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와 피지컬 AI 협력, 월드모델 시대 차세대 인프라 확장
국가 AI 컴퓨팅센터, 정부·기업 안정적 GPU 활용 기반 마련
AI, 거품 아닌 구조 전환…투입 대비 가치가 핵심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엔비디아와의 협력과 정부의 '소버린 AI' 전략을 통해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를 확충하고, 국내 AI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유원 대표는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단25' 키노트 Q&A 기자간담회에서 "AI는 이제 시대적인 흐름이며, GPU와 같은 인프라 확보는 국가적 투자 영역"이라며 "이번에 정부와 기업이 함께 뜻을 모아 GPU 인프라 확충을 결정한 것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AI 인프라 확충을 통해 모델 개발·서비스 구축·운영까지 균형 있게 발전시켜 나가야 하며, 네이버클라우드 역시 안정적인 GPU 인프라를 확보해 정부와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특히 엔비디아와의 협력에 대해 "피지컬 AI는 생성형 AI의 다음 단계로, 텍스트 기반 모델을 넘어 실제 세계를 이해하는 월드 모델로 확장되는 흐름"이라며 "해당 영역에서 네이버는 OS와 API 등 플랫폼 기술을 중심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인프라와 플랫폼을 함께 만들고, 제조·로봇 등 버티컬 AI 영역에서 협업을 확대할 것"이라며 "GPU 확보 사업자가 그 자원을 어디에 쓰느냐보다, 모델과 서비스 개발이 균형 있게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 효율을 높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한국의 AI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 |
|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단25' 키노트 Q&A 기자간담회 현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
일각에서 거론되는 AI 산업의 거품론에 대해서는 "AI 산업의 거품론이 주기적으로 제기되지만, 핵심은 투입 대비 가치라고 본다. AI 기술이 실제 서비스에서 효율을 만들어내야 한다"며 "네이버클라우드는 경량화 모델과 효율화 중심으로 AI가 현실적인 가치를 만들 수 있도록 준비해왔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GPU 공급 다변화와 관련해서도 "이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엔비디아뿐 아니라 국내 NPU, AMD, 인텔 등 다양한 칩을 테스트하고 있다"며 "네이버는 실제 서비스 트래픽을 보유한 만큼, 반도체 설계사들과 협력해 실사용 환경에서 검증과 개선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AI는 산업의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구조적 전환"이라며 "엔비디아, 정부, 국내 기업들과 함께 AI 인프라를 단단히 세워 한국이 이 전환을 기회로 만들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