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2025년 10월 세계경제 전망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3.2% 예상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을 0.9%로 전망했다. 이전 전망치보다 0.1%포인트(p) 올려 잡은 것이다.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로 이전 전망치보다 0.2%p 올린 3.2%로 내다봤다.
1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10월 세계경제전망 수정'을 발표했다.
IMF는 매년 연간 4차례 1·4·7·10월 세계경제 전망을 발표한다. 4·10월은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하는 주 전망이며 1·7월은 주요 30개국을 대상으로 하는 수정 전망이다.
![]() |
IMF는 지난 7월 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0.8%로 제시한 바 있다. IMF의 성장률 전망치는 우리 정부(0.9%)와 같고 한국개발연구원(KDI·0.8%), 한국은행(0.8%)보다 0.1%p 높다.
다만 주요 선진국인 미국(2.0%), 영국(1.3%), 캐나다(1.2%), 일본(1.1%) 성장률을 밑돌고 있다.
기재부는 "우리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을 전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풀이했다.
IMF는 "예측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규칙 기반의 산업정책 설계와 지역·다자간 무역협정 확대가 필요하다"며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재정 측면에서는 "세입 확충·지출 효율화를 통해 재정 여력을 회복하고, 명확한 기준점(fiscal anchor)을 포함한 중기재정 프레임워크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금융시장 안정 노력을 지속하면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기 위한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할 것"을 촉구했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 대비 0.2%p 상향한 3.2%로 예측했다. 내년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 |
2025년 10월 IMF 세계경제전망. [자료=IMF] 2025.10.14 plum@newspim.com |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전망 대비 0.1% 올린 1.6%로 수정됐다. 내년 성장률은 기존과 동일한 1.6%로 예측됐다.
주요 7개국(G7)과 유로존을 제외한 기타 선진국은 일부 국가의 대미 무역 협상 타결 등에 힘입어 올해 성장률이 지난 전망 대비 0.2%p 상향된 1.8%로 전망됐다. 내년 전망은 0.1%p 하락한 2.0%로 예상됐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지난 전망 대비 0.1%p 상향된 4.2%, 내년은 기존과 동일한 4.0%로 전망됐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의 경우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다.
선진국의 경우 올해 물가상승률이 지난 7월 전망과 동일한 2.5%로 유지된 반면, 신흥국은 0.1%p 하향한 5.3%로 예측됐다.
특히 미국의 경우 관세가 소비자 물가에 전가되기 시작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심화해 올해는 목표치를 상회한 2.7%를 기록하고, 오는 2027년 2% 목표 수준으로 복귀할 것으로 예상됐다.
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면서 주요 하방 요인으로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과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IMF는 "다만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하면서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할 때 세계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