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마포 등 '한강벨트'가 상승 주도…외곽은 상승폭 제한적
'국민평형' 84㎡는 주춤…1·2인 가구 증가, 갈아타기 수요 영향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서울 전용 59㎡(옛 25평형)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섰다.
13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평균 거래가격인 9억7266만원과 비교하면 약 8% 상승한 수치다.
![]() |
구별로는 강남구가 전년 대비 16.7% 오르며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고,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등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강남구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17억8706만원에서 올해 20억8570만원으로 3억원 가까이 올랐다. 마포구 역시 11억9708만원에서 13억8788만원으로, 송파구는 13억1720만원에서 15억2588만원으로 각각 2억원 이상 상승했다.
서울 외곽 지역은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도봉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5억4894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7% 오르는 데 그쳤고, 중랑구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금천구(-1.8%)와 종로구(-5.5%)는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다.
최근 3년간 추이를 살펴보면, 전용 59㎡의 가격 상승 폭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서울 전용 59㎡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해 7.6%에서 올해 8.0%로 커졌다. 공간 활용도가 높은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젊은 세대와 3인 가구 등 실수요층의 선호가 꾸준히 이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국민평형'인 전용 84㎡ 아파트의 매매가격 상승 폭은 줄어드는 모습이다. 서울 전용 84㎡의 평균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해 9.4%에서 올해 8.2%로 다소 둔화했다. 이는 84㎡의 높은 가격과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자금 부담, 1~2인 가구 증가, 상급지로 이동 시 가격 부담 때문에 면적을 줄이는 '갈아타기' 수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직방 관계자는 "전용 59㎡는 자금 여건과 가구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해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두 면적대는 각각의 수요 기반을 바탕으로 서울 아파트 시장의 가격 흐름을 가늠하는 핵심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dos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