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기간 단축, 노후 단지 개선 '새 해법'
2000년대 아파트 '주 타깃'…모듈러 공법·로봇 주차 '활용'
가구당 비용 1억 미만…타사 브랜드도 '힐스테이트' 변경 가능
10년 후 주택 사업의 해법"…미래 시장 선점 포부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현대건설이 업계 최초로 선보이는 신(新)사업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를 선보였다. 기존 리모델링보다 사업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어, 노후 단지의 주거환경을 빠르게 개선할 새로운 해법이 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 |
|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6일 현대건설의 신사업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가 공개됐다. 영상은 더 뉴 하우스 사업 1호 대상지인 삼성 힐스테이트 2차 사업 오프닝. 2025.11.06 dosong@newspim.com |
이주 없이 2년이라는 기간 안에 단지를 신축 수준으로 재단장하는 주택 신사업 '더 뉴 하우스'를 공개한 현대건설은, 이를 미래 주거 환경 개선 사업으로 삼아, 재건축 인가와 사업비 등의 문제로 노후화 개선에 애를 먹는 단지를 신속히 재단장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라이프스타일에 적용할 수 있게 만든다는 방침이다.
◆ '이주 없이 2년 내 재단장'…노후 단지 개선 '새 해법'
![]() |
|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6일 현대건설은 서울 신사동 디에이치 갤러리에서 미디어 쇼케이스 행사를 열고 신사업 프로젝트 '더 뉴 하우스'의 이름과 추진 배경, 향후 계획을 밝혔다. 사진은 이날 열린 미디어 쇼케이스 현장 2025.11.06 dosong@newspim.com |
6일 현대건설은 서울 신사동 디에이치 갤러리에서 미디어 쇼케이스 행사를 열고 신사업 프로젝트 '더 뉴 하우스'의 이름과 추진 배경, 향후 계획을 밝혔다.
'더 뉴 하우스'는 입주민이 이주하지 않고 생활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동주택을 종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신규 주거 혁신 사업이다. 이름(THE NEW HOUSE)에는 ▲이주 없이(No move) ▲간소한 절차 속에서(Easy process) ▲2년 이내(Within two years)에 사업 완수를 목표로 주거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핵심 가치(NEW)를 담았다. 이름에 담긴 의미와 같이 단순한 주택 수선이나 보수를 넘어 외관과 조경, 편의시설 개선은 물론 유휴 공간을 찾아 커뮤니티 시설을 확충하는 등 공간 활용을 통한 신축 수준의 단지 재단장을 목표로 한다.
![]() |
|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6일 서울 신사동 디에이치 갤러리에서 이인기 현대건설 주택사업본부장이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 사업 발표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11.06 dosong@newspim.com |
이번 사업은 재건축 연한과 분담금 등 제도적, 경제적 벽에 부딪혀 노후 공동주택의 주거 개선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인기 현대건설 주택사업본부장은 "라이프스타일은 로봇, 자율주행 등으로 빠르게 변하는데 아파트는 50년을 간다. 신축은 '네오 리빙'으로 대응 중이지만 기존 아파트가 문제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기존 리모델링은 골조만 남기고 다 철거해 친환경적이지도 않고, 이주는 물론 재건축 못지않은 비용과 시간이 든다. 천정고 등 한계도 명확하다"고도 덧붙였다.
◆ 2000년대 아파트 '주 타깃'…모듈러 공법·로봇 주차 '활용'
주 사업 대상은 양호한 구조체를 가졌지만 외관과 커뮤니티 시설이 부족한 2000년대 아파트와 신도시 및 지방의 유휴 부지가 존재하는 단지들이다. 1998년 분양가 자율화 이후 지어진 2000년대 아파트 주민들은 세대 내부는 잘 고쳤지만, 공용부(커뮤니티, 외관, 조경) 개선 필요가 크기 때문이다. 이주나 철거 과정에 부담을 느끼는 것도 이들이 주 사업 대상이 되는 이유 중 하나다.
![]() |
|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6일 공개한 현대건설의 신사업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는 유휴 부지를 위주로 지하 피트 공간이나 지상의 유휴 부지를 커뮤니티 시설이나 편의 공간으로 재구성하며 주민과 공사 동선을 철저히 분리해 공사가 진행되는 구조다. 2025.11.06 dosong@newspim.com |
따라서 현대건설은 이주와 철거 과정 없이 외관, 조경, 편의시설 개선과 부족한 커뮤니티 공간을 확충하는 방안을 고안했다. 거주 구역과 공사 구역을 단계별로 분리 시공하며, 공동부 중심의 개선으로 설계가 진행된다.
유휴 부지를 위주로 지하 피트 공간이나 지상의 유휴 부지를 커뮤니티 시설이나 편의 공간으로 재구성하며 주민과 공사 동선을 철저히 분리해 공사가 진행되는 구조다.
![]() |
|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6일 서울 신사동 디에이치 갤러리에서 이형덕 현대건설 리뉴얼신사업팀장이 더 뉴 하우스(THE NEW HOUSE)의 사업 설명을 진행 중이다. 2025.11.06 dosong@newspim.com |
이주 없는 공사라는 원칙상 지상 공사 위주로 검토 중으로, 주차장 등을 위해 지하를 새로 파는 공사는 불가능하다. 다만 이형덕 현대건설 리뉴얼신사업팀장은 "로봇 주차를 통해 주차 효율을 30% 정도 늘릴 수 있다"며 "지상 주차장만 있는 곳은 층고 2m짜리 로봇 주차를 설치하면 1층 조망 방해 없이 주차난을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동주택용 지능형 주차 로봇은 2027년쯤 제도화가 예상된다.
모듈러 공법 등 신공법을 통해 안전성 역시 제고할 방침이다. 이인기 본부장은 "모듈러 공법 등을 활용해 공기를 단축하고 안전하게 작업하는 방법을 고민 중"이라며 "세대 내부는 우수 업체 매칭, 공용부는 현대건설이 맡아 빠른 시일 내에 끝내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사업의 법적 근거는 용적률에 따라서 달라진다. 기존 용적률 이내에서 사업을 진행할 경우 공동주택관리법(입주자대표회의 방식)을 적용하며, 용적률을 높일 경우 주택법(조합 방식)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이번 사업의 1호 대상지인 삼성동 힐스테이트 2단지의 경우 18년 전 사업 인가 시 남겨뒀던 기존 용적률 내에서 사업을 진행하기에 공동주택관리법으로 진행되지만, 2호 대상지로 예상되는 수원 영통구 신명동보 아파트는 유휴 부지에 2~3층짜리 모듈러 건물(커뮤니티 등)을 올려 용적률이 늘어나기 때문에 주택법으로 진행된다는 설명이다.
◆ 가구당 비용 1억 미만…타사 브랜드도 '힐스테이트' 변경 가능
이주 비용 등의 금융 비용이 없는 만큼, 공사비와 같은 실질 비용만을 부담한다는 점도 경제적 이점을 지닌다. 현대건설은 가구당 드는 비용은 1억원 미만으로 추정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정비사업과 비슷하게 계약금을 일부 납부하고, 중도금·잔금에 해당하는 금액은 매월 일부를 납부하는 방식을 이용할 방침이다. 이형덕 팀장은 "이주비, 이사비 등 금융 비용이 사라지고 실질적인 공사비(가치 투자)만 부담하는 것이 경제적 핵심"이라며 "가구당 사업비는 1억 미만을 예상한다"고 전했다.
공동주택관리법으로 진행될 경우 장기수선충당금 항목을 활용한다. 다만 장기수선충당금만으로는 사업비 조달이 부족하기 때문에 별도 비용 징수를 위해 입주민 동의를 통한 관리 규약 개정 절차를 거쳐 추진이 가능하다. 또한 구독 프로그램처럼 금융사와 연계한 '금융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기도 하다.
단지를 재단장할 경우 적용되는 브랜드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인다. 특히 타사 아파트 브랜드 단지 역시 현대건설의 브랜드를 적용할 수 있는지 주목받는다. 이를 두고 이형덕 팀장은 "타 브랜드 아파트도 현대건설 상품 기준을 맞추면 '힐스테이트'로 변경 가능하다"고 전했다. 다만 현대건설의 하이엔드 브랜드인 디에이치의 적용 여부에 대해서는 "매우 엄격한 기준을 달성해야만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현대건설은 이번 신사업을 통해 미래 주택 사업을 선점한다는 방침이다. 이형덕 팀장은 "당장의 주류 사업이나 수익원이 될 순 없다. 미래를 보고 진행하는 사업"이라면서도 "10년 후 정비사업이 완성되면 그다음은 '더 뉴 하우스'가 답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건설은 향후에도 추가적인 사업 대상지를 확보할 방침이다. 이날 주요 기관 및 25개 관심 사업지 관계자 등도 발표 행사에 참여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더 뉴 하우스가 공동주택의 구조적 제약을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삶의 질과 단지 브랜드 가치를 함께 끌어올리는 패러다임 변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현대건설은 고객의 일상을 바꾸는 차별화된 주거 솔루션을 지속해서 제공해 주택사업 분야의 리딩 기업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doso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