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저신용대출·기후보험 등 실질 정책, 국감서 여야 긍정 평가
도민 체감형 행정이 여론 지지로 확산..."정책이 곧 정치"
경기도가 대한민국 혁신 행정의 기준점으로 부상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정책이 지지로 이어지는 '정치의 선순환'이 현실이 되고 있다.
28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해보면, 2025년 국정감사에서 정책 성과를 인정받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최근 여론조사에서 여야 전체와 민주당 내부를 막론하고 모두 1위를 기록하며 전국적 주목을 받고 있다.
![]()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1일 오후 경기 수원시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김 지사의 국감 대응력과 정책 실적이 '신뢰 리더십'으로 작동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여야·이념 막론한 압도적 1위..."정책이 곧 리더십"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김동연 지사는 ▲여야 전체 지지율 1위 ▲민주당 주 지지층(40~50대)에서 최고 지지율 ▲진보·중도층 동시 1위 ▲1권역(고양·파주)을 제외한 전 권역 1위 등 고른 지지세를 보였다.
특히 전 세대·전 성별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은 점은 "정책 중심의 정치"라는 김 지사의 도정 철학이 유권자에게 확산된 결과로 풀이된다.
정치 갈등이 아닌 성과와 실력으로 인정받은 리더십이란 평가다.
◆ 국감장서 빛난 '김동연표 민생정책'
올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와 국토교통위원회 국감에서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김 지사의 정책에 대한 긍정 평가가 이어졌다.
한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기후보험이 기후위기 시대의 모범적 모델"이라며 극찬했고, "계엄청사 폐쇄 반대 입장에 공감한다"고 덧붙였다.
신정훈 위원장은 "극저신용대출 확대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며 전국적 확산을 주문했다.
위성곤 의원은 "사회적경제 예산의 지속과 아시아 수상 수상 축하"로 김 지사의 추진력을 평가했다.
양부남 의원은 "경기도의 주4.5일제 시범도입은 정부 국정과제에 부합한다"며 정책 실험 정신을 높게 평가했다.
고동진 의원(국민의힘)도 "성남 분당 팹리스 클러스터는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이정표"라며 여야를 넘어 박수를 보냈다.
국감에서는 'RE100', '경계성 지능 청년 일역량 강화',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일산대교 무료화' 등 다수의 민생·혁신정책이 실질 성과로 주목받았다. 여야가 동시에 호평한 경기도정은 드물다는 평가다.
◆ "도민이 체감하는 정책, 그것이 정치의 본질"
김 지사는 국감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정책은 정치의 수단이 아니라 국민 신뢰의 근간"이라며 "도민이 체감할 때 정치의 의미가 완성된다"고 말했다.
그의 대표 브랜드인 '극저신용대출'과 '기후보험', '주4.5일제'는 모두 생활 속 체감형 정책으로, 단기적 인기도보다 장기적 신뢰를 쌓는 방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국감에서 의원들의 잇단 칭찬이 이어진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보여주기식 정책'이 아니라 현장과 호흡하는 김동연표 행정이 실제 도민 삶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평가다.
◆ "도정에서 정치로"...여론조사 상승, 차기 구도에 파장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향후 정치 지형에도 적지 않은 의미를 남긴다. 특히 민주당 내 차기 주자 구도에서 김동연 지사가 '정책 실력형 리더'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국감 호평이 도민 지지로 이어진 것은 경기도정이 단순 행정이 아니라 브랜드가 되었음을 보여준다"며 "도정의 확장성, 행정의 품격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해석했다.
◆ "성과가 곧 신뢰"...김동연 리더십의 공식
김 지사의 행보는 기존 정치 문법과는 다르다. 그는 여야의 구분보다 '정책의 타당성'을 기준으로 행정의 방향을 결정하며, 국감에서도 "경기도는 대한민국 정부의 제1 동반자"라고 밝힌 바 있다.
국정감사장에서 정책으로 평가받고, 여론에서 신뢰로 보답받는 구조, 이것이 '김동연표 정치'의 현재이자 미래다.
한편 기사에 소개된 여론조사는 여론조사업체 글로벌리서치와 조원씨앤아이가 경기교육신문 등의 의뢰로 2025년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이틀간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응답률은 7.5%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보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1141worl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