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경찰관 대상 연수프로그램·ODA 참여 가능성 논의
실무자 및 관리자 수사 지휘역량 강화 중요성 대두...미래치안 선도 기대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대학 대표단은 11일 싱가포르에 있는 인터폴 국제 혁신단지를 방문해 최근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하고 있는 조직 범죄 등 동향과 대응 상황을 파악하고 국제공조 지원을 위한 연구·교육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에는 치안정책연구소 공공안전연구부장 등 3명과 경찰청 인터폴 협력관, 인터폴 경찰 역량강화팀(CBT) 및 혁신센터(IC) 근무자가 참석했다.
아시아 지역 국제공조 현황과 문제점을 공유하고 각국 경찰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연구기관의 역할도 논의했다.
회의에서 우리 경찰의 외국 경찰관 대상 연수프로그램과 치안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참여 가능성에 대해서도 실무 논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경찰대는 2005년 경찰기관 중 최초로 ODA 초청 연수를 시작한 이후 대한민국 경찰의 우수한 치안시스템과 기반시설을 전수하고 국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 |
| 경찰청 [사진= 뉴스핌 DB] |
올해는 8개국 148명을 대상으로 연수를 진행했고 연수 대상국의 치안현장에 적용 가능한 맞춤형 교육과정 설계로 큰 호응을 얻었다. 경찰대는 지난달에 인터폴, 지식재산처(구 특허청)와 공동으로 지식재산권 범죄 대응 교육을 진행했다.
내년 상반기에는 캠퍼스 내 숙박과 강의 시설을 갖춘 국제경찰교육훈련센터를 준공할 예정이다. 경찰대는 한국 경찰의 주요 협력국과 국제공조 역량 강화를 위해 해외 고위직 경찰관 대상 과정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캄보디아 사태를 계기로 실무자뿐 아니라 관리자의 수사 지휘역량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두드러지고 있다. 경찰대는 이러한 과정 운영으로 미래치안을 선도하는 국제 중심지로서 위상을 더욱 높일 것으로 보인다.
김성희 경찰대학장은 "경찰 간 교육·연구 분야 협력은 새로운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스마트 경찰'로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며 "특정 국가의 조직성 범죄 단속 강화로 우려되는 풍선 효과에 대비할 뿐만 아니라 해외 경찰관 교육을 통해 역량을 갖추는 것이 전 세계가 더욱 안전한 공동체가 되는 길"이라고 언급했다.
경찰대는 우리 경찰의 국제적 치안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발굴하고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krawj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