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AI데이터센터·실증랩 등 기반시설 구축
AX 실증밸리·국가NPU센터 미래 전략 고도화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가 지난 5년간 '인공지능(AI) 중심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해 성장 기반을 닦았다고 24일 밝혔다.
우선, 광주지역 인공지능(AI) 기업의 기술력은 세계 최대 IT·가전전시회인 CES에서 인정받고 있다.
![]() |
| AI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 [사진=광주시] |
내년 1월 열리는 'CES 2026'에서 지역 7개 기업이 최고혁신상 1개와 혁신상 6개를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할 예정이다.
최근 4년(CES 2023~CES 2026)간 15개 지역기업이 총 24개 분야에서 최고혁신상 2개와 혁신상 22개를 수상한 셈이다.
또한 현재까지 349개 AI 관련 기업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약 160여개 기업이 본사·지사를 광주로 이전하거나 설립했다.
광주시는 AI기업협력센터를 중심으로 창업공간, 기술 지원, 코디네이팅, 실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한편, 스타트업과 유치기업에 AI창업캠프의 입주공간 70개실과 공유오피스 53개를 무상으로 제공한다.
지난 9월 개관한 첨단3지구 인공지능집적단지 AI창업동은 67개실을 확보해 31개사의 입주가 진행 중이며 추가 모집하고 있다.
AI 1단계 사업인 AI 집적단지 조성사업은 마침표를 찍었으며 내년부터 5년간 약 6000억원을 투입해 'AX(AI Transformation) 실증밸리'를 조성에 나선다.
이 사업은 모빌리티·에너지 등 지역 전략산업에 AI를 접목해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확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 AI 기술의 실증·사업화·상용화를 위한 AI이노스페이스 구축, AI융복합기업 1000개 집적, 6000여명 이상 고용 효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해 사업 추진 속도를 높이고 있다.
국가NPU(신경망처리장치) 컴퓨팅센터 설립과 AI규제프리 실증도시, 국가AI연구소 유치 등을 추진하며 AI반도체 기반 핵심거점 마련의 기회도 모색 중이다.
NPU는 AI '추론' 단계에서 GPU 대비 10~100배 효율을 보이는 차세대 반도체고, 국가AI연구소는 인공지능(AI) 기술 실증과 기업‑연구기관‑산업계 간의 연계 강화를 위한 핵심 거점 시설이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광주의 AI산업은 이제 비전 단계에서 기업의 성장과 고용 창출이 이어지는 실질적 성장 단계에 들어섰다"며 "기업 맞춤형 지원체계와 첨단 기반시설을 결합해 광주가 대한민국 AI산업의 거점이자 세계적인 기술 허브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bless4ya@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