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3일 접수…이달 12일까지 66.2만건 신청
총 예산 2671억원…882억원 신청·407억 지급
연내 예산 소진 시까지 환급신청순 선착순 지급
으뜸효율 가전매출 20% 증가…렌탈제품 급증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정부가 소비 진작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으뜸효율 가전제품' 판매가 20%나 늘었다. 특히 렌탈제품 판매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 달간 전체 예산의 약 35%가 소진됐지만, 연말까지 예산은 충분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 두 달간 66만건·882억 신청…구매액 1조 육박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지난 13일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을 개시한 이후 이달 12일까지 한 달간 66만2000건이 접수됐다고 16일 밝혔다.
신청액은 총 882억원이며, 전체 예산(2671억원)의 33%, 환급사업 운영비까지 포함하면 약 35%의 예산이 소진된 상황이다(그래프 참고).
환급액 지급은 지난달 20일부터 지급을 시작했으며, 현재까지 30만4000건에 대해 총 407억원(예산의 15.2%)가 지급됐다.
![]() |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은 총 2671억원의 예산으로 TV, 냉장고, 에어콘, 세탁기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11가지 가전의 에너지소비효율 최고등급 제품을 구매한 국민에게 구매가의 10%를 환급(1인 30만원 한도)하는 사업이다.
지난 8월 13일부터 접수를 개시하였으며, '25년도 제2차 추가경정예산 통과 당일 이후 구매한 품목에 대해 환급을 실시하고 있다.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순으로 환급이 진행되며, 대상 제품 목록과 상세 환급절차 등 자세한 내용은 으뜸효율 환급사업 홈페이지(http://www.으뜸효율.kr) 또는 고객센터(1566-4984)로 문의하면 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민의 불편이 없도록 심사인력을 대폭 확충해 2주내에 환급을 받을 수 있도록 심사에 힘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 내수회복·에너지절약·가전산업 활기 '1석 3조'
정부는 이번 환급사업의 소비진작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보다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16일 오후 2시 가전·유통·렌탈 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환급사업 한 달간 현황을 공유하고 업계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오늘 간담회의 참석한 기업들은 으뜸효율 환급사업 시작 이후 그간의 매출 실적을 공유하였다. 각 업체들로부터 환급대상 제품의 매출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가전 A사의 경우 지난 7월 4일 이후 8월 말까지 환급 대상 제품의 매출이 전년대비 29% 증가하였다.
또한 김치냉장고 협력업체인 B사의 경우 23% 매출 증가, 공기청정기 협력업체 C사의 경우는 584%의 매출이 성장하는 등 대·중소 상생협력의 성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사업에서 최초로 도입한 렌탈 제품에 대한 환급을 통해 렌탈업체 D사는 전년대비 매출 92%, 판매량 137%가 증가하고, 특히 제습기의 경우 16배의 판매 증가의 성과를 거뒀다.
![]() |
삼성전자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시행하는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에 맞춰, 고효율 가전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다양한 추가 혜택을 제공한다. [사진=삼성전자] |
또한 업계는 이러한 성과와 함께 고령층 등 정보취약계층의 환급을 위해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으뜸효율 전용 데스크를 마련하고, 해당 매장에서 구매하지 않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대리신청을 시행하는 등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 힘쓰고 있다.
정부도 이러한 업계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홍보모델(배우 류수영)이 출연하는 홍보영상을 이달 말부터 각종 매체에 송출할 계획이며, 현장 방문·기획기사·SNS 챌린지·온라인 쇼핑몰 기획전 등 다양한 방식의 전방위적 홍보를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현재 우체국과 농협의 지방 지점 내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홍보 문구를 노출하고 있으며, 지역 케이블 TV 등을 통해서도 사업 홍보영상을 송출하는 등 연령·지역별 편차를 개선에도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는 사업 진행에 있어서 국민편의를 개선하기 위해 카카오톡 챗봇 활용, 휴대폰 원격지원 등을 통해 신청·보완 등을 지원하고, 신청 과정 단순화를 위해 OCR 기능이 탑재된 전용 앱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접수 건에 대해서는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및 최근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각종 포인트(네이버페이, OK캐쉬백, L포인트)로도 환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조익노 산업부 에너지정책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사업이 시작된 이후, 당초 기대했던 내수회복, 에너지절약, 가전산업 경쟁력 강화의 마중물 등 1석3조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면서 "보통 여름철이 지나고 가전분야의 매출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지만, 2차 소비쿠폰 발급, 결혼 시즌 등의 호재를 활용해 가전분야의 소비 확대가 지속될 수 있도록 업계와 홍보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