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통합 컨퍼런스 '단25' 기조연설서 '비즈니스 에이전트' 이점 공유
"내 사업 진단부터 시장 비교, 카테고리 분석까지 종합 지원"
"AI 프라이스·CRM 솔루션으로 가격·타깃 자동 최적화·캠페인도 즉시 집행"
스마트스토어·플레이스부터 SNS·동영상·버티컬 매체까지 커버리지 확대 예정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가 매출 분석·시장 진단·마케팅 집행 등 사업 운영의 전 과정을 자동화해 사업자들이 효율적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 인공지능(AI)으로 '비즈니스 에이전트'를 공개했다.
이종민 네이버 광고 사업 부문장은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통합 컨퍼런스 '단25' 기조연설에서 "AI와 에이전트 기술이 산업의 화두로 떠올랐지만 대부분 이용자 중심 논의가 많다"며 "네이버는 사업자만을 위한 전용 에이전트로 복잡해진 사업 환경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문장은 "스마트스토어·페이·예약·네이버 쇼핑·리뷰·예약·CRM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해 왔지만, 도구가 많아질수록 사업자는 선택의 혼란과 관리 부담이 커지는 현실에 직면한다"며 "중소형 사업자의 경우 진단과 시장 분석, 경쟁 카테고리 비교 등 기본 데이터 확보도 쉽지 않다. SNS·쇼핑 등 접점 다양화로, 한 채널에 익숙해진 뒤 새로운 플랫폼을 또 배우고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비즈니스 에이전트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네이버는 '비서실장 한 명을 두는 효과'를 표방하며, 진단·제안·실행으로 구성된 네이버 비즈니스 에이전트를 개발했다.
이 부문장은 "비즈니스 에이전트는 내 사업의 성과와 고객 상황, 시장 포지션을 입체적으로 분석해 잘 되고 있는 점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제시한다"며 "내부 검색·쇼핑 데이터, 오프라인 결제 데이터(POS) 등 생태계 정보와 외부 데이터까지 통합 진단한다"고 설명했다.
![]() |
| 사진은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통합 컨퍼런스 'DAN25'에서 이종민 네이버 광고 사업 부문장이 비즈니스 통합 에이전트 'Agent N for Business'에 대해 소개하는 모습. [사진=네이버 TV] |
이어 "스마트스토어 사업자를 대상으로 성공과 개선 포인트, 경쟁 카테고리 비교·시즌 이슈 대응 등 맥락 분석도 지원한다"며 오프라인 플레이스의 경우, 결제·쿠폰·마케팅 데이터와 리뷰·방문 패턴 통합 분석을 바탕으로 '신규 유입 변화'와 트렌드 분석 등 실질적 진단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소개했다.
또 "이커머스·외식 사업자 역시상품·메뉴별 경쟁력 분석, 인근 사업장 비교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며 "나아가 매출·수익성 제고를 위한 AI 프라이스 솔루션이 시장·업종 경쟁력까지 반영해 가격 최적화를 자동 제안·변경하고, 변경 시 예상 매출 효과도 미리 알려줘 사업자 의사결정을 돕는다. 네이버만의 AI CRM으로 정교한 그룹 타기팅 및 프로모션 추천, 원하면 즉시 캠페인 집행까지 지원한다"고 비즈니스 에이전트의 강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창업자와 소상공인도 영상·이미지·리뷰 등 콘텐츠 제작을 원스톱으로 지원받을 수 있고, 광고·마케팅은 플랫폼 경계 없이 SNS부터 동영상, 버티컬 매체까지 자동 커버리지로 확장된다"며 "이번 달 중순 외부 SNS(인스타그램·페이스북) 노출에 이어 내년에는 유튜브, 버티컬 크리테오 매체로 확장할 계획이다. 오프라인에서도 스크린 애드 기술로 빌보드, 사무실, 엘리베이터, 이동 매체 등 실세계 광고 지면에 자동 노출 기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비즈니스 에이전트가 분석·진단은 물론, 연계 광고·마케팅·콘텐츠 제작까지 온라인·오프라인 경계를 허물며 편리한 사업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AI 시대에 단 한 명의 사업자도 소외되지 않도록 지원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