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이코노미스트 임팩트' 보고서 선정, 국내 기업 유일
'인게임 기부 캠페인' 통한 선행 비즈니스 모델로 소개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는 영국 유력 매체 이코노미스트 그룹 산하 연구기관인 이코노미스트 임팩트가 발간한 최신 보고서 '아시아 기업의 선행 비즈니스'에서 '소셜 이노베이터'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코노미스트 임팩트는 보고서를 통해 최근 다양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실행하고 있는 아시아 기업들의 행보를 조명했다. 이번 보고서에 선정된 국내 기업·재단은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가 유일하다.
![]() |
|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 CI. [사진=스마일게이트] |
이번 보고서는 '왜 기업이 좋은 일을 해야 하는가'를 넘어 '어떻게 좋은 일을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췄다.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를 비롯해 인도의 타타그룹, 중국의 앤트그룹, 미국과 아시아 지역의 마이크로소프트 필란트로피즈, 필리핀의 아얄라 코퍼레이션, 일본의 사라야 등 12개 글로벌 기업과 재단의 사례를 고유한 가치관과 거버넌스, 이해관계자 관계를 기반으로 한 6가지 사회공헌 모델로 소개했다.
특히 스마일게이트는 기업의 자원과 전문성, 네트워크를 결합해 선행의 범위와 영향력을 크게 확장한 아시아의 대표 사례로 꼽혔다. '나눔의 게임화'라는 독창적 접근으로 사회적 선행을 문화로 확장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이코노미스트 임팩트는 "스마일게이트는 상업적 플랫폼이 아닌 게임 본연의 즐거움과 커뮤니티 에너지를 사회문제 해결로 연결한 소셜 이노베이터"라고 소개했다.
스마일게이트의 사회공헌 재단 희망스튜디오는 게임 이용자 팬덤과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참여형 사회공헌 모델을 발전시켜 왔다고 평가받았다. 기부 플랫폼에 레벨, 랭크, 온라인 뱃지 등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도입해 기부의 재미와 지속성을 높이고 이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왔다.
보고서는 이러한 구조가 실제 사회적 임팩트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희망스튜디오 플랫폼 누적 기부금은 450만 달러(한화 약 65억원)를 넘었으며, 지난해 한 해에만 약 1만9000건의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가 이뤄졌다.
이코노미스트 임팩트 보고서는 "한국의 스마일게이트는 희망스튜디오 플랫폼에서의 인게임 기부 캠페인을 통해 업계 파트너 및 유저 커뮤니티와 협력해 사회문제 대응 자원을 공동으로 조성했다"라며 "'소셜 이노베이터'로서 새로운 가치사슬을 창출하고,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향후 실천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델을 선도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라고 평가했다.
권연주 희망스튜디오 이사는 "이번 이코노미스트 임팩트 보고서에 세계적인 기업들과 함께 이름을 올릴 수 있게 돼 진심으로 기쁘고 스마일게이트의 사회공헌 활동이 그 가치를 인정받은 점에서 의미가 깊다"라며 "앞으로도 참여자들이 재미와 보람을 느끼고 다양한 파트너가 협력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임팩트 있는 사회공헌 활동으로 사회 전반에 선한 영향력을 확산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shl2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