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0월 수입 순수전기차 7.3만대 등록...전체 29.4% 비중
테슬라, 4.8만대로 압도적 1위...전체 판매량도 3위 차지
BYD·폴스타, 판매량 상위권...'독창적' 매력 보이며 성장세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올해 국내 수입차 시장은 전통적인 가솔린, 디젤 차량보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로의 전환 흐름이 뚜렷하게 드러난 해였다.
특히 예상보다 길어진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돌파가 조금씩 거론될 정도로 전기차에 대한 관심과 구매가 늘었다.
이 같은 흐름에는 국내에도 상당한 팬덤을 보유한 '최강자' 테슬라(Tesla)와 함께 BYD, 폴스타(Polestar) 등 전기차 전용 브랜드들의 약진이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다.
![]() |
| 테슬라 모델 Y [사진=뉴스핌 DB] |
12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10월까지 국내에서 신규 등록된 전체 수입차 중 순수전기차는 총 7만3288대다. 같은 기간 총 등록대수 24만9412대의 29.4%에 해당하는 높은 비중이다.
순수전기차 중 1위 브랜드는 테슬라다. 총 4만7962대가 등록되며 65.4%라는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2위인 BWM(4814대)의 10배에 육박한다. BYD는 3791대로 4위, 폴스타는 2513대로 6위다. 전통적인 인기 브랜드들을 넘어섰다.
테슬라는 수입차 총 신규등록 대수 기준으로도 전통의 강호 BMW와 메르세데스-벤츠에 이어 3위다. 4위, 5위를 다투는 렉서스와 볼보와 약 4배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국내 수입차 3강' 시대를 열었다.
BYD와 폴스타도 각각 전체 순위 13위, 14위에 자리하며 전기차 전용 브랜드의 높아진 위상을 입증했다.
중국 전기차 브랜드 중 최상위권인 BYD는 국내 상용차 시장에 먼저 진입한 후 준비 기간을 거쳐 올해 1월 국내 승용 시장에 공식 진출했다.
BYD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이 있는 한국 시장에서 성능과 디자인,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국내 첫 출시 모델로 럭셔리 모델이 아닌 대중적인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아토 3'(ATTO 3)를 제시한 이유다.
![]() |
|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부문 대표가 아토 3를 비롯한 전기차를 소개하고 있다. 왼쪽부터 BYD 전기차 씰, 아토 3, 씨라이언 7. [사진=뉴스핌 DB] |
BYD코리아는 고객 인도를 시작한지 한 달 반에 1000대를 돌파한 아토 3의 흥행에 힘입어 후속모델인 씰(Seal)과 씨라이언7(Sealion7)을 잇달아 출시했다.
씰은 중형 전기 세단, 씨라이언7은 중형 전기 SUV로, 'BYD 3총사'는 국내에서 가장 인기가 많고 보편적인 세그먼트 모델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번에는 전기차를 사야겠다"는 의사가 확실한 소비자들에게 BYD코리아의 확실한 컨셉인 가성비 매력을 어필했다.
폴스타는 BYD와는 다른 측면의 매력으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빠르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볼보'와 '고성능'이라는 유산을 가진 브랜드답게 폴스타가 강조하는 매력은 '스웨디시 프리미엄'이다. 폴스타는 볼보의 고성능 브랜드로 출발해 지난 2017년 분사되며 전기차 전용 브랜드로 탈바꿈했다.
올해 폴스타코리아의 약진은 '폴스타 4'가 이끌고 있다. 폴스타 4는 쿠페 특유의 날렵한 스타일에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공간적 이점을 결합한 전기 퍼포먼스 SUV 쿠페다.
폴스타 4를 실제 보고 체험한 소비자들이 내리는 비슷한 평가는 "생각보다 크고 고급스러우며 분명한 매력이 있다"는 것이다. 폴스타 4의 인기에 힘입어 폴스타코리아는 올해 1~10월 누적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84.4%라는 엄청난 증가세를 기록했다.
![]() |
| 함종성 폴스타코리아 대표(우), 이수범 디자인 담당(좌). [사진=뉴스핌DB] |
업계는 전기차 전용 브랜드들이 가진 매력을 '독창성'에서 찾는다.
'기름차'에서 출발한 브랜드의 전기차는 플랫폼과 부품, 디자인 등에서 아무래도 내연기관 모델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경우가 많지만, 전기차 전용 브랜드들은 '편견없이' 처음부터 전기차만을 염두에 두고 개발하기 때문에 디자인과 공간, 기술에서 차별화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테슬라의 경우 오토파일럿 및 FSD(완전자율주행) 등 자율주행 기술과 OTA(Over-the-Air, 무선으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기술) 등에서 글로벌 시장을 리드한다.
BYD는 수입차를 넘어 국내 브랜드를 뛰어 넘는 가격경쟁력으로 배터리 등으로 인해 기본적으로 '비싼' 전기차의 단점을 상쇄시켰다.
이에 중국의 또 다른 전기차 전용 브랜드인 지커(Zeekr), 샤오펑(Xpeng), 샤오미(Xiaomi) 등이 한국 법인을 설립했거나 준비하며 한국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 채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ims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