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료원, 2019년부터 2만9000건 건강검진 시행
2025년까지 수원·파주병원 중심 5000건 추가 목표
이주노동자 예방접종 등 선순환 건강관리 체계 구축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의료원이 건강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의 안전망을 넓히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 |
우리 회사 건강주치의 사업 사진. [사진=경기도의료원] |
경기도의료원은 경기도로부터 위탁받아 운영 중인 '우리 회사 건강주치의 사업'을 통해 2019년부터 현재까지 일반·특수건강진단 약 2만9000건을 시행했다.
또한 2025년에는 수원병원과 파주병원을 중심으로 약 5000건의 검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단순 검진을 넘어 위험성 평가, 안전보건교육, 보호구 지원, 예방접종, 보건실 운영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연계가 특징이다.
'우리 회사 건강주치의 사업'은 50인 미만 사업장과 특수 형태의 종사 노동자, 이주노동자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 이 사업은 의료진이 사업장에 직접 방문하거나 일정을 조율해 검진을 진행하므로 접근성을 높이고, 현장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개선 권고를 통해 품질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6월에는 수원병원이 미얀마 출신 이주노동자의 건강검진 과정에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연계했으며, 9월에는 파주병원이 고소음·분진 작업장에 대한 위험 평가를 실시한 사례가 있다. 이는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 가능한 건강관리 체계로 이어지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10월부터는 예방과 사후 관리 강화를 위한 조치가 시작된다. 수원병원은 이주노동자에게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할 예정이며, 파주병원은 신규 보건실을 운영해 상시 질병 관리 및 사고 예방교육을 제공할 예정이다. 경기도의료원은 검진, 치료, 현장 개선, 예방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키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 |
우리 회사 건강주치의 사업 사진. [사진=경기도의료원] |
경기도의료원 이필수 원장은 "검진을 넘어 치료와 안전까지 연계하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라며, "소규모 사업장 노동자들도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의료원은 앞으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확대해 노동자의 조기 진단과 치료 접근성을 높일 방침이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