에 사전대면심문 절차를 도입하도록 했다. 재판소원 제도 도입은 특위 위원인 김기표 의원이 대표 발의하고, 당 지도부도 발의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정 대표는 "재판소원제는 원래 사법개혁 특위에서 논의하려고 했는데 물리적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재판소원은 헌법 이치와 국민의 헌법적 권리 보장, 국민의 피해 구제라는 측면에서 필요한 제도"라고 강조했다. 이어 "당 지도부가 입법발의 하는 만큼 당론 추진 절차를 밟아 본회의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재판소원제 도입과 관련해 "보다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공론화하기 위해 지도부 차원에서 발의하는 것"이라며 "국민과 전문가 의견을 충분히 들으면서도 사법개혁 공론화의 장을 넓히려는 것"이라고 했다. heyjin@newspim.com 2025-10-20 16:26
사진
[단독] 해군 2030~2040년 '건함계획' 발표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해군이 2030년대부터 2040년까지 한국형 이지스함(KDDX)을 3차까지 진행해 총 18척을 확보하고, 장보고IV 사업을 새로 시작하고, 해상초계기를 추가로 도입하기로 하는 등 새로운 '건함계획'과 '해상초계 전력 계획'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군의 이 같은 움직임은 북한이 지난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서 각종 전술핵 탑재 무기와 신형 전략무기 체계를 대거 공개하며 대남 위협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는 데 따른 대응 차원으로 풀이된다. 특히 북한의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과 초음속 순항미사일 2종, 그리고 5000톤급 신형 구축함 최현함의 장거리 타격 능력 강화 정황이 확인되면서, 우리 군의 대응체계와 방어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한화오션이 서울ADEX에 선보인 한국형 이지스함(KDDX) 모형. [사진=디펜스타임스 제공] 2025.10.20 gomsi@newspim.com ◆한국형 차기 이지스 구축함(KDDX) 12척 추가 건조 = 해군은 최우선으로 만재배수량 8000톤급 한국형 차기 이지스 구축함(KDDX) 추가 전력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해군은 세종대왕급(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류성룡함) 구축함, 정조대왕급(정조대왕함, 다산정약용함, 3번함 건조 중) 구축함 등 이지스 구축함 6척 확보와 함께 KDDX를 최대 18척까지 보유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KDDX 사업은 배 선체부터 전투 체계, 레이더 등 무장을 국내 기술로 만드는 국산 구축함 사업이다. 미니 이지스함 6척을 건조한다. 신형 군함을 도입하는 7조8000억 원 규모의 KDDX 사업은 방위사업청이 우왕좌왕 하는 사이 진전되지 않고 있음에도, 해군이 KDDX Batch-Ⅱ, KDDXⅡ 사업을 만들어 국산 이지스함을 추가로 확보하려는 계획을 세운 것은 한미 간 '기술 이전 문제' 때문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이 19일 해군본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군은 지난해 6월 미 해군 측에 서한을 보내 "북한 위협 대응을 위해 정조대왕급 이지스함과 SM-3/6 함대공미사일 확보 등을 추진 중이지만, 이지스함 전투력을 크게 높이는 협동교전능력(CEC) 미탑재로 초수평선, 장거리 대공표적 대응 능력이 제한되고 있다"며 대한(對韓) 수출을 요청했다. CEC는 지구의 곡면 특성을 감안, 여러 함선과 항공기에서 레이더 등으로 추적·확보된 표적정보를 고용량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융합·분배해서 공통 표적을 산출, 원격교전을 치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계다. 이에 대해 미 해군은 같은 해 8월 답신에서 "미 정부의 수출통제 및 기술이전 정책은 한국에 대한 CEC 수출을 지원하지 않는다"며 거부 의사를 밝혔다. 미 해군은 거부의 이유로 밝힌 '수출통제 및 기술이전 정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호주는 2018년 호바트(Hobart)급 방공구축함, 일본은 2020년 8번째 이지스함이자 아타고급의 개량형인 마야급 이지스함에 CEC를 탑재하도록 허용했지만, 한국에는 CEC를 판매할 의사가 없다는 뜻을 명백하게 밝힌 것이다. 호주·일본에는 CEC를 제공한 미국이 같은 동맹국인 한국에는 수출하지 않으려는 '이중적 태도'에 실망한 해군이 이지스함 기술 국산화를 표방하는 KDDX 추가 건조로 방향을 틀었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판매 거부에 따라 해군은 2030년대 중·후반까지 미국 CEC와 유사한 '한국형 해상통합방공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 선회했다. 이를 위해 국방과학연구소(ADD) 주도로 관련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ADD가 개발하는 한국형 해상통합방공체계는 이지스 구축함, 해상초계기, 항공모함 등 해군 전력과의 연동, 그리고 장거리 미사일 요격체계(L-SAM) 등 첨단 무기체계에 적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미국산 전투체계를 쓰는 세종대왕급·정조대왕급 이지스함에선 한·미 간 체계 연동 및 통합 여부 등이 불확실해 원활한 운용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따라서 해군은 정조대왕급 이지스함 추가 건조보다는 KDDX 추가건조를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KDDX 사업은 총 개념설계→기본설계→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후속함 건조 순으로 이뤄진다. 개념설계는 2012년 당시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이 수주했고, 기본설계는 2020년 현대중공업(현 HD현대중공업)이 따냈다. 현재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에 착수해야 하지만, 사업자 선정을 두고 양 업체 간 갈등이 심해지며 연기됐다. HD현대중공업은 기존 관례대로 기본설계를 주도한 업체가 수의계약을 맺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화오션은 HD현대중공업이 보안 벌점을 받은 점을 거론하며 '경쟁입찰'로 사업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와 현대가 서로 한 치의 양보 없이 다투고 있는지 그 이유를 알 것 같다"면서 "KDDX 사업에서 한화와 현대의 대결은 '6척 싸움'이 아니라 '18척 싸움'이기 때문에 한 치의 양보 없는 대결 양상으로 치닫는 것 같다"고 했다. 해군은 현재 추진 중인 KDDX 6척 건조 사업이 출발하고, 차기호위함(FFX) Batch-IV 사업이 끝나는 즉시 곧바로 개량형이라 할 수 있는 KDDX Batch-II 사업을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최종적으로 새로운 개념을 적용한 KDDX-II 사업을 2035년 이후에 도입하기로 했다.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해 지난해 말 해군에 인도한 차세대 호위함(울산급 Batch-Ⅲ) 선도함 '충남함' [사진=HD현대중공업] 2025.10.20 gomsi@newspim.com ◆차기호위함(FFX) 사업 종료 후 차기호위함(FFX)-II 사업 = 한편, 해군은 기존 차기호위함(FFX) Batch-I/II/III/IV 사업을 완료한 후, 차기호위함(FFX)-II를 계획하고 있다. 해군은 FFX-II 사업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이지만, 건조시기와 구체적 제원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고 있다. 현재 해군은 차기 호위함(FFX) 사업으로 총 26척의 호위함(FFG)을 전력화 한다. FFX Batch-I 사업으로 인천급 호위함 6척, FFX Batch-II 사업으로 대구급 호위함 8척을 건조했고, FFX Batch-III 사업으로 충남급 호위함 6척을 건조하고 있다. 해군은 현재 차기 호위함(FFX) Batch-IV 사업으로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약 3조2500억 원을 투입, 총 6척을 건조하는 'FFX Batch-IV'(울산급 Batch-IV) 사업을 진행 중이다. 2029~2030년경 6척의 함정 모두가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FFX 사업이 완료되면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까지 모든 해역함대의 노후화된 중·대형 함정이 교체가 완료된다. ◆AI 기반의 연안초계함(OPV) 사업을 진행 = 또한 1000t급 연안초계함(OPV) 사업을 진행해, 미사일 고속함 PK-A/고속함 PK-B로 대표되는 고속함들을 보완할 계획이다. 연안초계함(OPV)은 인력 절감과 효율성을 위해 AI(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화·무인화 기술이 적용된 미래형 함정이다. 1500~2200톤급으로, 기존 초계함보다 거주성 등이 향상시켜 연안 및 해상 경비, 해양 안전, 어업 지도, 해양 오염 감시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2020년 11월 10일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진수한 중형급 잠수함 2번함 '안무함(KSS-Ⅲ, 3000톤급)'. 안무함은 2018년 9월 진수한 도산안창호함에 이은 장보고-Ⅲ급 두 번째 잠수함이다. 해군이 건조하는 '장보고Ⅳ' 잠수함도 같은 체급의 형상이다. [사진=대우조선해양] 2025.10.20 gomsi@newspim.com ◆장보고IV 사업 추진에 이어 2040년경 원잠 추진 = 한편, 해군의 수중전력인 잠수함 전력증강 계획에 대해 살펴보자. 해군은 2035년 이후 현재 장보고III Batch-I/II/III를 끝내고, '장보고IV 사업'으로 넘어간다. 최종 결론이 나오기 전이지만, 해군이 밝힌 장보고IV 사업은 그동안 2000톤급 잠수함으로 알려졌으나, 해군이 이번에 밝힌 방향은 3000톤급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장보고IV 사업 이후인 2040년 무렵, 해군은 차세대 잠수함을 건조할 계획으로, 원자력 추진 기관을 탑재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P-8A 포세이돈 후속으로 한국형 해상초계기 개발 계획 = 해군은 현재 P-3C/CK와 15대와 P-8 포세이돈 6대 등 21대의 해상초계기를 보유, 휴전선 길이의 9.5배, 남한 넓이의 3.3배에 이르는 30만㎢의 작전해역에 대한 상시감시와 주요 해상교통로를 보호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해군항공사령부 전력은 현재 P-8A 포세이돈 6대를 주력으로 2030년대를 맞이한다. 하지만 해군은 이번에 기존 P-3C/CK 대체용으로 한국형 해상초계기 사업을 추진할 계획임을 분명히 했다. 지난 5월 29일 경북 포항기지에서 발생한 P-3CK 해상초계기 추락사고는 1968년산으로, 무려 57년을 운용한 노후 항공기의 위험성을 해군에 각인시켰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서울ADEX에서 선보인 한국형 해상초계기 모형. KAI는 2017년 스웨덴 사브가 제시한 '소드피시형'의 국내 개발 해상초계기를 제시하고 있다. [사진=디펜스타임스 제공] 2025.10.20 gomsi@newspim.com 해군 관계자는 "해군은 현재의 P-3CK 기종을 2030년까지 운용하고, 그 이후에 최신예 한국형 해상초계기를 도입을 개획하고 있다"면서 "사고가 난 초계기와 동형인 나머지 P-3CK 7대의 조종사 안전, 그리고 대잠전력의 공백을 막기 위해 한국형 해상초계기 도입사업을 앞당겨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2025년 10월 기준, 해군은 해상초계기를 해외 직도입으로 할지, 국내개발로 할지, 획득방법을 결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1/4 분기에 획득방법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는 2017년 스웨덴 사브가 제시한 소드피시형의 국내 개발 해상초계기를 제시하고 있다"면서 "KAI가 기존의 에어버스 A320 여객기를 개조하는 개발 계획에서 한 발짝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향후 해상초계기 추가 소요는 운용인력을 감안해 11대로 알려졌다. gomsi@newspim.com 2025-10-20 11:12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