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 3국 외교장관회의 뒤 공동성명 채택
김정은 '비핵화 불가' 발표 하루 만에 반박 성명
유엔안보리 결의 위반·회피에도 '단호한 대응' 천명
조 장관, 美측에 '한국인 비자 문제 근본 해결' 당부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한·미·일 외교장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북한을 비핵화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조현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일본 외무상은 22일(현지 시간)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를 갖고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3국 장관은 공동성명에서 "대화와 외교를 통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나가는 가운데,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 |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뉴욕을 방문 중인 조현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오른쪽부터)이 22일(현지 시간)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갖기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외교부] 2025.09.23 |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두 번째다. 그러나 지난 7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첫 번째 한·미·일 외교장과회담에는 조 장관 대신 박윤주 외교부 1차관이 참석했기 때문에 3국 장관들의 대면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공동성명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비핵화 불가 입장을 강조하고 미국이 비핵화 목표를 포기하면 북·미 대화를 할 수 있다는 뜻을 밝힌 뒤 하루 만에 나온 것이어서 눈길을 끌었다.
3국 장관이 채택한 공동성명은 비핵화뿐 아니라 대북 제재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김 위원장의 주장에 대해서도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성명은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함께 대응할 필요성과,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위반·회피에 단호히 대응함으로써 대북 제재 레짐을 유지·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성명은 또 "장거리 미사일 등 북한의 군사역량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의 영향을 포함해 북한의 러시아와의 증가하는 군사협력에 심각한 우려"도 표명했다. 성명은 이어 "핵 역량을 포함해 필적할 수 없는 미국의 군사력으로 뒷받침되는 대한민국과 일본에 대한 철통같은 방위 공약"을 강조해 '미국의 핵우산 제공을 통한 확장억제'을 재확인했다.
장관들은 또 3자 다영역 훈련 '프리덤 에지'의 정기적 시행을 포함한 강력한 안보 협력 증진을 통해 방위 및 억제를 제고하고, 각자의 방위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이번 공동성명에는 중국을 겨냥한 표현들도 포함됐다. 성명은 '중국'을 적시하지 않은 채 "남중국해에서 불법적 해양 주장과 그런 주장을 강화하려는 시도에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남중국해를 포함한 인도·태평양 수역에서 위험하고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를 포함해 현상을 변경하려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은 또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대만 인근에서 불안정을 야기하는 행위가 점점 빈번해지고 있음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양안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강조했다.
장관들은 경제안보 협력 및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공조 심화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이 문제와 관련해 조 장관은 최근 발생한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과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새로운 비자 제도 도입 등 제도적 개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미측의 각별한 조치를 당부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