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 현실적 기회' 판단...전략 체계 강화 등 선제 대응 태세
이사관급 전담 TF팀 구성...컨트롤타워 통해 유치 전략 도모
이 시장, 현안 챙기기 행보로 지역경제 성과·경쟁력 향상 박차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이 공공기관 추가 이전을 앞두고 직접 지휘에 나섰다.
이장우 시장은 20일 열린 주간업무회의에서 2026년 이후로 예상되는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을 "대전의 현실적 기회"로 평가하며, 이사관(2급)급 전담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지시했다.
![]() |
20일 열린 주간업무회의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이 공공기관 2차 이전 대응을 지시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2025.10.20 gyun507@newspim.com |
이를 통해 전략적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중앙정부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이 시장은 "공공기관 이전은 단순 행정이 아니라 국가적 과제"라며 "전담 컨트롤타워를 세워 유치 전략을 집중 설계하고 민첩하게 움직일 조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전시는 이미 대전역세권 복합2-1구역 개발과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혁신도시 이전 기관들과의 협약 체결 등을 통해 이전 기반을 다져왔다. 이번 TF 구성으로 이러한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부 정책 변화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실행 조직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이전 후보지로는 대전역세권과 메가충청스퀘어 일대가 거론된다. 약 6만㎡ 규모의 이 지역에는 1500~2000명의 근무 인력이 입주할 수 있어 공공기관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대덕구 연축지구 역시 대형 기관 이전에 대응할 수 있는 넓은 업무 공간을 확보해 다수 기관 유치 가능성이 점쳐진다.
대전시는 공공기관 이전 대응과 함께 지역 경제 지표 강화에도 나선다. 시는 대전 본사 상장기업 66곳의 주가 흐름을 기반으로 한 '대전지수'를 신설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시민들이 지역 기업의 성장과 산업 생태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 유치와 투자 유도, 지역 브랜드 가치 제고에도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이 시장은 "대전에 본사를 둔 상장사들의 시가총액이 지난달 기준 81조 원을 넘어섰지만 시민 인식은 부족하다"며 "지역 기업의 성장을 시민과 공유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공기관 2차 이전 대응을 비롯해 지역경제 활성화,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 등 주요 현안을 직접 챙기고 있는 이장우 시장의 행보는 대전시의 전략적 행정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는 이를 통해 공공기관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경제 성과와 도시 경쟁력 향상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