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이장우 시장, 장동혁 당대표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예정지 찾아
KDI 예타 조사 방식 강력 비판..."수천 개 기업 중 고작 50곳에만 전화"
"행정절차에 국가 미래먹거리 좌초 우려"...장동혁 "당 차원서 전폭 지원"
[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예비타당성 조사 방식을 정면 비판했다. 이 시장은 "KDI는 대전시와 LH가 제출한 입주수요 기업 수보다 훨씬 적은 50여 곳에만 전화 확인했다"며 "이런 방식으로 국가 전략사업을 늦추는 것은 옳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시장은 24일 오후 장동혁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와 함께 유성구 대전교도소를 방문해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대전교도소 이전 추진' 관련 브리핑을 들었다. 이날 자리에는 국민의힘 지도부도 함께하며 당 차원의 지원 의지를 분명히 했다.
![]() |
[대전=뉴스핌] 오종원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왼쪽)이 24일 오후 대전 유성구 대전교도소 인근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과 만나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사업 관련해 논의를 하고 있다. 2025.09.24 jongwon3454@newspim.com |
이 시장은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대전·충청권 미래를 좌우할 전략사업임을 강조했다.
특히 KDI의 조사 방식을 강하게 문제 삼았다. 이 시장은 "LH와 대전시가 수천 개 기업의 입주의향서를 제출했는데 KDI는 이 가운데 50곳 정도만 전화를 걸어 확인했다"며 "그마저도 단순 질의 응답 수준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이어 "실제 기업들의 집적 수요와 장기 투자 의지는 반영하지 않고, 제한된 표본만으로 수요가 불충분하다고 결론내리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또 "반도체는 국가의 생존 전략이자 미래 먹거리인데 행정기관 한두 곳의 보수적 접근 때문에 좌초 위기에 놓여선 안 된다"며 "대전은 대청댐이라는 안정적인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고 수도권보다 저렴한 물값으로 기업 경쟁력도 높다, 반도체와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 인프라를 동시에 갖춘 전국 유일의 도시"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의 미래 먹거리를 결정할 핵심 과제가 일부 행정 절차에 막혀 좌초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속도감 있는 추진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또 다른 지역 숙원인 대전교도소 이전 문제에 대해서도 확실한 추진 의지를 밝혔다. 이 시장은 "국비 재정을 투입하는 방식과 민간 기부대양여 개발 방식을 동시에 추진해 반드시 이전을 성사시키겠다"며 "현 교도소 부지를 시민친화적 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대전교도소 이전 이슈는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수년째 논의돼 왔만 재정 문제와 부지 활용 방안 등이 맞물려 속도를 내지 못했다. 이 시장의 이날 발언은 기존 갈등과 한계를 넘어서겠다는 강한 의지 표명으로 풀이된다.
이에 장동혁 대표도 적극 화답했다. 그는 "대전 교도소 이전과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은 단순한 지역사업이 아니라 충청권의 미래를 좌우할 국가적 과제"라며 "새 지도부가 출범한 만큼 당 차원에서 전폭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장동혁 대표는 "충청은 더 이상 변방이 아니다, 국가 첨단산업의 심장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이번 두 가지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충청의 위상은 한층 높아질 것이다, 반드시 추진에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