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 조립·검사 설비 10대 공급…포트폴리오 완성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CID·BMA·CAP 자동화 장비 전문기업 케이엔에스는 차세대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용 부품 조립 및 검사장비를 80억원 규모로 신규 수주했다고 13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지난해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용 리벳 자동화 설비를 수주·납품한 데 이어 이번에는 부품 조립 및 검사 장비까지 일괄 확보하며 46파이 배터리 장비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 이번 계약은 총 4종의 장비 10대 규모로 리벳공정 외에도 추가로 적용되는 4~5개 부품의 조립 및 검사 공정을 아우르는 턴키 형태의 공급이다.
특히 해당 장비는 고객사 D사의 생산라인에 적용돼 국내 주요 배터리 셀사로 납품되는 46파이 핵심 부품 생산에 활용된다. 또한 일부 장비는 북미향 생산라인에도 투입될 예정이어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 |
| 케이엔에스 로고. [사진=케이엔에스] |
이번 설비는 46파이 배터리의 용량 극대화를 위해 새롭게 개발된 제품에 적용되는 설비로 케이엔에스가 처음으로 수주한 의미 있는 레퍼런스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레퍼런스를 통해 배터리셀사의 양산계획에 따라 추가적인 설비 수주가 기대되고 있다.
아울러 이번 장비는 정밀 얼라인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속·고정밀 조립이 가능하며 AI 기반 검사 시스템을 통해 연속 공정 중 발생하는 미세 불량도 실시간 판별한다. 46파이 셀은 고용량·고출력 특성상 극도로 높은 안전성과 품질 신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자동화 정밀도와 검사 정확도는 장비 선정의 핵심 기준이다.
케이엔에스는 오랜 업력을 통해 구축한 생산 데이터 기반 AI 검사 알고리즘과 고속 자동화 제어 기술을 적용해 고객사의 고도화된 품질 요구를 충족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최근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이 전기차 효율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기존 2170 배터리에서 46파이 배터리로 전환을 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46파이는 상·하단 개방 구조로 리벳 공정 등 신규 조립 단계가 필요하고 대형 셀 특성상 정밀 조립·검사 자동화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리벳설비의 경우 1GWh 증설 시 약 100억원 규모의 장비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미 확정된 국내 주요 업체들의 증설만 고려해도 총 시장은 약 6000억원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봉진 케이엔에스 대표이사는 "최근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이 2170 셀에서 46파이 셀로 전환을 가속하는 가운데, 이번 수주는 46파이 배터리 부품 시장에서 당사의 장비 경쟁력과 공급 역량을 입증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리벳·조립·검사 등 전 공정에 대응 가능한 장비 레퍼런스를 확보한 만큼 향후 고객사의 라인 증설과 시장 성장 흐름에 맞춰 토탈 솔루션 제공사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nylee5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