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특화 AI 모델·자동 청구 인식 기술 공동 개발
금융 데이터 기반 서비스 고도화로 디지털 전환 가속
KT, GPU 인프라·'믿:음 K 2.0' 등 기술력 제공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와 메리츠화재가 금융·보험 산업의 AI 전환(AX)을 위한 전략적 공동 연구에 나섰다.
6일 KT는 서울 광화문 KT 빌딩에서 메리츠화재와 'AI 기반 미래 금융 혁신'을 위한 공동 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KT의 AI 기술력과 메리츠화재의 금융·보험 데이터 역량을 결합해 새로운 형태의 산업 간 AI 융합 모델을 구축하려는 시도다.
양사는 간담회를 통해 보험·금융 분야에 적용 가능한 AI 모델 개발 방향과 고객 서비스 혁신을 위한 공동 연구 과제를 논의했다. KT는 그동안 다양한 AX 사업을 통해 축적한 기술력과 정보통신기술 경험을 기반으로, 금융권 특화 AI 서비스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협력 분야는 ▲보험업 맞춤형 AI 모델 개발 ▲AI 기반 보상 자동심사 및 청구 서류 인식 기술 ▲AI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생성 기술 등이다. KT는 연구에 필요한 GPU 인프라와 AI 모델 환경을 제공하고, 자사 한국어 특화 모델 '믿:음 K 2.0'을 적극 활용한다.
![]() |
| 왼쪽부터 KT 기술혁신부문장 오승필 부사장, 메리츠화재 경영지원실장 선욱 부사장, KT Enterprise부문장 안창용 부사장. [사진=KT] |
특히 KT는 금융권의 망분리 환경에서도 법률 특화 AI 모델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경험을 토대로, 이번 협력을 통해 보안성이 강화된 산업 특화형 AI 모델 개발 역량을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자체 광학문자인식 솔루션 'DocuSee'를 적용해 보험·의료 서류 인식 성능을 고도화하고, 복잡한 보험 청구 문서를 AI가 자동 인식·분석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보험업무 효율성과 고객 응대 속도를 동시에 높이는 'AI 기반 보험 운영 체계' 구축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메리츠화재는 금융·보험 분야의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제공하고, 이를 AI 학습용으로 평가·검증해 모델의 정확도를 높이는 역할을 맡는다. 또한 고객 데이터 보호 체계를 기반으로 보험업무 로직을 접목해 AI 보상 시스템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부사장)은 "이번 양사간의 R&D 협력은 AI 기술과 금융사의 데이터 역량을 결합해 보험사의 업무 혁신 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더 빠르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미래 금융 기술 개발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금융 산업과의 AI 기술 동맹을 확대해 대한민국 금융 산업의 AX를 선도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사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보험 특화 AI 모델과 AI 기반 자동보상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에 적용해 사업적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이다. KT는 이를 기반으로 금융·보험 산업의 AI 혁신 생태계인 '인슈어인텔리전스' 구축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