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거대 모델 'Any-to-Any'로 확장, 텍스트·음성·이미지·센서 통합
산업별 맞춤형 AI 제공…조선·에너지·바이오 등 현장 적용 확대
'피지컬 AI'로 로봇·자율주행 등 산업 지능화 구현
내년 6월, 프라이빗 클라우드 '뉴로클라우드' 업그레이드 출시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클라우드가 초거대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산업형 옴니모델로 진화시키며 '소버린 AI 2.0' 전략을 본격화했다.
6일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에서 "AI는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기술 인프라"라며 "우리의 기술과 데이터·인프라로 산업 AI를 현실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또 "하이퍼클로바X는 '애니 투 애니(Any-to-Any)' 기반의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로 진화 중"이라며 "대형 모델부터 피지컬 AI용 경량 모델까지 산업별 요구에 맞는 라인업을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 |
| 사진은 지난 8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카카오데이터센터 안산에서 열린 '첨단 GPU 확보 및 AI 고속도로 현장 간담회'에 참석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의 모습. [사진=뉴스핌DB] |
네이버는 2023년 비영어권 최초 대규모언어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한 이후 경량·추론·오픈소스 모델을 잇따라 선보이며 누적 200만 건 이상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이 모델은 텍스트·음성·이미지·지도·센서 데이터를 통합 인식하고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 구조로, 각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AI 솔루션을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다.
김 대표는 이번 발표에서 '소버린 AI 2.0'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기존 언어·문화 중심의 기술 자립을 넘어 산업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네이버는 대한민국의 언어·데이터·산업 구조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기업"이라며 "한국형 소버린 AI 2.0을 통해 산업 AI 전환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또 "머신이 공간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며 행동하는 기술이 피지컬 AI의 핵심으로, 1784 사옥과 데이터센터에서 축적된 리얼 데이터와 온보드 AI를 결합해 지속적으로 진화 중"이라며 "AI는 산업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기술로, 하이퍼스케일 인프라와 피지컬 AI를 결합해 산업 혁신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는 2016년부터 로봇과 자율주행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2021년부터 이를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피지컬 AI'로 발전시켰다.
구체적으로 네이버클라우드는 조선·에너지·바이오 등 주요 산업 기업들과 협력해 AI 기반 공정 운영·설비 관리·품질 예측을 지원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트윈 플랫폼, 태국의 관광 AI 에이전트, 일본의 케어콜 서비스 등 글로벌 시장으로 산업 특화 AI를 확산 중으로, 함께 헬스케어·농촌·복지 등 사회 분야에도 AI를 적용해 발달장애인 보조, 고령자 돌봄, 농업 생산성 향상 등 기술 포용을 확대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내년 6월 AI를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운영하려는 기업을 위해 프라이빗 클라우드 '뉴로클라우드'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공개할 계획이다. 새 버전은 고성능 연산 자원과 보안 기능을 강화해 산업별 AI 학습 및 서비스 운영 환경을 지원한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